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명 : 사립자의 입도
2. 실험 목적
3. 사용 장비
4. 관련 이론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실험 고찰
2. 실험 목적
3. 사용 장비
4. 관련 이론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실험 고찰
본문내용
번 호 (mesh No)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5
13.42
73.31
11.21
1.08
0.35
0.58
40.99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지르곤
1)입도와 입도지수의 계산호칭번호
(mesh No)
체 위의 모래량, Wn
입도계수
Sn
Wn × Sn
g
%
30
-
-
20
-
40
0.01
0.01
30
0.3
70
1.04
1.04
50
52
140
64.11
64.11
100
6410
200
32.28
32.28
140
451.92
Pan
2.10
2.10
300
630
Total
99.54
99.54
7544.22
Clay
0.46
0.46
2) 입도 및 입도분포의 표시호 칭 번 호 (mesh No)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1
1.04
64.11
32.28
2.10
0.46
75.79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6호사
1)입도와 입도지수의 계산호칭번호
(mesh No)
체 위의 모래량, Wn
입도계수
Sn
Wn × Sn
g
%
30
0.05
0.05
20
1
40
1.61
1.61
30
48.3
70
51.97
51.97
50
2598.5
140
45.96
45.96
100
4596
200
0.25
0.25
140
30
Pan
0
-
300
-
Total
99.84
99.84
7272.8
Clay
0.16
0.16
2) 입도 및 입도분포의 표시호 칭 번 호 (mesh No)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5
1.61
51.97
45.96
0.25
-
0.16
72.84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7. 실험고찰
결과값에서 보면 쇼트볼의 입도지수는 40.99, 지르곤의 입도지수는 75.79, 6호사의 입도지수는 72.84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르곤의 입도가 가장 높은 걸 알 수 있다. 평균입도지수가 크다는 것은 작은 입자가 많거나 전반적으로 입자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입자의 크기 → 쇼트볼 > 6호사 > 지르곤
순임을 알 수가 있다.
쇼트볼은 70mesh에서 걸리진 입자가 가장 많았고, 지르곤은 140mesh, 6호사는 140mesh임을 통해서 가장 많이 걸러진 mesh에서의 입자가 각 시편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보면 평균입도 지수와도 비슷한 결과치를 나타냄을 볼 수 있는데 쇼트볼이 지르곤이나 6호사에 비해서 70mesh에서 걸러진 양이 73.31%나 됨을 통해서 입자가 가장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가 있다.
각 시편의 입자 직경과 넓이는 mesh의 수치가 높아짐에 따라서 직경과 넓이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중 쇼트볼 140mesh의 입자직경은 0.28mm, 지르곤 140mesh의 입자직경은 0.20mm임을 볼 수가 있는데 이를 통해서 140mesh는 0.20mm, 0.28mm 직경이상의 체임을 알았다.
140mesh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진들을 통해서도 체의 크기는 어느 범위 이상임을 파악할 수가 있다.
이번 실험은 각 시편에 따른 입도와 입도의 지수를 알아보는 실험이였다. 지수를 알아보는 까닭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주물 할 때의 잘못될 수 있는 점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사립자의 입자가 너무 크면 주물 표면이 거칠어질 뿐만 아니라 용융 금속이 사립자 사이에 침투하여 입자가 주물에 소착하기 쉽고, 입자가 너무 작으면 통기성이 불량하여 주물에 기공이 생기기 쉽다.
실험을 통해 주물사로 쓰기에 적정한 입자를 가진 사립자를 판별해 낼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5
13.42
73.31
11.21
1.08
0.35
0.58
40.99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지르곤
1)입도와 입도지수의 계산호칭번호
(mesh No)
체 위의 모래량, Wn
입도계수
Sn
Wn × Sn
g
%
30
-
-
20
-
40
0.01
0.01
30
0.3
70
1.04
1.04
50
52
140
64.11
64.11
100
6410
200
32.28
32.28
140
451.92
Pan
2.10
2.10
300
630
Total
99.54
99.54
7544.22
Clay
0.46
0.46
2) 입도 및 입도분포의 표시호 칭 번 호 (mesh No)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1
1.04
64.11
32.28
2.10
0.46
75.79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6호사
1)입도와 입도지수의 계산호칭번호
(mesh No)
체 위의 모래량, Wn
입도계수
Sn
Wn × Sn
g
%
30
0.05
0.05
20
1
40
1.61
1.61
30
48.3
70
51.97
51.97
50
2598.5
140
45.96
45.96
100
4596
200
0.25
0.25
140
30
Pan
0
-
300
-
Total
99.84
99.84
7272.8
Clay
0.16
0.16
2) 입도 및 입도분포의 표시호 칭 번 호 (mesh No)
AFS
점토분
AFS
입도지수
30
40
70
140
200
Pan
0.05
1.61
51.97
45.96
0.25
-
0.16
72.84
3) 입도분포 그래프
4) 입자의 직경과 넓이
7. 실험고찰
결과값에서 보면 쇼트볼의 입도지수는 40.99, 지르곤의 입도지수는 75.79, 6호사의 입도지수는 72.84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르곤의 입도가 가장 높은 걸 알 수 있다. 평균입도지수가 크다는 것은 작은 입자가 많거나 전반적으로 입자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입자의 크기 → 쇼트볼 > 6호사 > 지르곤
순임을 알 수가 있다.
쇼트볼은 70mesh에서 걸리진 입자가 가장 많았고, 지르곤은 140mesh, 6호사는 140mesh임을 통해서 가장 많이 걸러진 mesh에서의 입자가 각 시편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보면 평균입도 지수와도 비슷한 결과치를 나타냄을 볼 수 있는데 쇼트볼이 지르곤이나 6호사에 비해서 70mesh에서 걸러진 양이 73.31%나 됨을 통해서 입자가 가장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가 있다.
각 시편의 입자 직경과 넓이는 mesh의 수치가 높아짐에 따라서 직경과 넓이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중 쇼트볼 140mesh의 입자직경은 0.28mm, 지르곤 140mesh의 입자직경은 0.20mm임을 볼 수가 있는데 이를 통해서 140mesh는 0.20mm, 0.28mm 직경이상의 체임을 알았다.
140mesh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진들을 통해서도 체의 크기는 어느 범위 이상임을 파악할 수가 있다.
이번 실험은 각 시편에 따른 입도와 입도의 지수를 알아보는 실험이였다. 지수를 알아보는 까닭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주물 할 때의 잘못될 수 있는 점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사립자의 입자가 너무 크면 주물 표면이 거칠어질 뿐만 아니라 용융 금속이 사립자 사이에 침투하여 입자가 주물에 소착하기 쉽고, 입자가 너무 작으면 통기성이 불량하여 주물에 기공이 생기기 쉽다.
실험을 통해 주물사로 쓰기에 적정한 입자를 가진 사립자를 판별해 낼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