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애굽의 환경
2. 이스라엘 백성의 배경
3. 이스라엘 백성의 노예생활
III.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출발; 홍해에서 보여준 세 가지 큰 기적(출 14:1-31)
2. 기적을 통한 훈련
(1) 물을 예비하심 (출 15:22-27)
(2) 만나와 메추라기(출 16:1-36)
(3) 아말렉과의 싸움 (출 17:8-16)
(4) 조직 (출 18:1-27)
3. 율법을 주심 (출 19:3-24:-18, 32:1-34:35)
(1) 십계명을 주심 (출 19:3-20:17)
(2) 율법이 깨짐 (출 24:12-18, 32:1-34:35)
4. 성막 (출 25-31, 35-40장)
5. 불평과 불만에 대한 징계(민 10:11-17, 33:16-19)
6. 가나안 땅의 정찰(민 13-14)
IV. 가나안의 이스라엘 백성
1. 진보된 가나안 문화
2. 축복의 땅
V. 결 론
참 고 서 적
II.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애굽의 환경
2. 이스라엘 백성의 배경
3. 이스라엘 백성의 노예생활
III.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출발; 홍해에서 보여준 세 가지 큰 기적(출 14:1-31)
2. 기적을 통한 훈련
(1) 물을 예비하심 (출 15:22-27)
(2) 만나와 메추라기(출 16:1-36)
(3) 아말렉과의 싸움 (출 17:8-16)
(4) 조직 (출 18:1-27)
3. 율법을 주심 (출 19:3-24:-18, 32:1-34:35)
(1) 십계명을 주심 (출 19:3-20:17)
(2) 율법이 깨짐 (출 24:12-18, 32:1-34:35)
4. 성막 (출 25-31, 35-40장)
5. 불평과 불만에 대한 징계(민 10:11-17, 33:16-19)
6. 가나안 땅의 정찰(민 13-14)
IV. 가나안의 이스라엘 백성
1. 진보된 가나안 문화
2. 축복의 땅
V. 결 론
참 고 서 적
본문내용
엘이 해야 할 일은 단지 하늘의 통치자에게 복종만 하면 되는 것이었고, 그러면 국가가 누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게 되었다.
1. 진보된 가나안 문화
가나안은 물질문화가 진보하였다. 성읍은 잘 펼쳐 있었고 가옥은 훌륭한 설계와 건축을 나타내 보였다. 건물의 바닥은 포장되었거나 회반죽이 발라져 있었다. 배수 시설도 발달되었다. 노동자들은 구리, 납, 금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자기류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것에 속하였다. 애굽, 북방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구브로를 포함한 외국 나라들과 광범위한 무역을 하였다. 기술적인 지식에 있어서 가나안은 광야에서 40년을 소비한 이스라엘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불균형으로 인해 이스라엘에게는 슬픈 현실을 가져다 줄 심각한 위험이 놓여 있었다. 역사를 살펴보면 덜 발달된 문화는 보통 진보된 문화에 흡수되어 버린다. 다음에 이어진 시기에서 이스라엘은 가나안에 흡수되지는 않았지만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이 단지 자기 제조, 도시 건설, 농경방법과 같은 물질문화에서만 관련된 것이었다면 오히려 혜택을 입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사고방식이나 개념, 특히 종교적인 신앙이나 예식을 포함하는 것이었을 때 그 피해는 대단한 것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주변 문화에 동화하거나 모방하는 것을 금하셨다.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일곱 족속을 철저하게 멸하라고 명령하신다. 이는 하나님이 진노의 하나님임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이방 문화와의 잘못된 접촉으로 하나님의 언약이 파괴될 것을 염려하셨기 때문이다. 이는 이방문화를 무조건 반대하라는 것이 아니고 그 풍습이나 의식은 가나안 문화의 특징인 우상, 다신론, 마술 등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가장 타락한 형태의 다신주의와 성적 문란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그 땅의 타락한 주민들은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에게 악한 영향을 미치고, 그들을 심하게 오염시킬 것은 자명한 일이었다.
2. 축복의 땅
창세기 15장과 출애굽기 3장 8절, 17절을 자세히 보면 하나님은 가나안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곧 가나안 족속, 헷족속, 아모리 족속, 브리스족속, 히위족속, 여부스족속의 땅(롬 3:17)이라고 친절히 그 의미를 설명하셨다. 창세기 15장의 아브람에게 그의 자손이 들어갈 땅을 애굽강에서부터 그 큰 유브라데까지로 설정하고, 곧 겐족속, 그니스족속과 갓몬족속과 헷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르바족속과 아모리족속과 가나안족속과 기르가스족속과 여부스족속의 땅(창 15: 18-21)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상을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즉 하나님의 백성은 애굽과 같은 이 세상에서 구원받아 시나이 반도 같은 광야에서 훈련과 단련 후에 사명을 띠고 요단 강을 건너 또 다른 이 세상으로 보냄 받는 존재인 것이다. 또 다른 이 세상인 가나안 땅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구원을 선포하는 증거적인 사명을 수행하고 이 가운데서 천국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다. 결국 가나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주시는 축복으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었고, 또한 사명의 땅이었다(한정국 2000:18).
이스라엘의 사명은 하나님의 성품 및 그분의 선하심, 오실 메시야에 대한 약속 등에 관해 선포하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의 행하심을 선포함으로 모든 열방이 하나님을 경배하도록 부르는 것이었다. 우주전체에 가득한 거룩하신 하나님의 진리를 모든 민족에게 알려야 했다. 다시 말해 그들의 메시지와 복음은 “이것이 우리 하나님의 길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주는 축복의 일종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그분께서 행하시는 것들입니다. 당신 역시 그분의 축복 안에 들어 올 수 있습니다. 당신이 그분께 순종하기만 하면 됩니다.“라는 것이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이 단순한 메시지를 광야생활동안 끊임없이 주셨던 것이다. 이스라엘이 가진 기회는 셀 수 없었다. 그들의 메시지는 단순했으며 매력적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언약적 책임을 어렵지 않게 완수할 수 있었으며 수많은 부족과 민족들과 싸워 승리할 수 있었다. 그들은 다른 민족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을 거져 줌으로써 하나님의 위대하신 축복에 감사할 수 있었다.
V. 결 론
이스라엘백성은 홍해바다를 건넌 일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기적의 사건을 통해 하나님는 주도권을 쥐고 당신 백성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심을 보이셨다. 하나님은 십계명을 통하여 역사속에서 구원활동을 펼치는 위대한 전능자이심을 알려주신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확신 때문에, 정치적우주적 질서가 유지되고 순조로운 자연의 현상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게 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만이 유일한 권능자로서 역사적정치적 사건인 출애굽사건을 통해 밝혀졌다고 믿었다. 역사란 바로 그분의 활동무대인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백성들이 출애굽과정에서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나타내 보이는 애굽에서 만연한 노예근성을 기적과 율법과 성막의 섬김을 통해 이끌고 훈련하셨다. 기적을 통해 그들의 불만을 잠재우시고 율법을 통해 조직을 통제하셨고 성막을 통해 하나님을 온전히 섬기게 하셨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스라엘백성들은 결국 약속의 땅인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스라엘백성들이 하나님을 믿는 신앙으로 응답한 것은 바로 구원에 대한 감사가 있기 때문이다. 이 신앙으로 야훼의 율법을 지키고 하나님께서 백성과 함께 가리라는 약속을 따라 살 수 있게 되었다.
참 고 서 적
앤더슨, 버나드. W. 구약성서의 이해, 제석봉역,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3.
Hayes, W. C. The Scepter of Egyp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art I, 1953.
Steindorff and Seele, When Egypt Ruled the East,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Wood, Leon. A Survey of Israel's History, 김의원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한정국, 이스라엘의 선교사 소명,「미전도종족 선교의 기초」강의안,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0.
1. 진보된 가나안 문화
가나안은 물질문화가 진보하였다. 성읍은 잘 펼쳐 있었고 가옥은 훌륭한 설계와 건축을 나타내 보였다. 건물의 바닥은 포장되었거나 회반죽이 발라져 있었다. 배수 시설도 발달되었다. 노동자들은 구리, 납, 금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자기류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것에 속하였다. 애굽, 북방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구브로를 포함한 외국 나라들과 광범위한 무역을 하였다. 기술적인 지식에 있어서 가나안은 광야에서 40년을 소비한 이스라엘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불균형으로 인해 이스라엘에게는 슬픈 현실을 가져다 줄 심각한 위험이 놓여 있었다. 역사를 살펴보면 덜 발달된 문화는 보통 진보된 문화에 흡수되어 버린다. 다음에 이어진 시기에서 이스라엘은 가나안에 흡수되지는 않았지만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이 단지 자기 제조, 도시 건설, 농경방법과 같은 물질문화에서만 관련된 것이었다면 오히려 혜택을 입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사고방식이나 개념, 특히 종교적인 신앙이나 예식을 포함하는 것이었을 때 그 피해는 대단한 것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주변 문화에 동화하거나 모방하는 것을 금하셨다.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일곱 족속을 철저하게 멸하라고 명령하신다. 이는 하나님이 진노의 하나님임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이방 문화와의 잘못된 접촉으로 하나님의 언약이 파괴될 것을 염려하셨기 때문이다. 이는 이방문화를 무조건 반대하라는 것이 아니고 그 풍습이나 의식은 가나안 문화의 특징인 우상, 다신론, 마술 등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가장 타락한 형태의 다신주의와 성적 문란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그 땅의 타락한 주민들은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에게 악한 영향을 미치고, 그들을 심하게 오염시킬 것은 자명한 일이었다.
2. 축복의 땅
창세기 15장과 출애굽기 3장 8절, 17절을 자세히 보면 하나님은 가나안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곧 가나안 족속, 헷족속, 아모리 족속, 브리스족속, 히위족속, 여부스족속의 땅(롬 3:17)이라고 친절히 그 의미를 설명하셨다. 창세기 15장의 아브람에게 그의 자손이 들어갈 땅을 애굽강에서부터 그 큰 유브라데까지로 설정하고, 곧 겐족속, 그니스족속과 갓몬족속과 헷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르바족속과 아모리족속과 가나안족속과 기르가스족속과 여부스족속의 땅(창 15: 18-21)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상을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즉 하나님의 백성은 애굽과 같은 이 세상에서 구원받아 시나이 반도 같은 광야에서 훈련과 단련 후에 사명을 띠고 요단 강을 건너 또 다른 이 세상으로 보냄 받는 존재인 것이다. 또 다른 이 세상인 가나안 땅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구원을 선포하는 증거적인 사명을 수행하고 이 가운데서 천국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다. 결국 가나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주시는 축복으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었고, 또한 사명의 땅이었다(한정국 2000:18).
이스라엘의 사명은 하나님의 성품 및 그분의 선하심, 오실 메시야에 대한 약속 등에 관해 선포하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의 행하심을 선포함으로 모든 열방이 하나님을 경배하도록 부르는 것이었다. 우주전체에 가득한 거룩하신 하나님의 진리를 모든 민족에게 알려야 했다. 다시 말해 그들의 메시지와 복음은 “이것이 우리 하나님의 길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주는 축복의 일종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그분께서 행하시는 것들입니다. 당신 역시 그분의 축복 안에 들어 올 수 있습니다. 당신이 그분께 순종하기만 하면 됩니다.“라는 것이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이 단순한 메시지를 광야생활동안 끊임없이 주셨던 것이다. 이스라엘이 가진 기회는 셀 수 없었다. 그들의 메시지는 단순했으며 매력적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언약적 책임을 어렵지 않게 완수할 수 있었으며 수많은 부족과 민족들과 싸워 승리할 수 있었다. 그들은 다른 민족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을 거져 줌으로써 하나님의 위대하신 축복에 감사할 수 있었다.
V. 결 론
이스라엘백성은 홍해바다를 건넌 일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기적의 사건을 통해 하나님는 주도권을 쥐고 당신 백성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심을 보이셨다. 하나님은 십계명을 통하여 역사속에서 구원활동을 펼치는 위대한 전능자이심을 알려주신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확신 때문에, 정치적우주적 질서가 유지되고 순조로운 자연의 현상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게 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만이 유일한 권능자로서 역사적정치적 사건인 출애굽사건을 통해 밝혀졌다고 믿었다. 역사란 바로 그분의 활동무대인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백성들이 출애굽과정에서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나타내 보이는 애굽에서 만연한 노예근성을 기적과 율법과 성막의 섬김을 통해 이끌고 훈련하셨다. 기적을 통해 그들의 불만을 잠재우시고 율법을 통해 조직을 통제하셨고 성막을 통해 하나님을 온전히 섬기게 하셨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스라엘백성들은 결국 약속의 땅인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스라엘백성들이 하나님을 믿는 신앙으로 응답한 것은 바로 구원에 대한 감사가 있기 때문이다. 이 신앙으로 야훼의 율법을 지키고 하나님께서 백성과 함께 가리라는 약속을 따라 살 수 있게 되었다.
참 고 서 적
앤더슨, 버나드. W. 구약성서의 이해, 제석봉역,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3.
Hayes, W. C. The Scepter of Egyp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art I, 1953.
Steindorff and Seele, When Egypt Ruled the East,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Wood, Leon. A Survey of Israel's History, 김의원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한정국, 이스라엘의 선교사 소명,「미전도종족 선교의 기초」강의안,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