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에 대하여 희극_비극_소극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희극(Comedy)에 대하여
희극의 유래 정의 성격기능
희극의 분류
희극의 역사

비극(Tragedy)에 대하여
비극의 유래정의 성격 기능
비극의 역사

소극(Farce)에 대하여
소극의 특징

멜로드라마(melodrama)의 대하여

본문내용

그 자체를 위한 웃음으로 오늘날 T.V.에서 볼 수 있는 저질 comedy 프로그램에서의 어처구니없는, 바보스런 행동으로 웃음을 자아내는 것과 같이 전통 희극의 경지에는 못미치는 저급 희극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Farce는 희극 가운데서도 가장 소박한 형태이다. 때로는 등장인물이 단순한 못난 것들을 하고,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지닌 인물들로 고정적 성격을 소유하고 있다. 표현에 있어서도 아주 과장되고, 엉터리 소동, 노골적인 농담, gag(개그)적인 것, 어처구니없는 행동(slapstick), 우연성, 황당무 계한 것들이 또한 farce의 특징이 된다. 줄거리도 좌층우돌식으로, Shakespeare의 Comedy of Errors가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고 Twelfth Night에서 Viola와 Andrew Aguecheek와의 대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
Thompson에 의하면 farce란 " a stuffing"을 의미한다는 것인데 Latin어의 "farsa"(속맛), 즉 희곡의 간주악을 말하는 것이다. (Thompson; the Anatomy of Drama). 희극은 웃음을 주로한 극이다. 그런고로 farce도 희극의 한 변형이며 이 변형도 웃음을 본질로 삼고 있는 것이다. J.Gassner는 그의 책 The Play in Production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Since farce is merely a more obvious way of inducing laughter than comedy,
it is only a grosser or broader varient of the comic spirit.
It is laughter for the sake of laughter, regardless of how arbitrary, constrived, or obvious the means of evoking it.
farce는 희극보다 웃음을 끌어내는데 더 효과가 좋으므로 그것은 희극정신이 확장되고 넓혀진 변형인 것이다. 그것은 멋대로 고안되거나 또는 웃음을 일으키는 수단등에 관계없이 웃음 그 자체를 위한 웃음인 것이다. Nicoll도 그의 저서 An Introduction to Drama Theory에서 farce의 특징을 성격과 대화가 situation을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서 이 situation은 교묘한 Plot의 구성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극히 조잡하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부조화를 토대로한, 즉 크게 확장된 situation이라고 하였다.
farce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속도감있게 진전시켜야 한다. farce는 단순한 동작과 tempo 에 의존하는 바가 큰데 이는 성격보다도 situation이 웃음의 대상이 되고 비속한 humour와 확장된 wit가 주된 요소이기 때문이다. farce는 진정 웃음을 위한 웃음의 극이라고 할 수 있다. 차원높은 지적인 웃음을 요구하지도 않고 성격적인 묘사의 웃음을 요하지도 않는 순수한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것이다.
소극의 틔징
1) 중요한 message전달을 위한 당의정 역할의 웃음이 아니라 웃음 그 자체에 목
적을 두고 있다.
2) 그 웃음을 소재나 내용이 직선적이며 외향적인 gesture 와 행동이 지배 적이 다.
3) 인물은 유형적 또는 고정적이다.
4) 극적 상황과 사건이 인물을 지배한다.
5) 과장된 사건과 인물을 보여주면서 원인, 결과의 일관된 논리에 개의치 않다.
6) 대중의 좌절감과 불안을 해소시켜 주는 청량제 구실을 한다.
7) 부당하게 억압받는 서민들에게 쾌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멜로드라마(melodrama)의 대하여
멜로드라마(melodrama)는, 음악을 나타내는 그리스 어 "melo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는 음악과 연극의 결합으로서 음악적 배경 위에 음성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이 용어의 근대적인 사용은 루소가 1772년 그의 작품 『피그말리온』에서 "a scene lyrique"라는 말을 씀으로써 시작되었는데, 여기서는 말과 음악이 동시에 행동 속에 연결되어 있다는 뜻이었다.
멜로드라마는 용어는 19세기에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는 대개 비난받는 인물이 저지른 악행에 원인을 둔 심각한 행동을 다룬 작품을 가리켰다. 멜로드라마의 인물은 "동정받는 인물"(sympathetic)과 "비난받는 인물"(unsymphathetic)로 선명하게 구분되는데, 악당의 파멸은 곧 행복한 결말을 가져온다. 대개 멜로드라마는 마지막에 가까스로 구조될, 파멸이나 죽음을 위협받는 상황에 처해 있는 주인공을 보여준다. 영화음악처럼, 음악이 절박한 재난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켜 준다. "멜로드라마"라는 용어는 스토 부인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1852)과 인디언 보치컬트의 『흑백 혼혈아』(1859)와 같은 작품에 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릴리안 헬만의 『작은 여우들』(1938), 로레인 한스베리의 『태양밑의 건포도』(1959) 그리고 저셉 워커의 『니제르 강』(1972)과 같이 다야한 작품에 멜로드라마라는 용어가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멜로드라마적 인생관은 나뉘어진 것이 아닌 전체로 인간 존재를 보는 것으로서, 대개 적대적인 세상에서 내적인 갈등이 아니라 외적인 갈등을 견뎌내는 인간을 그리며, 이러한 갈등은 극단적인 결말로 몰고가야 하므로 승리나 패배로 끝이 난다. 멜로드라마의 특징은 인물이 갈등에서 이기거나 지는 데에 있으며, 결말이 명쾌하고 극단적이다. 햄릿이 죽는 가운데서 이기는 것과는 달리 복잡하거나 이중성의 해결을 짓지 않는다.
멜로드라마가 지나치게 단순하고 과장이 심하며 경험을 무리하게 꾸며내기는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일상생활의 많은 심각한 갈등이나 위기를 멜로드라마식으로 바라본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실패가 다른 사람의 잘못 때문이며, 우리의 성공이 다른 사람의 도움에 힘입은 것이라는 사실에 만족한다. 결국 멜로드라마는 인간 조건에 대한 진실성을 우리가 늘 인식하는 대로 표현하는 연극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윌슨, 에드윈(1998). 연극의 이해. 예니
강계철 (2003). 연극과 영화. 보고사
한국드라마학회(1997). 드라마의 현실과 실제. 국학자료원

키워드

연극,   희극,   비극,   소극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3.26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