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한국적인 정서 '아리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장 한국적인 정서 '아리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아리랑의 유래

2.영화 '아리랑'

3.'민요'로써의 '아리랑'

4.아리랑에서 느껴지는 정서 '한'

5.'한'과 우리민족의 관계

참고서적

본문내용

으로만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 표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의 문화. 즉 '한문화'라고 정의한다.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부당하다고 생각될 때 억울하고 분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런 감정에는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사노(私怒)'와 추상적이고 제도적인 '공노(公怒)'가 있다. 우리들은 그러한 노여움에 대하여 반대급부로 복수하고자 하는 감정이 유발된다. 분노와 복수심은 비례한다. 즉 동일선상에서 등가적인 교환 관계로서 처리된다. 예를 들어서 분노한 만큼 갚으려는 것이 일반적인 심리일 것이다. 아니 오히려 분노보다 더 크고 더 많이 갚고자 한다. 마치 돈이나 물건을 남에게 비려 주고 이자나 그에 상당하는 것을 보태 받고자 하는 것과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분노와 복수가 되풀이된다면 사회는 영속적으로 분쟁이 그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사회는 이러한 분쟁을 조정하는 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아리랑은 한국인의 이러한 감정을 감싸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상징이자 우리 민족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민요이다.
참고서적.
강무학. 『아리랑 우리정서·우리문화』. 서문문화사. 1995년.
최길성. 『韓國人의 恨』. 예전사. 1991년.

키워드

아리랑,   한국,   정서,   민요,   유래,   민족,   상징,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0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