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나일본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임나일본부란
1. 임나
2. 일본부
Ⅱ. 일본서기
1. 근거
2. 비판
Ⅲ. 광개토대왕비
1. 광개토대왕비문
2. 비문의 문제내용
3. 광개토대왕비문 해석을 둘러싼 견해대립
Ⅳ. 칠지도
1. 칠지도
2. 칠지도에 대한 견해대립
. 송서
1. 송서
2. 비판
Ⅵ.고고학적 발굴 유물
1.고구려의 세력하의 고대한국 남부
2.독자적인 세력의 가야지역
Ⅶ.한일학계의 기존 연구
1. 출선기관설 ( 出先機關設 )
2. 가야 ( 加耶 )의 왜설 ( 倭設 )
3. 기마민족설
4. 광개토왕비문 조작설
5. 분국설 ( 分國設 )
6. 백제군사령부설 ( 百濟軍司令部設 )
7. 외교사절설 ( 外交使節設 )
Ⅷ. 결론

본문내용

본열도에 이주하여 각기 자신들의 출신지와 같은 나라를 건국하여 모국에 대하여 분국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고 전제하고, 이들 분국들 중에는 가야인들이 현재의 히로시마 동부와 오카야마에 걸치는 지역에 건국한 임나국이 있다고 하였다.
일본서기에 보이는 임나일본부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은 이 임나국을 중심으로 신라백제고구려의 분국과 왜가 서로 각축하였던 것으로 이해함으로써 임나일본부는 한반도의 가야 지역과는 전혀 무관하며, 일본열도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로서 규정지었다.
분국설에 따르면 송서에서 왜왕에게 수여한 관작명칭에 이미 멸망한 진한마한이 포함되고 있는 이유가 자연스럽게 밝혀지며, 칠지도도 한반도의 백제왕이 일본열도내의 분국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분국설은 왜의 한반도남부 지배설을 비판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삼한삼국의 일본 열도지배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임나 자체를 한반도가 아닌 일본열도로 비정하였던 점은 분국설의 치명적인 약점이라 할 수 있다.
임나라는 용어는 일본서기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사료에서도 사용된 예를 확인할 수가 있다.
[한원]에 인용된 중국의 인문지리지에 의하면 한반도 남부의 가야 지역을 총괄하여 임나라고 하고, 가라임나의 국명을 언급하고 있다.
[광개토왕릉비문]에 의하면 400년에 고구려군이 정벌하였던 지역명으로서 임나가라가 보인다.
[삼국사기] 열전에 의하면 강수가 임나가량 출신임을 알 수 있고, [진경대사탑비문](923)에도 신라 사람인 진경대사가 임나왕족의 후예였음을 밝히는 구절이 확인된다.
이렇게 볼 때 임나는 한반도의 가야 지역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며 일본열도의 어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이 연구결과의 옳고 그름에 대하여는 재론의 여지가 적지 않으나, 고대한일관계 사의 연구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으며, 기본적인 발상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하였던 의미는 아무리 크게 평가하여도 무리가 아닐 듯하다.
6. 백제군사령부설 ( 百濟軍司令部設 )
과거 일본의 출선기관설에 대한 북한학계의 비판이 분국론이라면, 한국학계의 본격적인 비판 및 대안 제시는 천관우(千寬宇)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일본서기에 보이는 임나관련사료 중에 일본이 주체로 묘사되어 있는 기사들 가운데에는 백제를 주체로 바꾸어 놓아 보면 사리에 맞게 되는 것들이 적지 않다고 전제하였다.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인들에 의해 일본서기 편찬의 기본자료가 정리되면서, 원래 백제가 주체로 나온 기사들이 왜가 주체로 된 기사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나아가 임나일본부라는 것은 사실은 백제가 가야지역의 통치를 위해 설치한 파견군 사령부와 같은 것으로, 고대 일본의 한반도 남부 지배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백제의 군사행동에 보이는 왜병의 활동이라든지, 임나일본부의 관련기사에서 보이는 왜계통의 인명은 어떻게 해석하여야 좋을까라는 의문이 들게 한다.
이러한 왜병의 존재와 왜계통의 인명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던 것이 김현구의 연구였다.
김현구는 백제군과 같이 움직이는 왜병의 성격을 용병과 같은 성격으로 보고, 이러한 용병은 백제가 왜에 선진문물을 전수하였던 데 대한 반대급부이며, 왜계통의 인명은 일찍이 일본열도에서 백제에 이주하여 백제왕의 신하 노릇을 하고 있었던 왜계통의 백제인이라고 규정지었다.
그러나 4세기 말에 가야 지역의 일부를 평정하였던 백제가 6세기 중반에 와서야 해당의 백제군사령부를 설치하였다고 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백제가 가야 지역에 외교적으로 관여하게 되는 것은 점령이라든지 군정과 같은 것을 위함이 아
따라 동쪽의 대신라방어선의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백제는 외교적으로 가야 제국과 임나일본부를 조종하여 동쪽의 신라방어선의 안정을 꾀하면서 자신의 주력을 고구려전선에 집중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보이는 성왕대의 전쟁이 모두 고구려를 상대로 하고 있음에서 확인된다.
7. 외교사절설 ( 外交使節設 )
이상의 연구들은 임나일본부의 실체에 대해서 각기 다른 해석을 전개하고 있으면서도 임나일본부를 왜의 통치기관이나 백제의 군정기관과 같은 관청이나 기관의 성격으로 이해하였던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임나일본부 관련사료를 보면 통치나 군사적 역할을 찾아 볼 만한 기술이 전혀 보이지 않는 점에 주목하면서 주관적인 시각의 선행을 지양하고, 보다 객관적인 실체규명의 연구가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즉 부(府)라는 표기는 기관이나 관청이 아닌 사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임나일본부를 임나에 파견되어진 왜의 사신들로 이해한 것이다.
Ⅷ. 결론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는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문, 칠지도, 송서, 가야지역에서 확인한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들 어디에서도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결국 고대 일본이 4세기부터 6세기까지 200년간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에 불과한 것이다.
임나일본부의 정체를 추적하는 작업을 통해 오히려 철과 선진문물을 원하는 왜와 고대한국간에 이루어진 교역의 역사를 알 수 있었다.
일본은 사실을 왜곡해 임나일본부라는 허구의 역사상을 만들어 조선 침략의 명분으로 삼은 것이다. 왜냐하면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 필요한 자원을 한반도에서 조달하려는 의도가 결국 임나일본부라는 허구를 창조해낸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임나일본부는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며 서로 다른 논지를 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역사는 분명히 당시의 사실을 정확히 고찰해 내야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임나일본부는 한, 일 양국의 감정적 차원이 아니라 학문적이성적 차원에서 그 진실을 규명하려는 노력이 수반될 때 안개에 싸여있는 그 시대의 역사가 그 실체를 드러내고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기백, 한국사시민강좌제3집, 일조각, 1988.
이기백, 한국사시민강좌제11집, 일조각, 1992.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한국고대금석문, 1992.
박천욱, 교과서보다 쉬운 독학 국사1권, 2001.
두산동아 백과사전
인터넷- 역사스페셜“ 추적! 임나일본부의 정체” 外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2.2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