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 건축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원 화성 건축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화성의 축성 동기

●화성의 축성계획

●화성 시설물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루는 화서문의 남쪽 산 위 휘어 굽은 곳에 있다.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동북 3칸은 마루를 깔고 사면을 평난간으로 둘렀다. 위에는 판문을 설치하고 외면에는 모두 짐승의 얼굴을 그리고 화살 구멍을 내었다.
서남 각루는 일명 화양루(華陽樓)라고도 하는데, 성의 서남쪽으로 멀리 떨어지고 높은 지점 경치 좋은 곳에 따로 우뚝 서 있다. 정면 2칸이고 측면 3칸으로, 앞의 4칸은 바닥에 전돌을 깔아 삼면을 개방하였고 뒤의 2칸은 방을 들였다.
(8) 포 루 ( 砲 樓 )
포루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그 안에 화포를 감추어 두었다가 적을 공격하도록 만든 것이다. 모두 전돌을 쌓아 벽을 이루고, 위에는 작은 누각식의 건물을 올렸는데 수원성에는 서포루, 북서 포루, 동포루, 동북 포루, 남포루의 다섯 포루를 설치하였다.
(9) 포 루 ( 樓 )
이 포루는 화포를 장착한 것이 아니고 치성위에 대를 만들고 그 위에 건물을 세운 것을 가리키는데, 치성의 군사들을 가려 적이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세운 것이며 모두 다섯 군데에 설치하였다. 동북 포루는 각건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방화수류정 동쪽으로 지세가 갑자기 높아져서 용두를 굽어보는 곳에 위치하였다. 그 밖에 서암문 남쪽에 서포루, 북서 포루 서쪽에 북 포루, 창룡문 남쪽에 동 1포루, 봉돈 남쪽에 동 2포루가 있다.
(10) 봉 돈 ( 烽 墩 )
봉돈은 행궁을 지키고 성을 파수하며 주변을 정찰하여 인근에 사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시설로 다섯 개의 커다란 연기 구멍을 두어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성벽 일부를 치성처럼 밖으로 돌출시키고 아래는 돌로 쌓고 위는 전돌을 성벽보다 높이 쌓아 상부에 성가퀴를 두었다.
내부는 3층으로 만들어서 제일 높은 곳에 다섯 개의 화두를 설치하였다. 다섯 개의 화두 가운데 평상시에는 남쪽의 첫째 것만을 사용하는데, 저녁마다 남쪽의 화두에서 횃불을 올리면 동쪽으로 용인 석상산의 육봉(육봉)에서 봉화로 응하고, 서쪽으로는 수원부의 흥천대에 있는 바다 봉화둑에서 응하게 된다.
참 고 문 헌
1.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 김동욱 9602 발언
2. 수원성 김동욱 8905 대원사
3. 한국의 전통건축 장경호 9208 문예출판사
4. 꿈의 문화유산, 화성 유봉학 9611 신구문화사
5. 한국화 자료 이재화 7906 신도출판사
6. 한국건축의장 주남철 7909 일지사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0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