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의 원인과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의 원인과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인적 특성과 일탈 및 비행

2. 사회환경적 요인과 일탈 및 비행

1) 시카고 학파 - Shaw와 Mckay 의 사회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2) Sutherland와 Cressey의 차별적 교제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3)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4) Merton(Robert Merton)의 긴장이론(strain theory),

5) 클라워드(Richard Cloward)와 오홀린(Lloyd Ohlin): Theory of Adaptation

6) Cohen(Albert Cohen)의 하위문화이론( subculture theory)

7) Hirschi(Travis Hirschi)와 Nye로 대표되는 사회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8) Lemert(Edwin Lemert)의 낙인이론(labeling theory)

본문내용

가 발생한다고 본다.
2. 사회해체이론과의 관계
사회해체이론과 사회통제이론은 뒤르껭의 논의의 한 측면이 사회통합을 수용하여 발전시켰다. 사회해체이론은 공동체수준에서의 사회통제력을 강조하였고, 사회통제이론은 가족이나 친근한 일차집단의 통제력을 강조하였다. 특히 사회통제이론은 뒤르껭의 인간관(끝없는 욕망의 존재, 따라서 외적인 구속력 필요)과 유사한 전제를 하고, 개인을 구속하는 외적 통제력을 강조함으로서, 머튼의 아노미이론이나 사회해체이론보다 뒤르껭의 비행이론과 친화력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중심내용
1)사회통제이론은 사회에 대한 개인의 연대가 약화되거나 파괴되어 개인에 대한 사회통제가 약화되었을 때 일탈이나 비행행위가 발생한다.
2) 통제에는 직접적 통제, 간접적 통제, 내면적 통제로 분류된다.
나이에(Nye)는 통제를 직접적 통제(direct control), 간접적 통제(indirect control), 내면적 통제(internal control)로 분류하였다. 공식적이고 법적인 통제보다는 가정의 비공식적이고 간접적인 통제에 관심을 갖고, 결손가정이나 부모통제의 부재 등의 가정환경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① 직접적 통제란 부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감독이나 훈련이며
② 간접적 통제는 자신의 비행이 부모나 친밀한 사람에게 고통을 주기 때문에 스스로 자제하는 것이며,
③ 내면적 통제는 자신의 양심에 의하여 비행을 저지르지 않는 것을 말한다 김준호, 여자청소년의 비행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49-50.
.
3) 개인이 사회의 인습적인 질서에 순응하는 사회적 연대의 네 가지 요소는,
① 부모, 교사, 동료와 같은 일차집단에의 연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애착(attachment);
일차적인 관계와의 친밀한 정도
② 인습적 행위의 헌신(commitment);
교육과 같은 사회의 합법적인(인습적인) 목적에 대한 시간투자
③ 인습적 활동에 대한 참여(involvement);
사회의 인습적인 활동(비행이 아닌 스포츠, 공부 등)에의 참여
④ 인습적 태도에 대한 신념(belief):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가치에 대한 동의.
4. 사회적 유대의 약화와 비행에 관한 경험적 연구
1969년, 캘리포니아 4000명 고교생 대상 조사. 학생들의 계층과 관계없이 부모님과 유대(의사소통정도, 밀착도)가 약한 청소년들은 비행행동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경찰이나 법에 대한 동조정도(신념) 약하고, 숙제와 같은 인습적인 행위에의 참여가 적은 학생들은 비행의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남.
5. 사회통제이론의 비판
①청소년들의 비행의 정도와 유형에 관한 설명이 부족.
-어떤 청소년들은 특정유형의 비행을 저지르는지?
- 어떤 청소년들은 상습적인 비행자이고, 어떤 청소년들은 단지 일회적이고 경미한 비행, 어떤 청소년들은 단지 지위비행에만 그치는지?
② 유대(bond)의 형성의 과정에 대한 설명의 부족(유대형성 요인을 알아야 비행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에 이용가능)
③ 비행에 있어서 동료집단(peer-group)의 영향력에 대한 설명이 부족
6.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에의 적용
8) Lemert(Edwin Lemert)의 낙인이론(labeling theory)
1. 형성 배경
사회통제 기관과의 접촉에서 생겨나는 낙인과정에 관한 논의는 1960년대에 종래의 비행원인론에 집착했던 비행사회학의 연구경향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낙인이론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낙인이론에서는 범법행위의 원인규명에는 이론적으로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있고 다만 사회적 처벌과정에서 한 인간이 어떻게 비행자로 만들어져 가는가에 주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즉 청소년이 학교에서 비행소년이 되거나 열등학생이 되는 것은 주변의 나쁜 평가에 의한다.
2. 중심내용
1) 사회의 통제(낙인)이 비행의 원인이 된다.
낙인이론이 내세운 가장 기본적인 주장은 '사회통제 자체가 일탈을 발생시킨다'는 명제로, 이는 크게 두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이 세상에는 한번이라도 범법행위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없지만 그중에서 극히 일부분의 사람만이 비행자가 된다는 것이다. 즉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비행을 하게 된다('범법자':law breaker). 그러나 일부는 사법기관에 의해 '비행자'(criminal)로 되고 이는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어 이차적인 비행의 원인이 된다.
2) 일차적 비행과 이차적 비행
어떤 행위자의 범법행위에 대한 사회통제기관의 반응은 그 행위자의 자아개념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게 될 뿐아니라 그의 대인관계는 물론, 기회구조에도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게 되어 '이차적 일탈'로 이끌게 된다. 사회적 처벌을 통해서 비행자로 낙인 찍힌 사람은 이제 자기 스스로를 나쁜 사람, 비행자등으로 생각하게 됨으로써 자기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고, 사귀는 사람들도 자기와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과 가까이 하게 되며, 사회적으로도 전과자라는 낙인 때문에 법적인 형사처벌을 다 받고 난 이후에도 정상적인 생활권으로부터는 계속 추방되어 생활기회에 엄청난 제약이 가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처벌에서 비롯되는 이러한 변화가 결국 그로 하여금 다시 비행을 범하게 하는데, 이렇게 범하게 되는 비행을 이차비행라고 한다.
이차적 일탈은 일차적 일탈에 따르는 사회적 오명, 처벌, 격려 등과 같은 사회적 반응에 의해 발생한 여러 문제에 적응하고 방어하며, 공격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레머트는 사회적 반응에서 생겨난 문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탈자의 심리구조상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일탈자의 새로운 자아개념에 걸맞는 역할을 발전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부정적 자아개념은 더욱 강화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3. 낙인의 측정
가정에서의 낙인 경험의 유무는 아래와 같은 방식을 따라 측정되었다.
(1)'부모님은 당신의 의견을 잘 들어주는 편입니까?'
(2)'부모님은 당신을 칭찬해 주거나 격려해주는 편입니까?'
(3)'부모님은 당신을 훌륭한 아들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까?'
(4)'당신을 부모님으로부터 꾸중을 자주 듣는 편입니까?'
(5)'당신의 행동 때문에 부모로부터 심한 야단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2.1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