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관리행위의 관련요인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용어의 정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건 강

2. 건강관리 행위의 관련요인

3. 건강관리 행위의 실천도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 방법

4. 자료 처리 및 분석

연구결과 및 고찰

1. 건강관리 행위의 관련요인
2. 건강관리 행위 실천도
3. 건강관리 행위 실천에 방해요소

4. 건강관리 행위의 지식과 실행동기의 출처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본문내용

00.0)
표 5 건강관리 행위 실행의 인지된 방해요소별 백분율 빈도(백분율)
4. 건강관리 행위의 지식과 실행동기의 출처
대상자들이 갖고 있는 건강행위에 대한 지식 제공의 출처는 대중매체라는 응답을 대상자의 65.5%가 했고 건강행위 실천에 주로 영향을 받은 출처는 60.1%가 대중매체로 답하였다. 이는 최근 일반대중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으로 신문, TV 방송 등이 이런 프로그램을 과거보다 많이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에 비해 건강전문인 예를 들면 병원이나 보건소등 크리닉에서 거의 건강교육에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병원이나 지역사회의 교육 프로그램이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대상자들의 대부분이 대중매체를 통한
내 용
빈 도
백분율
가 족
건강전문인
대중매체
기타
31
31
133
8
15.3
15.3
65.5
3.9

203
100.0
표 6 건강관리 행위의 지식 제공 출처
내 용
빈 도
백분율
가 족
건강전문인
대중매체
기타
48
29
122
4
23.6
14.3
60.1
2.0

203
100.0
표 7 건강관리 행위의 동기 부여 출처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전달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표 67 참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서론에서 언급했던 성인병 발병율이 높은 사무직 근로자들에게서 실지로 콜레스테롤 함유 식이 섭취, 흡연, 음주 등의 습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규칙적인 운동이나 여가활동을 하는 대상자는 극히 드물어 이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유도하여 성인병 예방 및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및 요약
본 연구는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행위의 관련 요인들이 건강관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건강관리 행위의 실천도를 파악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4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부산시내 62개사 증권회사 중에서 본 연구자가 임의 선정한 21개 사의 직원 중 203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Pender의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on behavior)모델과 Backer의 질병예방 행위(Disease preventive behavior)모델을 기초로 하여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택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건강관리 행위 실천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건강관리행위와 각 변인간의 관계는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자신이 인지하는 질병에 대한 조절력(β=.281)’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β=.260)’, ‘가족의 건강관리 양상(β=.204)’으로 나타났으며(P<.001), '건강을 위한 운동종목의 선택 수(β=.155)’ (P<.01) 등이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행위 실천도는 ‘직장에서 실시하는 정규적인 신체 검진에 참여한다’, ‘습관성 약물남용은 하지 않는다’, ‘외출에서 돌아오면 손을 씻는다’, ‘가족이나 특히 어린이가 있는 곳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다’ 등의 순이었다. 실천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서는 ‘정규적인 치과검진을 받는다’, ‘술잔이나 음료 잔을 돌려가며 마시지 않는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음주를 줄이거나 금한다’, ‘흡연을 줄이거나 금한다’,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피한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실천도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는 ‘게으름’, ‘시간부족’, ‘생활방식을 바꾸기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4.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현재 행하고 있는 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지식이나 행위 실천도에 조언을 받거나 정보를 얻는 출처는 ‘대중매체’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써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행위 실천도를 높이기 위하여 대중매체 등을 이용하여 건강교육을 실시하여 성인병에 대한 사전 예방 및 조기발견은 물론이고 보다 나은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업무환경 개선과 부대 복지시설 확보를 위한 회사측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요구된다고 본다.
참고문헌
1. 이영자(1985). 대도시 주거지역별 주민의 질병예방행위에 관련된 요인. 부산의대 학술지, 25(2), 215-220.
2. 차철환(1985). 미래의 보건문제. 인간과학, 9,6.
3. 김건열(1985). 평균수명과 질병관리. 대한의학협회지, 28, 21.
4. Harris D.M.(1979). Health 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 17.
5. 홍근표, 정현숙 등(1987).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6. 이정균(1988). 고혈압의 식이요법과 일반요법. 대한의학협회지, 28, 517.
7. 박영학, 박세진, 박은미 외(1985). 흡연 후 형성된 Caboxyhemoglobin과 허혈성 심질환 발 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순환기, 15, 233.
8. Rundall T.G. and Wheeler J.R.(1979).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expl-ana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 397.
9. Turnball E.M.(1978). Effect of basic preventive health practice and mass media on the practice of brest self-examination. Nursing Research, 27, 98.
10. 신관호(1971). 개인위생의 지식 및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공중보건학회지, 8(2), 29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2.0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