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1.아리랑의 유래
2.영화 '아리랑'
3.'민요'로써의 '아리랑'
4.아리랑에서 느껴지는 정서 '한'
5.'한'과 우리민족의 관계
참고서적
1.아리랑의 유래
2.영화 '아리랑'
3.'민요'로써의 '아리랑'
4.아리랑에서 느껴지는 정서 '한'
5.'한'과 우리민족의 관계
참고서적
본문내용
으로만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 표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의 문화. 즉 '한문화'라고 정의한다.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부당하다고 생각될 때 억울하고 분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런 감정에는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사노(私怒)'와 추상적이고 제도적인 '공노(公怒)'가 있다. 우리들은 그러한 노여움에 대하여 반대급부로 복수하고자 하는 감정이 유발된다. 분노와 복수심은 비례한다. 즉 동일선상에서 등가적인 교환 관계로서 처리된다. 예를 들어서 분노한 만큼 갚으려는 것이 일반적인 심리일 것이다. 아니 오히려 분노보다 더 크고 더 많이 갚고자 한다. 마치 돈이나 물건을 남에게 비려 주고 이자나 그에 상당하는 것을 보태 받고자 하는 것과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분노와 복수가 되풀이된다면 사회는 영속적으로 분쟁이 그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사회는 이러한 분쟁을 조정하는 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아리랑은 한국인의 이러한 감정을 감싸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상징이자 우리 민족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민요이다.
참고서적.
강무학. 『아리랑 우리정서·우리문화』. 서문문화사. 1995년.
최길성. 『韓國人의 恨』. 예전사. 1991년.
아리랑은 한국인의 이러한 감정을 감싸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상징이자 우리 민족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민요이다.
참고서적.
강무학. 『아리랑 우리정서·우리문화』. 서문문화사. 1995년.
최길성. 『韓國人의 恨』. 예전사. 1991년.
추천자료
[경제원론] 중국경제의 동향, 전망
중국과 중국 시장
붉은 산 - 김동인
한일 문화 비교 - 한복과 기모노
색채에 나타난 이미지와 표현
중국 개관
중국의 경제에 관한 연구 고찰
한복의 세계화(문화교류론)
어떤 음식은 생각하기에 좋다-김치와 한국민족성의 정수-
[전통염색][천연염색][식물염색]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개념, 전통염색(천연염색, ...
식생활과문화1A)우리나라떡의어원역사종류외식산업의발전과정과그현황에대해알아보시오0k
말(馬)에 관한 이야기(言)
당금애기(제석본풀이)
현대의서양문화4B) 서구중심주의와제국주의 인종주의가 어떤면에서 서로다르고 서로 공통점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