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의 생활체육
2. 미국 생활체육
2. 미국 생활체육
본문내용
들어오자마자 자신이 들어갈 클럽을 결정해야 하고 거기서 이들은 후배라는 지위를 얻는다. 각 클럽은 부실(部室)이라고 해서 학교 안에 각 방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서 옷을 갈아입고 회의도 한다. 선·후배의 상하관계는 철저하며 후 배는 선배의 심부름은 물론 방청소와 그라운드 정비, 체 육관청소등, 모든봉사를 담당한다.
2학년생은 중견(中堅)이다. 그들은 1학년생을 지도, 관리하고 3학년생을 모신다. 여기서 2학년생은 시합(試合)에 있어서 중심 일원인 동시에 중심 간부이기도 하다. 3학년생은 고등학교 입시 준비 때문에 은퇴한다. 그들은 가끔 부실을 방문하고 후배를 격려한다. 선·후배간의 인사는 철저하며 마치 군대처럼 행해진다. 이러한 질서의식이 중학시절로부터 확립되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으로 인해 개인주의, 이기주의를 막을 수 없는 현실에서 예의(禮儀)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선배에 대한 경의(敬意)나 인사를 가르칠수있는것도 클럽의 큰 특징이다.
이렇게해서 일본의 많은 하급 중학생들은 아침 일찍 등교한다. 운동장을 정비하고 체육관을 청소하고 근육운동 등 준비체조를 하고 그 날의 연습을 준비하기 위해서 이다. 또 시합이 가까워지면 조연(早練)이라고 해서 아침 6시부터 연습을 할 때도 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고 수업을 받고, 또 수업이 끝나자마자 운동하고 집으로 가는 이들은 저녁을 먹으면 이미 마음도 몸도 피로곤비(疲勞困憊)한다. 그러나 그들은 있는 힘을 다내고 그날의 수업의 복습과 내일의 예습을 해야한다. 텔레비전도 인터넷도 그 들에게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물건이다.
이러한 생활은 평일 뿐만 아니라 일요일이나 방학 때에도 계속되기 때문에 그가혹(苛酷)함에 대해서 우려하는학부모의 목소리도 많다. 그러나 이것이 특별한 일부 학생의 경우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 중학생 전반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할수있다.
학교와 관련된 사회행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체육계 클럽활동이 활발한 일본에서 학생들에게 친밀한 것은 각종 스포츠 대회이다. 많은 일본 중학생들에게 가장 큰 삶의 긴장감을주는 것은 실은 학교 학업이 아니라 스포츠의 시합(試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대항으로 이겨 내고현(縣) 대회로 가고 최후에는 전국대회까지 오르는것이 그들의 꿈이다. 공부와 운동이라는 학교 생활의 성과가 평가될 결실이 바로 체육대회에서의 승리라는 것이다.
건강한 성장의 열쇠는 운동
일본에서 중학생에게 특별히 운동을 강요하는 이유는 발육이라는 관점뿐만이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가 있다. 일찍 남녀공학제도를 실시해 온 일본에 있어서 사춘기(思春期)의아이들을 도덕적으로 옳고심신(心身) 건강한 인간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사춘기의 최대의 특징인 성(性)을 중심으로 하는 정서(情緖)적 생리적 문제이다.
이성에 대한 관심은 물론, 자신의 신체변화에 동요하고 불안(不安)과 고민에 빠지기쉬운이시기의 아이들에게운동은 최대의 구출수단이 될 수 있다. 육체단련을 통해 과도로남는 에너지와 우울한마음이 겹쳐쌓인우울(憂鬱)을 발산(發散)시켜 성적욕망을 승화(昇華)시킬수 있다.
청소년은 운동에 열중하고 있는 사이에 시간을 잊어 신체의발육과 인격적성장 및 학업을동시에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최근에는 핵가족화(核家族化)로 인한 개인주의와 소자화(少子化) 등 대중(大衆)적 정보화(情報化)사회에서 인간과 인간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는 많은 신세대 아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들은 집단생활이나 선배와 후 배등의 상하관계를 좋아하지 않은 경향이있다.
학교폭력, 이지메, 등교거부(登校拒否), 성(性)문제, 음 주, 흡연 등, 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 속에 소· 중학교 교육은 어려움을 경험해 왔다. 최근에 일본 문부성 (文部省)의 조사에 의하면 아이들의 체격은 많이 개선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몸의 유연(柔軟)성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고 운동 능력도 계속 내려가고 있다고 한다. 많은 청소년은 몸의 이상을 호소하고 있고 놀이나 자연경험의 결 에서오는 마음의 비뚤어 짐도 일반적으로 나타나고있다.
도코도(東京都)의 소·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5명중 한 명이 성인병(成人病)의 가능성이 있고 4명 중의 한 명이“큰 소리를 내고 난폭하게 굴고 싶다”거나, “짜증난다”등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자각증상을 호소 하고 있다. 소·중학생의 12 %가 비만(肥滿)이며 12 %가콜 레스테롤의 평균수준을 넘어 16 %가 불면(不眠)에 고민하고 있고 60 %가“언제나 잠이 온다”며 수면부족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또 남자 중학생의 10명 중 한 명은 1주일 에 한번 이상 음주하고 성장기의 심신을 장해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사춘기에술을마시면 뇌나 생식기의발육에 큰영향을 미칠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 속에 일본 문부성(文部省)은 20년 전부터교육개혁을 계획했고, 이미 10년전부터 새로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의 큰 특징은 창조력과 개성을키우는것이다.
즉, 기존의 지식을 기억하는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생 각하는 교육이며 학교는 경쟁하는 곳이 아니라 개성을 키우는 곳이다. 한마디로 ‘지식 중심’에서‘창조성 중시’로 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부족으로 인한 여러 장애는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운동의 참뜻을 다시 새길 때
한국의 중·고등학교는 아직도 남녀공학을 실시하고 있 지 않은 곳도 많고, 입시 위주의 엄한 스케줄 속에 학생들 은 공부로 바쁘게 보내도록 유도하고 있다. 많은 학생은 심한 경쟁논리 속에 성적의 점수에만 관심을 가지면서 어려운 사춘기를 넘어간다. 그러나이제 인터넷 등 과학기술 의 발달을수단으로 하고윤리나 도덕을 무시하는 여러상 품들에 누구나 쉽게 접할수 있는 오늘의 상황에서는 어떤 것을 막는 식의 교육은 이미 효과가 없다. 이러한 무방비 상태에서 어떻게 건전한 남녀공학을 이룰수 있겠는가?
무엇보다 이제 한국교육도 창조력 개발위주의 교육으로 변해야 될오늘의 이 시점에서 앞으로 청소년에게 주게될 자유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게 할것인가? 이런 문제를 생각할때 우리는 다시운동의 의의와 효과에 대해서 생각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2학년생은 중견(中堅)이다. 그들은 1학년생을 지도, 관리하고 3학년생을 모신다. 여기서 2학년생은 시합(試合)에 있어서 중심 일원인 동시에 중심 간부이기도 하다. 3학년생은 고등학교 입시 준비 때문에 은퇴한다. 그들은 가끔 부실을 방문하고 후배를 격려한다. 선·후배간의 인사는 철저하며 마치 군대처럼 행해진다. 이러한 질서의식이 중학시절로부터 확립되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으로 인해 개인주의, 이기주의를 막을 수 없는 현실에서 예의(禮儀)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선배에 대한 경의(敬意)나 인사를 가르칠수있는것도 클럽의 큰 특징이다.
이렇게해서 일본의 많은 하급 중학생들은 아침 일찍 등교한다. 운동장을 정비하고 체육관을 청소하고 근육운동 등 준비체조를 하고 그 날의 연습을 준비하기 위해서 이다. 또 시합이 가까워지면 조연(早練)이라고 해서 아침 6시부터 연습을 할 때도 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고 수업을 받고, 또 수업이 끝나자마자 운동하고 집으로 가는 이들은 저녁을 먹으면 이미 마음도 몸도 피로곤비(疲勞困憊)한다. 그러나 그들은 있는 힘을 다내고 그날의 수업의 복습과 내일의 예습을 해야한다. 텔레비전도 인터넷도 그 들에게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물건이다.
이러한 생활은 평일 뿐만 아니라 일요일이나 방학 때에도 계속되기 때문에 그가혹(苛酷)함에 대해서 우려하는학부모의 목소리도 많다. 그러나 이것이 특별한 일부 학생의 경우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 중학생 전반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할수있다.
학교와 관련된 사회행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체육계 클럽활동이 활발한 일본에서 학생들에게 친밀한 것은 각종 스포츠 대회이다. 많은 일본 중학생들에게 가장 큰 삶의 긴장감을주는 것은 실은 학교 학업이 아니라 스포츠의 시합(試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대항으로 이겨 내고현(縣) 대회로 가고 최후에는 전국대회까지 오르는것이 그들의 꿈이다. 공부와 운동이라는 학교 생활의 성과가 평가될 결실이 바로 체육대회에서의 승리라는 것이다.
건강한 성장의 열쇠는 운동
일본에서 중학생에게 특별히 운동을 강요하는 이유는 발육이라는 관점뿐만이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가 있다. 일찍 남녀공학제도를 실시해 온 일본에 있어서 사춘기(思春期)의아이들을 도덕적으로 옳고심신(心身) 건강한 인간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사춘기의 최대의 특징인 성(性)을 중심으로 하는 정서(情緖)적 생리적 문제이다.
이성에 대한 관심은 물론, 자신의 신체변화에 동요하고 불안(不安)과 고민에 빠지기쉬운이시기의 아이들에게운동은 최대의 구출수단이 될 수 있다. 육체단련을 통해 과도로남는 에너지와 우울한마음이 겹쳐쌓인우울(憂鬱)을 발산(發散)시켜 성적욕망을 승화(昇華)시킬수 있다.
청소년은 운동에 열중하고 있는 사이에 시간을 잊어 신체의발육과 인격적성장 및 학업을동시에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최근에는 핵가족화(核家族化)로 인한 개인주의와 소자화(少子化) 등 대중(大衆)적 정보화(情報化)사회에서 인간과 인간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는 많은 신세대 아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들은 집단생활이나 선배와 후 배등의 상하관계를 좋아하지 않은 경향이있다.
학교폭력, 이지메, 등교거부(登校拒否), 성(性)문제, 음 주, 흡연 등, 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 속에 소· 중학교 교육은 어려움을 경험해 왔다. 최근에 일본 문부성 (文部省)의 조사에 의하면 아이들의 체격은 많이 개선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몸의 유연(柔軟)성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고 운동 능력도 계속 내려가고 있다고 한다. 많은 청소년은 몸의 이상을 호소하고 있고 놀이나 자연경험의 결 에서오는 마음의 비뚤어 짐도 일반적으로 나타나고있다.
도코도(東京都)의 소·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5명중 한 명이 성인병(成人病)의 가능성이 있고 4명 중의 한 명이“큰 소리를 내고 난폭하게 굴고 싶다”거나, “짜증난다”등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자각증상을 호소 하고 있다. 소·중학생의 12 %가 비만(肥滿)이며 12 %가콜 레스테롤의 평균수준을 넘어 16 %가 불면(不眠)에 고민하고 있고 60 %가“언제나 잠이 온다”며 수면부족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또 남자 중학생의 10명 중 한 명은 1주일 에 한번 이상 음주하고 성장기의 심신을 장해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사춘기에술을마시면 뇌나 생식기의발육에 큰영향을 미칠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 속에 일본 문부성(文部省)은 20년 전부터교육개혁을 계획했고, 이미 10년전부터 새로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의 큰 특징은 창조력과 개성을키우는것이다.
즉, 기존의 지식을 기억하는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생 각하는 교육이며 학교는 경쟁하는 곳이 아니라 개성을 키우는 곳이다. 한마디로 ‘지식 중심’에서‘창조성 중시’로 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부족으로 인한 여러 장애는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운동의 참뜻을 다시 새길 때
한국의 중·고등학교는 아직도 남녀공학을 실시하고 있 지 않은 곳도 많고, 입시 위주의 엄한 스케줄 속에 학생들 은 공부로 바쁘게 보내도록 유도하고 있다. 많은 학생은 심한 경쟁논리 속에 성적의 점수에만 관심을 가지면서 어려운 사춘기를 넘어간다. 그러나이제 인터넷 등 과학기술 의 발달을수단으로 하고윤리나 도덕을 무시하는 여러상 품들에 누구나 쉽게 접할수 있는 오늘의 상황에서는 어떤 것을 막는 식의 교육은 이미 효과가 없다. 이러한 무방비 상태에서 어떻게 건전한 남녀공학을 이룰수 있겠는가?
무엇보다 이제 한국교육도 창조력 개발위주의 교육으로 변해야 될오늘의 이 시점에서 앞으로 청소년에게 주게될 자유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게 할것인가? 이런 문제를 생각할때 우리는 다시운동의 의의와 효과에 대해서 생각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추천자료
생활 체육의 의의, 필요성 및 역할.
현대생활과 체육
노인 생활 체육 프로그램
연령별 생활 체육
사회(생활)체육 지도 대상론
[남북한 종교비교][남북한 여가생활비교][남북한 명절비교][남북한 민속놀이비교][남북한 체...
3)체육-1. 건강생활의 첫걸음 -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위생 습관을 바르게 알고 실천하기
3)체육-1. 건강 생활의 첫걸음 - 질병 예방을 위한 위생 습관 실천하기
고대 중국 스포츠 체육, 특징, 활동, 정의, 생활, 유래, 쿵푸, 종교, 사냥, 수렵, 무용, 족구...
원시 스포츠 특징, 체육 활동, 정의, 생활, 유래, 유희, 종교, 행사, 원시시대 체육, 가치, ...
장애인 생활 체육
[현대생활과 체육] 수업정리 시험기출문제
[수업지도안, 학습지도안, 활동지도안] 체육과 교양과목 수업지도안, 체육과 교양수업 건강한...
[체육과 건강] 체중조절과 운동처방, 비만과 올바른 식생활 (고등학생대상 수업계획서, 교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