아동복지 기관 및 시설의 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 기관 및 시설의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분류
3. 특징
4. 아동복지시설보호사업 개념 및 목적
5. 아동복지시설의 종류
6. 복지기관 및 시설현황
7. 아동복지종사자
8. 아동시설의 문제와 대책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으로 나타난다.
시설 내 종사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2003년 말 현재 전체 종사자 중 약 24%(24,142명)가 시설장이고 약 57%(57,403명)가 보육교사이다. 보육교사 중 약 53%가 1급 보육교사이고 약 42%는 유치원교사 유자격자이다.
<표 1-4> 보육시설 종사자 현황(2001년 말, 2003년 말 현재(단위 : 명, %)
구 분

국공립
민 간
직장
놀이방
소계
개인
단체
법인
종사자수
2001
2003
82,231
101,622
10,229
10,936
58,662
71,519
40,698
50,065
1,735
4,028
16,229
17,426
1,031
1,252
12,309
17,915
시설당
종사자수
2001
2003
4.1
4.2
7.8
8.2
5.0
5.2
4.3
4.5
5.5
5.1
8.2
10.7
5.3
5.3
1.8
2.0
종사자당
아동수
2001
2003
8.9
8
10.0
9
9.3
9
9.1
9
9.5
9
9.9
8
7.6
8
6.3
6
출처 : 보건복지부 보육과(2002)
8.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와 대책 방안
1) 일반적인 문제
일반적으로 카두신이 지적하고 있는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점으로는 아동보육의 불연속성, 집단생활, 비전문화, 아동학대 및 방임, 그리고 지역성에 관한 사항들이다.
아동보육의 보육시설루연속(discontinuity in care)은 어떤 의미에서는 어머니의 역할을 대신하는 보육교사가 낮은 보수와 사회적 지위 그리고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승진의 기회가 없는 등의 이유로 30∼40%의 이직률을 가져오며 따라서 아동보육의 일관성이나 지속성을 갖지 못함을 의미한다.
집단생활(group living)은 대부분 십대들인 시설아동들이 집단생활을 통하여 동료집단의 특이한 하위체계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비공식적 하위체계와 시설의 공식적, 사무적인 체계 사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됨을 말한다.
시설직원의 비전문성(non-professional)은 시설직원의 저학력에 의해 아동의 문제를 발견하고 적절하게 치료 또는 수정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를 말한다.
아동학대 및 방임(child abuse and neglect)은 시설직원에 의한 신체적, 정신적 학대나 방임이 또는 상급자나 동료에 의한 학대가 발견되지 않고 있는 문제를 말한다.
끝으로 지역성(locally uneven)은 필요한 아동복지시설이 지역적으로 골고루 설립되어 있지 않아 이용에 불편이 많은 것과 일부 지역사회의 시설에 대한 거부 등을 의미한다.
2) 정부보조의 현실화
전국의 모든 아동복지 수용시설의 전수조사를 실시한 1998년 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수용시설은 정원보다 낮은 수용률(64.7%)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수입 중 정부보조금이 71.5%, 민간 지원금 14.2%, 자체 수입금 13.5%, 외원 보조금 0.8%를 차지하고 있다. 지출 중 가장 많은 비율로 인건비(40.3%)가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 아동들의 자립을 위한 정서, 능력개발에는 7.6%가 투입되고 있다.
3) 인력보강 및 전문화
아동복지시설의 대부분이 설립 후 30년 이상 지나 노후되어 있으며 종사자 한 사람이 평균 5.7명의 아동을 보호하고 있으며, 시설당 약 6명의 보육사가 근무하고 있다. 종사자의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은 47.4%이며, 대학교 이상이 26.1%, 중학교 이하 19.7%, 전문대 6.0% 등의 순이다. 종사자 중 해당 직종과 관련한 자격증을 소지한 비율은 32.4%였으며 67.0%는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13조에 의한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와 그 수는 육아시설의 경우 시설장, 총무, 의사(촉탁), 간호사, 영양사, 생활지도원 각 1인씩을 두며 보육사는 아동 10인당 1인을 두게 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직원 1인당 담당 아동의 수가 많으며 더욱 문제는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보육사의 근무가 1일 3교대이나 우리의 경우는 월평균 27∼8일간 교대없이 근무를 하고 있다는데 있다.
시설종사자의 직종도 보다 세분화되어야 하며 우선적으로 시설서비스의 전문화를 위한 전문 사회사업가 등의 채용이 일반화되어야 하고 차량이 생활의 도구화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시설차량 기사의 인건비 책정이 요망된다.
시설프로그램의 전문화는 시설직원의 처우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시설직원의 보수수준은 유사직에 비해 현저히 낮게 책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Ⅲ. 결 론
아동복지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기능강화 복지시책을 통하여 대다수 일반아동의 복지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특수한 범주에 시설수용아동의 복지를 위해서는 오늘날 아동복지의 방향이 시설보호 중심에서 가정보호 중심으로 지향하는 현대적 추세에 따라 영·육아 시설의 단위를 축소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내에서의 양육을 지향하면서 지역사회 내에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각종 복지시설을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확충·증설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욱이 장차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 및 핵가족화의 추세에 그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보이는 보육시설과 심신장애아시설 및 모자복지시설 등의 시설 증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아울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고 있는 아동복지시설 운영비의 현실화 내지 그 인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그 절대 수가 부족한 어린이공원, 어린이놀이터, 아동회관 등을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점차 증설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또 아동복지시설에 있어 그 운영과 효율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유자격 전문요원의 확보와 더불어 이직률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아동복지종사자에 대한 대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조치가 요망된다.
참고 문헌
성영혜, 김영진 공저, 2002, 아동복지 이론과 실제, 동문사.
이소희, 2003, 아동복지론, 양지.
김익균 외, 2001, 아동론, 대학출판사.
이순형 외 공저, 2004, 아동복지, 학지사.
보건복지부 보육, 아동정책과, 2004.
보건복지부 보육과, 2002.
주요 사이트
www.mohw.go.kr
http://www.educare.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2.1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