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역사 교과서 분석(국사, 세계사, 한국 근현대사,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7차 역사 교과서 분석(국사, 세계사, 한국 근현대사,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7차 사회과 교육과정

2. 대안 교과서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

3. 분류사 체제에 따른 7차 역사 교과서 내용 분석

4. 7차 역사 과목에 대한 몇 가지 논의 사항
1)사회과 통합의 문제
2)근,현대사 서술
3)세계사

본문내용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발달
5. 19세기의 세계
가. 19세기유럽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나. 동아시아의 근대화운동
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근대화운동
라. 서아시아의 근대화운동
6. 현대세계의 전개
가.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나.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다. 현대사회와 문화
세계사
(사회영역)
8.인간사회와 역사
가. 역사와 과거
나. 인간과 자연환경
다. 발전과 변화
9.인류의 기원과
고대 문명의 형성
가. 인류의 기원과 문명의 발생
나. 중국과 인도의 고대문명
다. 오리엔트의 고대문명
10.아시아 사회의 발전
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전통사회의 발전
나. 인도와 동남 아시아의 발전
다. 서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발전
1.유럽세계의 형성
가. 고대 지중해 세계
나. 유럽세계의 성립과 발전
다. 중세유럽의 변화
2.서양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가.서양근대사회의 시작
나. 시민혁명과 시민사회의 성립
다.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발전
3.아시아사회의 변화와 근대적성장
가. 동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나.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근대화운동
다. 서아시아의 근대화운동
4.현대 세계의 전개
가. 제1차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나. 제2차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다. 현대사회의 변화와 시민생활
7.지구촌사회와 한국
가. 지역간의
교류와 갈등
나. 미래사회의
전망과 대응
다. 우리민족의
발전과제
5.문화권과 지구촌의 형성
가. 종교와 문화의다양성
나. 상업의 발달과
생활권의 확대
다. 세계화와 지역화
6.시민사회의 발전과
민주시민
가. 시민혁명과
시민사회의 발전
나.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발달
다 사회적 쟁점과
합리적 의사결정
내용 체계를 고등학교 세계사의 경우와 비교할 경우, 역시 문제가 되는 분야는 역사적인 시각보다는 문화권적인 관점으로만 보아 균형있는 서술이 되지 못했다는 점과 유럽 중심의 시각에 비중을 둔 나머지 아시아 사회에 대해 소홀했다는 점이다.
그외로 현대사 부분이 소략한데 이는 일반 사회 과정에서 많이 다루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제외한 것으로 본다. 고등학교 과정과 비교해 볼 때 중학교 과정은 '변화와 발전'을 다루는 역사과의 기본 시각이 상실되고 문화지리적인 관점과 사회현상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 고유의 영역은 결과적으로 상실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고등학교 세계사
세계사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가장 큰 특징은 필수 과정에서 심화 선택 과목으로 전락하여 입지가 낮아진 점과 아시아사의 비중이 높아진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세계사는 국민 공통 기본 과정에서 제외되고 심화 선택 영역으로 세분화되지 못한 채 심화선택 과정에 포함되었다. 국민 공통 기본 과정이 아니므로 심화·보충형에 해당되지 않아서 심화 과정이 생략된 대신 대단원 영역에 [탐구 단원]을 설정, 사례 중심의 주제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인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 학습이나 학생의 흥미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편성된 것이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세계'도 신설되었으나, 서아시아 세계는 누락되었다. 서아시아 세계의 누락 현상은 중학교 과정에서도 같다.
아시아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함께 단원 배열의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당시의 역사상이 서양 근대의 전개보다는 아시아 사회의 성숙이 우월했다는 역사 인식과 함께 아시아사의 비중을 높이려는 2중적인 목적에 기인하다고 본다.
편중된 지역 안배에 대한 비판을 시정하려는 시도로써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역사를 첨가한 것이다.
중단원 '시민혁명과 시민 사회의 성립'이 '시민혁명' 과 '시민사회의 발전'으로 분리, 시민사회의 발전은 19세기의 사회와 문화와 통합하여 '시민 사회의 발전과 19세기의 문화'단원으로 편성되었다. 이는 시민 혁명 결과 시민 사회는 성립되었으나 시민 사회의 성숙·발전은 19세기로 파악하였기 때문이라 본다.
현대사의 변화를 수용하였다. '급변하는 세계'를 '사회주의의 붕괴와 급변하는 세계'로 단원의 명칭을 바꾸고 사회주의 붕괴,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 유럽 연합을 비중있게 다루었다. 그 외에 첨단 과학 기술과 냉전 종식 이후의 세계 분쟁에 비중을 두어 변화하는 현대 세계를 폭넓게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세계사와 관련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현행의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세계사 과목의 내용 체계의 검토보다 선행되어야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교육 과정에서 세계사의 자리메김에 대한 것이다. 세계사 과목 자체가 교육과정에서 폐지된다면 아니 정확히 지적하면, 세계사 과목을 선택하는 학교나 학생이 없다면 아무리 훌륭한 세계사의 내용체계의 수립이나 바람직한 교과서의 제작도 쓸모가 없다. 학문 중에서도 왕좌를 차지하고 있던 역사, 사회과의 중심에 포진할 수 있는 역사 교과, 범교과 학습(민주 시민 교육, 인성 교육, 환경 교육, 경제 교육, 에너지 교육, 근로 정신 함양 교육, 보건 교육, 안전 교육, 성 교육, 소비자 교육, 진로 교육, 통일 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양 교육, 정보화 및 정보 윤리 교육 등을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범교과 학습이라 함)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교과인 세계사가 존폐의 위기에 있다는 것은 쉽게 납득할 수 없다.
제7차 교육과정이 21세기를 주도하는 세계화·정보화 사회를 이루기 위한 개혁이고 그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조치라고 할진대 교육과정 개정 목적 자체를 신뢰하기 어렵다.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세계화, 개방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외국어 교육의 강화하기 위하여 3학년 과정에서부터 운영하여 폭넓게 생활외국어 과목을 일반선택 및 심화선택과정에서 다양하게 개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화란 다양한 세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 없는 상태에서 몇 개의 외국어 교육을 추가한다고, 아니면 컴퓨터 교육을 좀더 확대한다고 진정한 세계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의문을 던져본다.
참고자료
7차 역사교과서 상,하
살아있는 한국사교과서
『제7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검토』-역사교사모임에서 주최한 심포지엄 자료집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