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과학적 조사의 기본 문제
ꊱ 과학적 조사(연구) 방법
ꊲ 과학적 조사(연구)의 목적
ꊳ 과학적 조사방법의 기본 가정
ꊴ 과학적 지식의 특징
ꊵ 과학적 사고방법과 기타방법의 차이
ꊶ 과학과 윤리
2장. 과학적 조사의 기본 요소
ꊱ 개념, 명제 및 이론의 관계
ꊲ 개념 (Concepts)
ꊳ 정확한 개념 전달을 저해하는 요인
ꊴ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ꊵ 이론 (Theory)
ꊶ 변수
3장.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과 절차
ꊱ 과학적 조사의 유형
ꊲ 과학적 조사의 절차(과정)
ꊱ 과학적 조사(연구) 방법
ꊲ 과학적 조사(연구)의 목적
ꊳ 과학적 조사방법의 기본 가정
ꊴ 과학적 지식의 특징
ꊵ 과학적 사고방법과 기타방법의 차이
ꊶ 과학과 윤리
2장. 과학적 조사의 기본 요소
ꊱ 개념, 명제 및 이론의 관계
ꊲ 개념 (Concepts)
ꊳ 정확한 개념 전달을 저해하는 요인
ꊴ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ꊵ 이론 (Theory)
ꊶ 변수
3장.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과 절차
ꊱ 과학적 조사의 유형
ꊲ 과학적 조사의 절차(과정)
본문내용
tory research = explanatory study)
: 사실과 사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이러한 규명결과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 대개 기술적 조사를 바탕으로 함
- ex) 학력 - 소득의 관계
다. 탐색적 조사 (exploratory research = exploratory study) = 예비 조사 (pilot study)
: 본 연구에 들어가기 전에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조사 - ex) 문헌 조사, 경험자 조사
3. 통제 정도에 의한 분류
가. 실험실 조사 : 조사 대상을 통제하고 수행하는 조사 - 대개 자연과학 계통의 조사
나. 현지 조사 : 현지에서 조사 대상을 직접 관찰하는 조사, 어려움
가장 오래된 조사 방법 : AD 5C부터 - 고고학, 문화 인류학
4. 통계 조사 : 수량적(양적) 값을 얻기 위한 조사
가. 전수 조사 : 조사 대상이라고 생각되는 모든 부분을 전부 조사하는 것
ex) 국세 조사, 인구 조사, 농지 조사 등
- 전수 조사를 하는 이유
1. 오차가 없는 내용의 조사가 필요할 때
2. 모집단이 비교적 적은 경우
3. 표본 조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
나. 표본 조사 : 조사 대상 전체(모집단)의 일부분을 선출(표본)하여 그 전체를 추정하는 조사
5. 사례 조사와 서베이 조사
가. 사례 조사 (case study)
: 특정 조사 대상을 문제와 관련된 가능한 모든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조사
- ex) 위인 전기, 박정희 (모든 측면)
나. 서베이 조사 (survey research) = 표본 조사
: 조사 단위의 특정 국면을 획일적으로 조사하는 방법
- ex) 독재자 - 키 : 상관 관계가 있다.
과학적 조사의 절차(과정)
1. 문제의 형성 : 연구할 문제를 찾음
2. 가설의 설정 : 가설이 있음으로서 연구자의 비용, 시간을 줄여줌
3. 조사 설계 : 가설의 입증을 위한 계획 수림
4. 자료의 수집 : 설문서, 면접, 관찰
5. 자료의 분석 : 회기분석...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ex) 의사들의 진료
1. 문제의 형성 : 환자들이 문제를 가지고 옴
2. 가설의 설정 : 폐결핵일 것이다. // 일류병원에 가라! - 유능한 사람은 가설을 잘 세움
3. 조사 설계 : 엑스레이 촬영, 피 검사, 가래 검사 후 3일후에 와라.
4. 자료의 수집 : 엑스레이 촬영, 피 검사, 가래 검사의 모든 자료 수집
5. 자료의 분석 :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 결론 - 폐결핵 , 보고서 - 처방전
ex) 형사들의 수사 - 살인사건
1. 문제의 형성 : 사건이라는 문제가 생김
2. 가설의 설정 : 자살 / 타살 | 타살이라면 치정 / 강도 : 치정 타살일 것이다.
3. 조사 설계 : 치정 타살이라면 주변의 의심되는 인물에 대해 알아봄
4. 자료의 수집 : 현장 자료, 사진 자료, 주변 사람들의 자료 수집
5. 자료의 분석 : 모든 자료의 분석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 결론 - A의 치정 타살 , 보고서 - 살인사건 보고서
: 사실과 사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이러한 규명결과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 대개 기술적 조사를 바탕으로 함
- ex) 학력 - 소득의 관계
다. 탐색적 조사 (exploratory research = exploratory study) = 예비 조사 (pilot study)
: 본 연구에 들어가기 전에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조사 - ex) 문헌 조사, 경험자 조사
3. 통제 정도에 의한 분류
가. 실험실 조사 : 조사 대상을 통제하고 수행하는 조사 - 대개 자연과학 계통의 조사
나. 현지 조사 : 현지에서 조사 대상을 직접 관찰하는 조사, 어려움
가장 오래된 조사 방법 : AD 5C부터 - 고고학, 문화 인류학
4. 통계 조사 : 수량적(양적) 값을 얻기 위한 조사
가. 전수 조사 : 조사 대상이라고 생각되는 모든 부분을 전부 조사하는 것
ex) 국세 조사, 인구 조사, 농지 조사 등
- 전수 조사를 하는 이유
1. 오차가 없는 내용의 조사가 필요할 때
2. 모집단이 비교적 적은 경우
3. 표본 조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
나. 표본 조사 : 조사 대상 전체(모집단)의 일부분을 선출(표본)하여 그 전체를 추정하는 조사
5. 사례 조사와 서베이 조사
가. 사례 조사 (case study)
: 특정 조사 대상을 문제와 관련된 가능한 모든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조사
- ex) 위인 전기, 박정희 (모든 측면)
나. 서베이 조사 (survey research) = 표본 조사
: 조사 단위의 특정 국면을 획일적으로 조사하는 방법
- ex) 독재자 - 키 : 상관 관계가 있다.
과학적 조사의 절차(과정)
1. 문제의 형성 : 연구할 문제를 찾음
2. 가설의 설정 : 가설이 있음으로서 연구자의 비용, 시간을 줄여줌
3. 조사 설계 : 가설의 입증을 위한 계획 수림
4. 자료의 수집 : 설문서, 면접, 관찰
5. 자료의 분석 : 회기분석...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ex) 의사들의 진료
1. 문제의 형성 : 환자들이 문제를 가지고 옴
2. 가설의 설정 : 폐결핵일 것이다. // 일류병원에 가라! - 유능한 사람은 가설을 잘 세움
3. 조사 설계 : 엑스레이 촬영, 피 검사, 가래 검사 후 3일후에 와라.
4. 자료의 수집 : 엑스레이 촬영, 피 검사, 가래 검사의 모든 자료 수집
5. 자료의 분석 :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 결론 - 폐결핵 , 보고서 - 처방전
ex) 형사들의 수사 - 살인사건
1. 문제의 형성 : 사건이라는 문제가 생김
2. 가설의 설정 : 자살 / 타살 | 타살이라면 치정 / 강도 : 치정 타살일 것이다.
3. 조사 설계 : 치정 타살이라면 주변의 의심되는 인물에 대해 알아봄
4. 자료의 수집 : 현장 자료, 사진 자료, 주변 사람들의 자료 수집
5. 자료의 분석 : 모든 자료의 분석
6. 결론 및 보고서의 작성 : 결론 - A의 치정 타살 , 보고서 - 살인사건 보고서
추천자료
사회과학적 이해(Understanding)의 성격에 관한 고찰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에 대한 고찰 및 오늘날의 적용
영화 속의 과학적 오류 검정 분석
사회과학적 설명에 있어서 기능주의와 인과성 논쟁
사회과학의 과학적 연구에 따르는 문제점
<테일러의 과학적관리> 독후감
<테일러의 과학적관리>를 읽고
사회복지와 과학적 방법의 필요성
사회복지에서 과학적 탐구가 가지는 의의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서술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과 페이욜의 과정관리론에 대한 분석 및 비교
영화 속 과학적 오류(아마겟돈,딥 임팩트,콘텍트)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어려운 점에 대하여 자유롭게 서술하시오.
과학적 연구의 과정과 요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