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식사지도

식사시 문제점

반사

뇌성마비아동의 섭식 문제

자 세

입숙근육과 혀 자세

침흘리기의 조정

급식 과정

뇌성마비아의 섭식 문제와 지도 방법

언어치료의 실제

언어발달의 촉진

구어를 위한 신체적 준비도 육성

조음 개선

본문내용

단계를 알려줌
② CP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켜줌
구어를 위한 신체적 준비도 육성
1. 머리조절의 개선
① 조음기관의 운동: 머리와 어깨의 안정성(위치)이 중요
② CP의 이상반사 패턴을 억제하고 머리와 어깨의 분리운동을 촉직
③ 침흘림: 머리 위치가 나쁠 때
2. 호흡, 발성 기능의 개선
1) 호흡과 발성의 협응 안정된 발성 조음의 개선의 조건
2) 문제 해결 방법
① 치료의 초점: 근긴장의 정상화 반사억제 자세 취함
② 느린 속도로 규칙적으로 호흡: 구어를 위한 율동적인 호흡패턴 확립
아동의 횡경막에 손을 놓고 "빠르게 흡기하고 길게 호기하면서 발성하기"
③ 깊고 규칙적인 호흡 발달을 촉진하는 테크닉(심호흡 테크닉)
아동을 바로 누운 자세로 하여 무릎을 굴곡시키고 신전시켜 타동적 운동 실시
④ 역호흡이 나타나는 경우: 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비동시적으로 일어나는 흉부의 운동을 손과 벨트를 사용하여 방지 동시에 가슴과 배가 움직이도록 유도
⑤ 움직(운동)이면서 발성을 촉진하는 것이 좋다: 과대긴장의 소멸
⑥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 발성하고 옹아리하기가 쉽다 근긴장이 보다 정상에 가까운 자세
⑦ 다른 수의적인 동작보다 쉬운 동작부터 실시: 웃기, 울기, 가지럼하기 등
⑧ 쉬운 단모음(/a/)을 내는 것을 촉진시켜준다 복근에 압력을 가하여 소리를 크게 길게 내도록 촉진시킴
⑨ 소리의 크기, 길이를 변화 시키고 여러 가지 모음으로 발성 연습시키고 모음에 억양을 넣어서 실시
3. 구강반사 성숙을 촉진
1) 원시적 구강반사 억제
2) 물기반사 억제
3) 저작반사의 촉진
4. 섭식(C·S·S)패턴을 정상적으로 발달시키기
1) 구강기관의 운동을 주의깊게 관찰하고 분석
2) 섭식패턴 발달 프로그램
① 전신의 긴장, 특히 견대(shoulder girdle)와 팔의 긴장을 정상화 시켜주는 자세 필요
② facial, oral hypersensitivity 감소시킴
③ 자극의 주의깊게 조절하고 자극 단계를 이용하기
- 온도, 맛 등에 주의
④ 섭식 훈련을 통한 구강의 움직임을 점차적으로 옹아리나 구어 사용으로 유도
⑤ 부모의 섭식 훈련에 적극적 참여 유도
5. 옹아리를 발달 시킨다.
조음 개선
1. 기초적 훈련(단순한 협응 훈련)
(1) 아래턱과 입술 조절의 개선
① Rood의 방법
ㄱ. 한랭자극: 입술 혀 자극 입술폐쇄 촉진
ㄴ. brushing technique: 부드러운 솔로 입주면, 입술, 아래턱 내측(5회/sec)
ㄷ. 아래턱이 과도하게 처졌을 경우: 아래턱 중앙부와 악관절 부근을 가볍게 두드림 아래턱 돌출 방지, 입 폐쇄 촉진
②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
- 하악반사를 유발: 입을 열고 하악을 밑을 향해 두드리면 입을 다문다. 정상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피질척수로의 질환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남
③ 빨대를 이용해서 빨아 들이기
④ 입술을 사용하여 스푼에 있는 음식물을 입 속으로 넣기. 음식종류를 변화시킴(부드러운 딱딱한)
⑤ chewing technique(breath chewing technique)
ㄱ. 아래턱의 운동과 발성 간의 연합을 확립하는데 효과적
ㄴ. 소리(無)+ 저작운동 소리(有)+ 저작운동 소리(옹알이)+ 저작운동
⑥ 불기 훈련
(2) 혀의 조절의 개선
① 하악을 수의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혀운동 실시
: 혀 운동은 아래턱과 함께 실시하는 것이 용이
② 혀 조절의 개선 단계
ㄱ. 1단계: 저작운동(혀+아래턱) 및 혀와 입술과의 협조 빨대로 빨기를 촉진시킨다.
ㄴ. 2단계: 입을 적게 열고 그 위치로 아래턱을 유지하여 설첨을 치조로 향하게 움직이도록 아동을 격려한다. 점차 아래턱을 지탱하는 힘을 약하게 하고 아동 스스로 조절하도록 한다.
ㄷ. 3단계: 스폰지나 코르크를 입 속에 넣어서 전후좌우로 혀를 사용해 이동시킨다.
③ Kabat 저항 운동법
ㄱ. 수의적 운동을 행하게 하여 강한 저항을 주므로써 중추 신경계의 흥분을 높여 신경근을 최대한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ㄴ. 설압자를 이용해서 혀, 연구개 등에 압력을 줌.
(3) 불수의운동을 수반한 경우
① 길항근 군에 교대로 저항을 줌으로써 균형을 개선
예) 혀를 위로, 아래로 반복 길항근 군 사이에 균형 개선 혀의 안정
② 입술을 움직이려고 하면, 입술이 뾰족하게 내밀고-당기는 운동이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입술이 뾰족하게 있을 때에 가볍게 입술을 만지고 입술이 당겨질 때에 그 움직임에서 높이 올라가는 볼에 가볍게 손가락을 접촉
(4) 협응운동의 촉진
①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을 연속해서 조음하기(/p, t, k/) 속도를 점차적으로 높임
② 2음절의 연결 진행: VCV, CVCV 등
(5) 구강 지각의 개선
① CP: hypersensitivity
② 구강 촉지각의 차이가 조음 능력에서도 차이가 난다.
2. 조음훈련
- 일반 아동에 적용되는 원리와 동일
(1) 때때로 정확하게 내는 음, 자극성이 있는 음, 조음방법이 쉬운 음에서 어려운 음으로
(2) 운동역학법(motokinesthetic method) 이용
- 조음점지시법: 치료사가 아동의 조음기관을 타동적으로 움직여 주면서 치료사 자신이 실제 조음을 함으로써 촉각, 시각, 청각 자극을 주어 아동의 조음을 돕는다. 아동은 목적음을 내기 위해 조음 기관의 준비, 운동의 조음 방향 및 타이밍, 필요한 공기압 등을 피드백을 통해서 실제로 느낀다.
(3) 독립음 단음절 단단어 구 문장
(4) 조음을 가르치기 위한 효과적 자세
3. 운율의 개선
(1) 말하는 속도, 억약 등의 운율은 말이 정확하게 전달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2) 감정적인 요소가 첨가된 표현과 조금 과장된 정도의 억양을 주어 말하는 훈련을 해도 좋다.
(3) 말의 쉼(pause)을 보통 보다도 길게 자주 연습시킨다.
- 짧은 단위로 말을 단락 짓는 것이 연습되면, 말하는 도중에 숨이 막히거나 부자연스러움이 없어지기 때문에 말이 부드럽게 개선되고, 조음의 명료도도 향상
4. 자기점검
(1) tape recording, 거울, video 등을 이용
(2) 청각, 시각, 촉각을 활용한 자기 점검과 아동의 동기 유발에 의해서 조음명료도가 상당히 개선되는 경우도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3.30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