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임상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간호 사정

Ⅱ. 간호 과정

본문내용

리도록 하였다.
6. 수면장애시 좋은 수면 습관과 증진을 위한 교육을 하였다.
매일 같은 시간에 취침하고 기상하도록 격려하고 낮에는 적절한 운동은 수면을 촉진시킴을 교육하였다. 수면 장애시 따듯한 우유나 물을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2
3/30
1.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항암제 투여 후 구역 및 구토 증세로 음식을 전혀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Albumin과 protein의 수치가 Albumin 3.2g/dl, protein 5.6g/dl로 정상치보다 수치가 떨어졌다. 몸무게의 변화는 없었으나 간병인이 보기에 수척해 보인다고 하였다. 항암제 투여 다음날에도 식사는 전혀 못하였으며 음식 냄새만 맡아도 구토가 난다고 말씀하셨다.
2. 대상자의 구강을 청결히 하였다.
구토 후에 반드시 입을 행구도록 하며 구토물은 즉시 치운후 환기시켰다.
3.구토가 없어질 때가지 보리차와 맑은 차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수분섭취를 격려하였다.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발열, 발한, 탈수, 호흡곤란 때문에 일어나는 수분소실을 막기위해 수분섭취가 중요함을 설명드렸다.
4.구토 후에는 입을 행구도록 교육하였다.
#3
3/30
1. 대상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앉아 있을 때는 괜찮은데 일어나거나 걸을 때 어지럽다고 말씀 하셨다.
2. 대상자의 혈액수치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RBC 수치와 Hematocrit 수치가 떨어졌다.
RBC 수치는 15일 3.94 25일 3.95 27일 3.77 이었고
Hematocrit 수치는 15일 34.9 25일 34.8 27일 33.8 이었다.
3.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대상자의 수술전 V/S은 100/70으로 일정한 편이었으나 수술후 140/80로 상승되었다.
4. 대상자의 H bag 용량을 관찰하였다.
5. 대상자에게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dangling 하도록 방법과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가 수행
#1
3/30~ 4/ 2
1.3월 30일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사정했다.
대상자는 주로 밤에 자기 전에 통증이 심해진다고 하셨고 진통제를 맞고 나서는 조금 후면 통증이 사라진다고 하셨다. 주로 수술 부위가 바늘로 찌르듯이 아프다고 하셨다. 지금은 붙이는 진통제를 붙이고 나서는 아픈지 모르겠다고 말씀하셨다.
2.3월30일 통증의 원인과 완화요인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자기 전에 수술자리가 찌르듯이 아프다고 하셨고 진통제를 맞으면 통증이 사라진다고 하셨다. 4월 2일 대상자는 통증척도 10점 만점 중에 2점이라고 말씀하셨다.
3. 3월 31일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때 마사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마사지를 받고 나니 통증이 조금은 사라졌다고 말씀 하셨다.
4. 3월 30일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때 이완요법과 심상요법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이완요법 중에서도 명상을 권하였다. 심상요법과 병행하여 통증 시에 눈을 감고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게 하였다. 또한 즐거운 상상이나 경험을 떠올리도록 하였다. 4월 1일 대상자는 이제는 아플 때마다 즐거운 상상을 한다고 말씀 하셨다. 그렇지만 심하게 아플 때에는 집중이 되지 않아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5. 3월 30일 대상자에게 수면장애시 좋은 수면 습관과 증진을 위한 교육을 하였다.
매일 같은 시간에 취침하고 기상하도록 격려하고 낮에는 적절한 운동은 수면을 촉진시킴을 교육하였다. 수면 장애시 따듯한 우유나 물을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4월 2일 대상가 낮동안 하루 10분 씩 병동을 돌아다니며 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낮에 운동을 해서 인지 밤에 잠도 잘 잔다고 말씀하셨다.
#2
3/30~
4/2
1.3월 30일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구역과 구토로 인하여 음식을 드시지 못하고 있었으나 점차 나아져 4월 1일에는 정상적인 식사도 하시는 것을 보았다. 대상자도 이제는 울렁거리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2. 3월 30일 대상자의 구강을 청결히 하기 위해 구토 후에 반드시 입을 행구도록 하며 구토물은 즉시 치운후 환기시켰다. 또한 이 후에도 그렇게 하도록 교육시켰으며 구토 후에 입을 행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3. 3월 31일 구토가 없어질 때가지 보리차와 맑은 차를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이 후 대상자는 물을 자주자주 마신다고 말씀 하셨다.
또한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수분섭취를 격려하였다.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발열, 발한, 탈수, 호흡곤란 때문에 일어나는 수분소실을 막기위해 수분섭취가 중요함을 설명드렸다. 대상자도 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한다고 말씀 하셨다.
#3
3/30~
4/2
1. 3월 30일 대상자의 어지러움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앉아 있을 때는 괜찮은데 일어나거나 걸을 때 어지럽다고 말씀 하셨다. 4월 2일 대상자는 이제는 일어서거니 할 때 어지럽지 않다고 말씀 하셨다.
2.3월30일 대상자의 혈액수치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RBC 수치와 Hematocrit 수치가 떨어졌다.
RBC 수치는 15일 3.94 25일 3.95 27일 3.77 이었고
Hematocrit 수치는 15일 34.9 25일 34.8 27일 33.8 이었다.
3월31일 29일의 수치 결과가 나왔는데 RBC수치는 3.57 Hematocrit 수치 31.1 로 수치면에서 변동된 사항이 없었다.
3. 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대상자의 수술전 V/S은 100/70으로 일정한 편이었으나 수술후 140/80로 상승되었다. 그러나 이후 그전의 수치를 보이며 다시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4. 대상자의 H bag 용량을 관찰하였다.
3월16일 수술 당일에 110, 3월 17일에 180, 3월 18일에 110으로 계속 감소하다가 3월 24일에 20, 3월 25일에 12를 기록하여 3월 26일에 H bag cuttingg하였다.
5. 3월 30일 대상자에게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dangling 하도록 방법과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고개를 끄덕거리며 앞으로 열심히 하겠다고 말씀하시며 이 후 자리에서 일어나실 때마다 dangling 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3.29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