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모음 체계의 변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5세기 모음 체계의 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문

Ⅱ. 본문
1. 15세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
2. 설축(舌縮)대립의 모음체계와 구축(口蹙)자질
3. 모음조화
4. 전후대립의 성립과 원순모음화
5. 이중모음의 통시적 발달

Ⅲ.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에 등장했다.
/we/와 /wi/는 모음체계상에 새로 등장한 /o/, /u/ 와 합병되었으나, 이들은 부자연스러운 유표모음이므로 현대국어에서 확고한 위치를 지니지 못하게 되었다. 이는 여러 방언에서의 /외/, /위/가 /o/, /u/ 가 아니라 /we/, /wi/로 실현되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는 이러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같은 수직적 대립을 이루는 전후 대립 체계로 기틀을 잡게 되었다.
l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그림 2 현대국어의 모음체계>
Ⅲ. 결어
설축[ATR]에 의한 대각 체계로 대립을 보이던 15세기의 국어 모음 체계는 이중모음의 통시적 발달, 모음조화 체계의 문란, 원순모음화 등의 현상과 더불어 현대의 'l', 'ㅔ', '(ㅟ)' , (ㅚ)', 'ㅐ'와 'ㅡ', 'ㅓ', 'ㅏ', 'ㅜ', 'ㅗ'의 전후 대립 체계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중세 국어가 근대 국어를 거쳐 현대국어체계로 이행함에 따라 아직까지 풀리지 않고 있는 국어 모음 체계의 변천과 관련된 문제가 많다.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박종희(2001), 국어 음운사 연구. 서울: 보고사
최전승 외(2000), 국어학의 이해. 서울: 태학사
국립국어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 실태 연구 1. 일신정판사
노대규 외(1997), 국어학서설. 서울: 신원문화사
조성문(2001), "최적성이론에 의한 모음조화의 변화 분석" . 한양대학교
이기문, 김진우, 이상억(1984/1996), 국어 음운론. 서울: 학연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