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의 정의
3. 약물전달시스템의 분류
4. 약물전달시스템의 수단
5. 약물 전달을 위한 상전이 고분자
6. 생체고분자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
7.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8. 고분자 자기 집합체와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
9. 결론
2.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의 정의
3. 약물전달시스템의 분류
4. 약물전달시스템의 수단
5. 약물 전달을 위한 상전이 고분자
6. 생체고분자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
7.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8. 고분자 자기 집합체와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
9. 결론
본문내용
이러한 독특한 성질은 소수성 블록이 분자간 또는 분자내 소수성 결합을 이루면서 수용액내에서 미세영역을 형성하고, 이 미세영역을 친수성 블록이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수용액과 직접 접촉하여 용해도를 높이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낮은 분자량의 계면활성제가 수용액 내에서 micelle을 이루는 원리와 같아서 주로 polymeric micelle이라고 명칭되고 있으나, 형성된 미세영역 및 수용성 블록의 거동이 낮은 분자량의 계면활성제가 이룬 micelle과는 달라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microviscosity, 단일 고분자와의 평형상수 등 많은 부분의 성질이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고분자 자기 집합체의 주된 응용분야는 Ring sdorf 등이 약물전달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후에 여러 종류의 약물을 위한 약물전달체계에 이용되는 것에 많이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polymer ic micelle은 열역학적 안정성과, nanometer 크기의 균일한 구조가 제조 가능한 특성 때문에 선택적 약물전달체계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약물을 체내에 가장 정확하게 전달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 중에는 하나는 site-specific drug delivery 방법이 있다고 하겠다. 이 방법은 우리 체내에 약물이 필요한 부분에만 약물을 전달하여 효율은 높이고 부작용은 줄이는 방법이다. 가장 먼저 연구되어진 carrier system은 antibody와 receptor를 이용한 방법이었는데 우리체내에 투여된 후에는 non - specific elimination으로 인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원하는 site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단점이 밝혀지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방향은 carrier system이 체내에 투여되었을 경우에 빠른 시간내에 제거되어지지 않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법을 long - circulating system 또는 stealth system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stealth system의 후보가 될 수 있는 양친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자기 집합체는 일반적으로 소수성 inner core와 수화된 친수성 outer shell로 이루어진 수십 또는 수백 nanometer 크기의 집합체를 이루기 때문에 이상적인 stealth system의 후보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양친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자기집합체를 이용하면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는 대부분의 약물들은 micelle의 inner core에 loading 될 수 있다. 이 때 loading 방법은 공유결합 또는 물리적으로 loading될 수 있다.
Block copolymers
Drugs
Investigator
Poly(ethylene oxide)-b-
Poly(L-lysine)
Cyclophophamide
Ringsdorf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aspartate)
Doxorubicin
Kwon et al.
Yokoyam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aspartate)
Cisplatin
Yokoyam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β-benzyl-L-aspartate)
Indomethacin
Kataok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propylene oxide)
Ha loperidol
Kavanov et al.
Poly(ε- caprolactone)
Dihydortestosteron
Eisenberg et al.
Poly(ethylene oxide)-b-
Oligo(methacrylate)
Doxorubicin
Hoffman et al.
[ 표 ]고분자 자기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에 이용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자기 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에 대한 연구는 그역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전자 치료법의 개발과 EPR 효과(enhanced permeat ion and retention effect)를 이용한 표적 지향적 항암제의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고분자 자기 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는 고분자 자기 집합체의 독특한 구조상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여야만 새로운 형태의 약물전달체계의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9. 결론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정의, 그리고 약물 전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수단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중 상전이 고분자에 관련된 약물 전달 시스템은 한창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약물전달 체계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신약합성의 기반이 구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반을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의 여건상 약물 전달 시스템은 신약창출에 버금가는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어 연구개발에 적합한 분야라 생각된다. 하지만, 약물전달 시스템은 단순히 재료연구자뿐만 아니라 의학연구자, 약학 연구자 및 최종적으로 사람임상적용허가 및 판매허가를 관리하는 식약청 실무자들과의 면밀하고도 체계적인 다학제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또한 관·산·연·학계간의 끊임없는 교류가 필수적인 연구분야이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다학제간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력연구 해나간다면 저렴하면서도 안전한 방법으로 기존의 치료법으로 불가능했던 각종질환이나 암을 정복하는 날도 머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 reference >
1. 약물전달을 위한 상전이 고분자 - 육순홍, 조선행, 배유한
2.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 박태관, 유혁상
3. 이온화 NIPPAm 수화겔의 합성과 pH 및 열민감성 상전이 거동에 관한 연구 - 송형진
4. 고분자 자기 집합체와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 - 권익찬, 이상천, 정혜선, 정서영
5.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연구동향 - 김현철
6. 임창백의 DDS HOME - http://my.netian.com/~syc0745/
7.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 http://www.cheric.org/
Block copolymers
Drugs
Investigator
Poly(ethylene oxide)-b-
Poly(L-lysine)
Cyclophophamide
Ringsdorf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aspartate)
Doxorubicin
Kwon et al.
Yokoyam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aspartate)
Cisplatin
Yokoyam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β-benzyl-L-aspartate)
Indomethacin
Kataoka et al.
Poly(ethylene oxide)-b-
Poly(propylene oxide)
Ha loperidol
Kavanov et al.
Poly(ε- caprolactone)
Dihydortestosteron
Eisenberg et al.
Poly(ethylene oxide)-b-
Oligo(methacrylate)
Doxorubicin
Hoffman et al.
[ 표 ]고분자 자기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에 이용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자기 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에 대한 연구는 그역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전자 치료법의 개발과 EPR 효과(enhanced permeat ion and retention effect)를 이용한 표적 지향적 항암제의 개발과 더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고분자 자기 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는 고분자 자기 집합체의 독특한 구조상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여야만 새로운 형태의 약물전달체계의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9. 결론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정의, 그리고 약물 전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수단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중 상전이 고분자에 관련된 약물 전달 시스템은 한창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약물전달 체계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신약합성의 기반이 구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반을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의 여건상 약물 전달 시스템은 신약창출에 버금가는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어 연구개발에 적합한 분야라 생각된다. 하지만, 약물전달 시스템은 단순히 재료연구자뿐만 아니라 의학연구자, 약학 연구자 및 최종적으로 사람임상적용허가 및 판매허가를 관리하는 식약청 실무자들과의 면밀하고도 체계적인 다학제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또한 관·산·연·학계간의 끊임없는 교류가 필수적인 연구분야이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다학제간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력연구 해나간다면 저렴하면서도 안전한 방법으로 기존의 치료법으로 불가능했던 각종질환이나 암을 정복하는 날도 머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 reference >
1. 약물전달을 위한 상전이 고분자 - 육순홍, 조선행, 배유한
2.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 박태관, 유혁상
3. 이온화 NIPPAm 수화겔의 합성과 pH 및 열민감성 상전이 거동에 관한 연구 - 송형진
4. 고분자 자기 집합체와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계 - 권익찬, 이상천, 정혜선, 정서영
5.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연구동향 - 김현철
6. 임창백의 DDS HOME - http://my.netian.com/~syc0745/
7.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 http://www.cheric.org/
추천자료
자폐증과 특수교육에 대한 고찰
간호단위관리(기록과 보고)
집중치료실
유전자 치료(gene therapy)
계면 중합에 의한 나일론 합성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05자극과 반응
사례관리에 대한 정리와 이해
[간질][간질의 개념][간질의 병태생리][간질의 증상][간질의 치료][간질발작]간질의 개념과 ...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필요성과 실천과정 - 사례관리, 등장배경, 사례관리의 성격, 영역
의료산업 - 생체고분자와 시장동향
정신보건론
[모성간호학][분만 케이스][분만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파킨슨병 About The Parkinson`s Disease
분만 중 동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