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의 수준과 척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정의 수준과 척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측정의 수준

2. 척 도

3. 총화척도 (Summated Scales)

4 신뢰도

5 타당도(정확도)

6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본문내용

한다.
㉢ 각 층이 뜻하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세부내용을 정한다. 이렇게 정한 기준과 실 제 질문지의 내용을 비교한다.
2. 기준관련 타당도 (Criterion-related Validity)
기준관련 타당도는 그 척도를 잘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다른 독립적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즉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의 상관관계에 의해 타당도를 측정할 수 있다.
(1) 동시적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① 동시적 타당도 : 이 방법은 작성한 척도를 이미 존재하고 있는 신뢰할 만한 다른 척도와 비교하는 방법이다.
[예] IQ 테스트에 관한 질문지를 만든 경우 새로운 질문지를 통한 IQ 점수와 기존의 질문지에 의한 IQ 점수와 상관관계를 통해 척도의 타당도를 구한다. 즉 새로운 질문지에서 높은 점수를 맞은 학생이 기존의 시험에서도 높은 점수를 맞고, 새로운 질문지에서 낮은 점수를 맞은 학생이 기존의 시험에서도 낮은 점수를 맞으면 새로운 질문지의 타당도가 높다 할 수 있다.
(2) 예측적 타당도 (Predictive Validity)
① 예측적 타당도 : 그 척도와 논리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미래의 사건이 외부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예] 예를 들면, 학력평가 시험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대학에서의 학업성적 또는 학업성취가 그 기준이 될 것이다. 즉 높은 학력평가 점수를 받은 학생이 대학에서 학업성적이 높을 때 학력평가 시험은 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전면허 시험의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우 운전면허 시험의 고득점자가 실제로 운전을 잘한다면 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3) 집단비교법
① 집단비교법 : 상반된 태도나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집단을 선정하고 그 두 집단에 척도를 적용하여 그 결과의 차가 상반된 태도를 나타내는가를 보는 것이다.
[예] 장애자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구성할 경우, 그 척도의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장애자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장애자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에게 그 척도를 적용하고, 다음에는 장애자를 위한 활동에도 잘 참여하지 않을뿐더러 비우호적인 사람들에게 같은 척도를 적용하여 그 두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본다. 이 때 두 집단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나면 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4) 기준문항에 의한 타당도
① 이 방법은 질문지에 질문내용의 응답들을 판별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문항을 포함시켜 질문지를 만든 후 이를 조사대상에 적용하여, 그 기준이 되는 문항에 대한 점수와 다른 문항들의 합계점수간의 상관관계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예1] 노인 복지정책에 대한 의견조사의 경우 연령을 기준문항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리는 연령이 많을수록 노인 복지정책에 긍정적인 대답을 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경우 연령에 대한 값과 다른 문항들의 점수의 합계에 대해 상관계수를 구해 타당도를 구할 수 있다.
[예2] 장애자에 대한 정책이나 아동에 대한 서비스 정책 조사시 가족 중에 장애자나 아동이 있는지 여부가 기준문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족 중에 장애자나 아동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이 정책에 대해 우호적인 응답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② 이 방법의 경우 기준이 되는 문항을 2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준문항들의 성격에 따라 기준문항들의 점수의 합과 다른 문항들의 점수의 합과의 상관관계를 이용 할 수도 있고, 기준 문항 각각과 다른 문항들의 점수의 합의 상관관계를 각각 기준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3. 구조적 타당도 (Construct Validity)
(1) 이론적 타당도
① 이론적 타당도는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 또는 내용이 근거하고 있는 이론에 바탕을 두어 다른 척도를 만든 후, 두 척도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여 타당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즉 조사하고자하는 개념 또는 내용은 어떤 일반적인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일반적인 이론에 근거해서 다른 척도를 만들 수 있다. 이 두 척도에 의해 얻어진 결과의 상관관계를 구해 타당도를 측정한다.
[예] 결혼만족도에 관한 조사를 하고자 할 경우, 결혼만족도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다른 개념 또는 가설을 만든다. 즉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부부들은 그렇지 못한 부부들보다 부부간에 신뢰가 높다는 가설을 만든다. 이 경우 결혼만족도와 부부신뢰도는 그 근저에 있는 이론과 각각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결혼만족도와 부부신뢰도가 상호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결혼만족도에 관한 척도에서 얻은 점수와 부부신뢰도에 관한 척도에서 얻은 점수간의 상관계수에 의해 타당도를 측정한다.
② 이 방법은 단순히 측정자체의 타당도를 문제삼기보다는 그 질문지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 및 이론적 구조와 가설적 관계의 검증을 포함하는 과학적, 경험적 질문의 확보에 더 많은 관심을 집중하는 방법이다. 내용적 타당도가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논리적 검증을, 기준관련 타당도가 통계적 검증을 사용하는데 대해, 구조적(이론적) 타당도는 논리적 및 통계적 검증을 사용한다.
1.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신뢰도가 높다는 것은 어떤 현상을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그 어떤 현상이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왜냐하면 조사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사도구의 내용이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조사할 때마다 일관된 결과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뢰도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뢰성이 없는 측정도구는 타당성도 있을 수 없지만 신뢰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타당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즉 신뢰도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2.17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