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콜라 철학에서의 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콜라 철학에서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스콜라 철학의 등장 배경

Ⅱ. 스콜라 철학의 내용

Ⅲ. 스콜라 철학의 방법
1. 논리적, 학문적 방법
2. 이성과 권위
3. 일반적인 원리
4. 수업방식
5. 저술방식
6. 토론문제집

Ⅳ. 스콜라 철학의 발전과정과 철학자들
1. 스콜라철학 초기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2. 스콜라철학의 전성기
대 알베르투스
성 토마스 아퀴나스
라틴아베로에스주의
둔스 스코투스
3. 스콜라철학 후기
유명론
신비주의
4. 근대의 스콜라학
제2의 스콜라학
프란치스코회
아우구스티누스회
예수회
트리엔트 공의회
5. 교황들의 교서들과 스콜라학의 약진
6. 20세기의 스콜라학자들

Ⅴ. 스콜라 교육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chal, S.J. 1878-1944)은 칸트와 독일 관념론 등의 초월적(선험적) 철학의 조명으로 스콜라 형이상학을 재해석 하려는 시도를 했다. 이런 선상에서 노엘(Leon No l, 1878-1955), 망시옹(Auguste Mansion), 레크레르(Jacques Leclercq), 반 스텐베르겐(Fernand van Steenberghen), 반 리에트(Georges van Riet), 드 레메케르(Louis de Raeymaeker), 르놔트(Ferdinand Renoite) 등등이 나타났다.
또한 로마에서는 그레고리안 대학 교수들인 보아예(C. Boyer), 아루누(R. Arnou), 데짜(P. Dezza) 등과 우르바노 대학 교수들인 파브로(C. Fabro), 파렌테(P. Parente), 피올란티(A. Piolanti)와 토마스대학 교수인 가리구 라그랑쥬(R. Garrigou-Lagrange) 등이 나타났다.
그밖에도 봐이스(A.M. Weiss), 가르데일(Ambroise Gardeil), 세르틸랑쥬(Anton Sertilanges), 페쉬(Christian Pesch), 탕게리(A.A. Tanquerey) 와 윤리신학계에는 놀딘(Hieronimus Noldin), 프뤼머(Dominikus Pr mmer) 등이 나타났다.
미주에서는 수많은 토마스주의자들이 나타났는데 마리땡, 질송(E. Gilson), 부르크(V.J. Bourke), 페지스(A.C. Pegis), 오네일(C.J. O'Neil), 오웬스(Joseph Owens), 콜린스(J.D. Collins), 맥키너니(R. McInerny) 등등이 있다. 특히 미국에서의 60년대 『신 가톨릭 사전(New Catholic Encyclopedia)』의 발간은 큰 업적이었다.
20세기 초반에 토마스주의 철학자들이 강조한 것은 가능태와 현실태 문제였다. 여기에는 델 프라도(N. del Prado), 마투시(G. Mattusi), 위공(E. Hugon), 만서(G. Manser) 등이 속한다. 1920년대에는 토마스주의 형이상학에 있어 유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여기에는 발타사르(N. Balthasar), 페니도(M.T.L. Penido), 라미레즈(S. Ramirez) 등이 속한다. 1930년대에는 성 토마스 사상에 있어서의 분유와 플라톤주의적 요소들의 탐구가 부각되었다. 여기에는 가이거(L.B. Geiger), 파브로 등이 속한다. 1940년대 이후에는 존재(esse) 문제가 토마스주의 형이상학에서 부각되었다. 여기에는 마리땡, 질송, 파브로 등이 속한다.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하이데거와 관련하는 토마스주의자들이 생겨났다. 로쯔(J.B. Lotz), 브루거(W. Brugger), 코레트(E. Coreth), 라너(K. Rahner), 로너간(B.J.F. Lonergan), 파브로 등등이다. 그 중에도 라너는 하이데거와 친화적이었고 파브로는 존재론에 있어 하이데거의 허구성을 폭로하였다. 또한 파브로는 철적한 토마스주의자로서 현대 무신론을 존재론적으로 깊이 통찰하여 그 근본적 오류들을 지적했다.
Ⅴ. 스콜라 교육의 특징
수도원은 정결, 청빈, 순종을 이상적인 덕목으로 삼아 73개조의 계율을 정하여 엄격한 노동과 기도 생활을 유지하였으나, 중세 말기에 이르러서는 타락과 부정부패의 온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수도원은 초기에는 성직자가 될 사람들에게만 개방하였으나 9세기경부터는 일반인에게도 입학을 허용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수도원학교는 성직자를 지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교와 일반적인 교양을 수학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외교로 구분되어 운영되었다. 수도원학교의 단계는 초등과와 고등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초등과에서는 읽기, 쓰기, 셈하기, 음악, 라틴어, 문법 등을 가르쳤고, 고등과에서는 7자유과(seven liberal arts, 7교양과)를 가르쳤다. 7자유과는 3학(문법, 수사, 변증법)과 4과(산술, 기하, 음악, 천문학)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가 작은 학교에서는 3학만을, 큰 학교에선 3학과 4과를 모두 가르쳤고, 가장 완전한 수도원에서는 7자유과 외에도 신학까지 가르쳤다고 한다. 교육방법은 단식과 체벌 등과 같이 매우 엄격하였으며, 대부분의 생활이 철저한 규율과 고행으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수도원학교가 미친 영향은 매우 중요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 두 가지만 지적하면, 첫째로 고대 그리이스의 문헌 등을 필사(筆寫, 원전을 그대로 베끼는 일)하여 후세에 전달해 줌으로써 나중에 문예부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우수한 인재들을 많이 배출함으로써 본산학교와 함께 중세 대학의 모태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중세의 기독교 교육기관으로 본산(本山)학교(사원학교, 감독학교)가 있었는데, 이는 교회의 각 교구의 본산 소재지에 설립되어 있었다. 본산학교는 4∼5세기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8세기에 카알 대제의 장려로 크게 발전하였으며, 11∼12세기경에 전성을 이루었다. 이 학교는 중세 기독교 교육기관 중에서 가장 수준이 높은 고등교육기관이었으며, 성직자의 양성과 일반 귀족 자제의 교양교육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으로는 읽기, 쓰기, 찬송가 등과 같은 기초과목과 성경, 신학, 문법, 철학, 과학, 그리이스 문예 등과 같은 고등과목이 있었다. 그런데 교부철학의 발전이 문답교사학교의 교장, 즉 교부들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스콜라철학은 이 본산학교의 교사들에 의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정의채 - 김규영, 「중세철학사」, 도서출판 벽호, 1994.
F.C. 코플스톤, 「중세철학사」 -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스코투스까지 - 박영도 옮김, 서광사 1988.
F.C. 코플스톤, 「중세철학: 그리스도교 철학」, 박영도 옮김, 이문출판사,1988.
에띠엔느 질송, 『중세철학사』, 현대지성사, 1997.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I-V), 정의채 옮김, 성바오로출판사 1985-1998.
J. 와이스헤이플, 「토마스 아퀴나스 수사 - 생애, 작품, 사상」, 이재룡 옮김, 가톨릭 대학교 출판부 1998.
박우석, 「중세철학의 유혹」, 철학과 현실사, 1997.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2.1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