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의 반응및 개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양의 반응및 개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토양의 반응및 개량>
I . 토양의 반응
1. 토양의 반응
2. 산성 토양
3. 산성 토양의 해
4. 산성토양의 근본대책
5. 우리 나라 토양의 산성 분포 상황
Ⅱ. 토양의 개량
1. 답토양의 노후화와 추락 현상
2. 노후답에서의 추락 현상
3. 염해지
4. 광독지(鑛毒地)
5. 냉수답(冷水沓)
6. 소토(燒土)


<비료의 흡수와 생산법칙>
1. 소극적 흡수
2. 적극적 흡수
Ⅱ. 작물 생산에 관한 법칙
1. 최소 양분율
2. 보수 체감의 법칙(=수확 체감의 법칙 : Law of diminishing return)
3. 길항작용
4. Wolff의 법칙
5. 우세의 원리
6. 작물의 영양기
Ⅲ.비료의 반응
1. 화학적 반응
2. 생리적 반응
3. 유기질 비료의 반응
4. 비료에 의한 반응의 변화

<비료(肥料)의 이용(利用)>
Ⅰ.비료의 형태
Ⅱ.비료의 배합
Ⅲ.비료사용의 일반 원칙
Ⅳ.비료성분의 분해(分解)와 변화(變化)

본문내용

를, 흡수성이 약한 토 양은 비료 성분의 손실이 심하므로 유기질 비료를 사용한다.
(3)산성 토양은 중화시켜 시비하고, 염기성 토양은 산성비료를 사용한다.
(4)철, 알루미늄이 많은 토양에는 미리 칼슘을 뿌리고 인산을 사용해야 하며, Ca, Mg 이 결핍된 토양에는 반드시 Ca, Mg을 사용한 후에 칼륨을 사용할 것.
(5)화산회토와 같이 흡수력이 강한 토양은 경지 전면에 살포해서는 안된다.
(6)퇴비를 사용할 때, 흡수력이 약한 토양에서는 신선(新鮮)퇴비를, 흡수력이 강한 토양 에서는 부숙(腐熟)퇴비를 사용해야 한다.
3. 작물의 종류와의 관계
(1)화곡류, 채소류, 뽕나무, 담배 등은 질소 비료의 수요가 많고, 두과(荳科)식물은 질소 비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산 칼리를 비료로서 공급해야 한다.
(2)작물의 종류에 따라 비료 성분의 흡수력 차이가 있으므로 흡수력이 약한 성분을 많 이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벼는 보리보다 인의 흡수력이 가하고 또 보리는 밀 보 다 질소의 흡수력이 강하다.
(3)생육기간이 짧은 작물(채소류)에는 속효성 비료만을 사용할 것이며, 과수에는 지효 성 비료를 사용하고 웃거름으로서 가용성 비료를 조금 사용한다.
(4)한 작물에는 조생종(早生種)보다 만생종(晩生種)에 시비량을 많이 사용한다.
증수(增收) 효과도 만생종이 크다.
4. 시비의 시기
작물은 그 생육이 왕성할 때 가장 많은 양분이 필요하며, 성숙의 시기에 이르면 거의 양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물의 성숙기에 많은 양이 남아 있으면, 오히려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므로 웃거름의 시기에는 주의해야 한다.
5. 기후와의 관계
(1)온난 지방이나, 따뜻한 계절에 생육하는 작물에는 지효성 비료를 주며, 속효성 비료 는 조금씩 나누어 주어야 한다.
(2)추운 계절이나 한랭한 지방에서 생육하는 작물에는 속효성 비료가 적당하며, 퇴비는 충분히 부숙시킨 것을, 깻묵은 예비 발효시킨 것을 사용한다.
(3)강수량이 많은 지방이나 계절에는 수용성 비료를 피하고, 강수량이 적은 지방이나 계절에는 효과가 적으므로 지효성 비료를 사용한다.
Ⅳ.비료성분의 분해(分解)와 변화(變化)
가용성 무기질 비료는 대부분 그대로의 형태로 흡수되나 유기질 비료는 먼저 세균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각기 간단한 무기 화합물로 변한 뒤 식물에 이용된다. 세균의 작용에 의해 무기 화합물이 되는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다.
# 단백질, 요소 아미드 화합물 또는 암모니아 초산태 요소
# 염산, 가리 무기 화합물
# 유기태 질소 단백질 아미노태 요소태 암모니아태 질산태
1. 토양중의 유기물의 분해
주로 토양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기구(機構)도 일정치 않다.
(1)분해작용(산화 분해): 공기의 공급이 충분한 곳에서 유기물이 간단한 화합물로 분해되는 작용, 생성물 - CO₂, H₂O, NH₃
(2)부후작용(환원 분해): 공기의 공급이 충분치 않은 경우, 혹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 일어나는 유기물의 분해 작용, 주로 환원 작용이 일어나므로 무기질의 대부 분은 식물의 섭취, 이용에 걸맞지 않은 상태로 된다. 생성물- CO₂, CH₄, H₂,
H₂S
(3)부식형성: 유기물의 완전한 분해 작용이 행해지는 것은 모든 분해 조건이 구비된 경 우이다. 나머지 대부분의 경우에는 분해작용이 천천히 행해져서 속에 있는 부분적 분해에 의해 그 본래의 형태와 성분을 달리한 물질이 생긴다. 이를 부식이라고 한다.
(4)암모니아 화성작용: 질소를 가진 유기물이 분해될 때 NH₃를 생성하는데 이를 암 모니아 화성작용이라 한다.
①산화분해의 경우 - 호기성균(好氣性菌)의 작용을 받는 경우
②환원분해의 경우 - 혐기성균의 작용
③가수분해(加水分解)의 경우
(5)질소기아: 신선한 유기물은 탄소의 원료로 알맞는 Pentosan, Celluose가 풍부하여 이것을 토양에 줄 때는 자연히 미생물의 생육 번식을 도와, 토양속에 있는 가용(可 用)성의 질소성분이 미생물의 양분에 이용되어, 체단백질로 변형되므로 작물은 한때 질소 결핍에 빠지게 된다. 이를 질소기아라고 한다.
2. 초화작용(질산화성작용)
질소질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생긴 NH₃또는 토양에 사용한 NH₃는 대부분 세균에 의해 산화되어 초산이 되는데 이 작용을 초화작용이라고 한다.
Nitrosomouse NH₃+ 3O₃= 2HNO₂+ 2H₂O+ 157.6㎈
Nitromous 2NHO₂+O₂= 2HNO₃+ 36.6㎈
이 초산균은 이상의 반응에서 생기는 열량을 생활에너지로써 소비하므로 다른 토양 세균과 달리 그 생육상 유기물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초산환원작용(질산환원작용)
암모니아 화성작용과 초화작용의 정반대 작용에 의해 질소를 유발시키는 현상이다. 이 작용은 초산 환원균이 자체 생활에 필요한 산소를 초산에서 이용하여 일어나는 것이므로 공기의 공급이 충분하면 이 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HNO₂와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작동에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비료 배합 가부표> ( : 배합 가 : 저장불가 X : 배합불가)
비료 배합시 꼭 참조 섞어서 바로 사용
유안
석회질소
초안
요소
염안
과석
용성인비
토마스인비
골분
유산가리
염산가리
회류
비료용석회
석회암분말
깻묵어비
유 안
O
X
O
O
O
O
X
O
O
O
X
X
O
O
석회질소
X
O
X
X
X
X
O
O
O
O
O
O
O
O
X
초 안
O
X
O
O
X
X
X
O
O
X
X
O
요 소
O
X
O
O
X
X
O
O
O
X
O
O
염 안
O
X
O
O
O
O
X
O
X
O
과 석
O
X
X
X
O
O
O
X
O
O
X
O
O
용성인비
O
O
O
O
O
O
O
O
O
O
O
토마스인비
X
O
X
X
X
X
O
O
O
O
O
O
O
O
골 분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유산가리
O
O
O
O
O
O
O
O
O
O
O
O
O
O
염산가리
O
O
O
O
O
O
O
O
O
O
O
회 류
X
O
X
X
O
O
O
O
O
O
O
비료용석회
X
O
X
X
X
X
O
O
O
O
O
O
O
X
석회암분말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깻묵, 어비
O
X
O
O
O
O
O
O
X
O
O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3.29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