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코트 깊숙이 셔틀을 쳐서 넘기려고 할 때 전위가 도중에 셔틀을 막아 리턴하는 것을 말한다.
*크로스 코트 쇼트(cross court shot): 코트를 대각으로 지르는 듯이 날으는 플라이트.
*클리어(clear): 높고 멀리 상대방의 백 바운더리 라인 부근까지 푸물선을 그리는 듯이 플라이트 하는 타법으로 하이 클리어와 드리븐 클리어의 두 종류가 있다.
*터치 더 네트(touch the net): 플레이 중에 라켓이나 몸 또는 의복의 일부가 네트에 닿는 것으로 반칙이 된다.
*토스 서비스(toss service): 몸의 전방이나 옆에서 셔틀을 가볍게 위로 던졌다가 쳐서 넘기는 서브 방법이다.
*페이스 오브 오퍼레이션(pace of operation): 상대의 타격에 대응해서 움직이는데 가장 유효한 위치, 즉 단식 경기의 경우에는 플레잉 코트의 중앙 부근이고, 복식 경기에서는 각자 담당 구역의 중앙 부근이며, 이것은 시시각각 변동하는 수가 많다. 플레이어는 리턴을 끝마치고 즉시 정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을 홈 포지션(home position)이라고도 한다.
*포 핸드 스트록(fore hand stroke): 라켓을 잡은 손쪽으로 오는 셔틀을 리턴할 때 쓰이는 스트록.
*폽 업(pop-up): 속력이 없고 높은 플라이트로서 네트 가까이에 또는 네트에서 멀지 않은 곳에 떨어지는 플라이트이며, 기술상 어딘가에 결점이 있을 때 일어난다. 상대편에 강력한 킬 리턴의 기회를 주는 치명적인 플라이트이다.
*풋 폴트(foot fault): 서비스를 할 때 서버나 리시버의 두 발의 일부가 서비스를 칠 때까지 지면이나 마루 바닥에 정지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반칙의 일종이다.
*푸시(push): 셔틀을 앞으로 미는 듯이 치는 것.
*플릭(flick): 스트록 최종 단계에 있어서 라켓이 셔틀에 닿기 직전에 팔목을 재빨리 잡아 당기는 동작.
*하이 클리어(high clear): 스피드 있고 높이 올라가는 플라이트. 상대편의 머리 위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는 것의 플라이트.
*헤드 룸(head room): 코트의 위쪽, 천정까지 공간을 뜻하며, 지면에서 25피트이상이 있어야 한다.
*헤어핀 플라이트(hairpin flight): 네트 플라이트라고도 하며, 네트 바로 옆에서 달린 짧은 거리의 플라이트, 네트를 타고 넘어 바로 아래에 떨어지는 플라이트.
※ 참고문헌 : 『배드민턴』-金慶容 外4 공저 (韓一社)
*크로스 코트 쇼트(cross court shot): 코트를 대각으로 지르는 듯이 날으는 플라이트.
*클리어(clear): 높고 멀리 상대방의 백 바운더리 라인 부근까지 푸물선을 그리는 듯이 플라이트 하는 타법으로 하이 클리어와 드리븐 클리어의 두 종류가 있다.
*터치 더 네트(touch the net): 플레이 중에 라켓이나 몸 또는 의복의 일부가 네트에 닿는 것으로 반칙이 된다.
*토스 서비스(toss service): 몸의 전방이나 옆에서 셔틀을 가볍게 위로 던졌다가 쳐서 넘기는 서브 방법이다.
*페이스 오브 오퍼레이션(pace of operation): 상대의 타격에 대응해서 움직이는데 가장 유효한 위치, 즉 단식 경기의 경우에는 플레잉 코트의 중앙 부근이고, 복식 경기에서는 각자 담당 구역의 중앙 부근이며, 이것은 시시각각 변동하는 수가 많다. 플레이어는 리턴을 끝마치고 즉시 정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을 홈 포지션(home position)이라고도 한다.
*포 핸드 스트록(fore hand stroke): 라켓을 잡은 손쪽으로 오는 셔틀을 리턴할 때 쓰이는 스트록.
*폽 업(pop-up): 속력이 없고 높은 플라이트로서 네트 가까이에 또는 네트에서 멀지 않은 곳에 떨어지는 플라이트이며, 기술상 어딘가에 결점이 있을 때 일어난다. 상대편에 강력한 킬 리턴의 기회를 주는 치명적인 플라이트이다.
*풋 폴트(foot fault): 서비스를 할 때 서버나 리시버의 두 발의 일부가 서비스를 칠 때까지 지면이나 마루 바닥에 정지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반칙의 일종이다.
*푸시(push): 셔틀을 앞으로 미는 듯이 치는 것.
*플릭(flick): 스트록 최종 단계에 있어서 라켓이 셔틀에 닿기 직전에 팔목을 재빨리 잡아 당기는 동작.
*하이 클리어(high clear): 스피드 있고 높이 올라가는 플라이트. 상대편의 머리 위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는 것의 플라이트.
*헤드 룸(head room): 코트의 위쪽, 천정까지 공간을 뜻하며, 지면에서 25피트이상이 있어야 한다.
*헤어핀 플라이트(hairpin flight): 네트 플라이트라고도 하며, 네트 바로 옆에서 달린 짧은 거리의 플라이트, 네트를 타고 넘어 바로 아래에 떨어지는 플라이트.
※ 참고문헌 : 『배드민턴』-金慶容 外4 공저 (韓一社)
추천자료
경찰(의경)용어정리(한글자음순)
월마트와델의 물류관리, 물류용어정리
구조적 가족치료와 다세대 가족치료 용어정리
performance areas (용어정리)
Performance components (용어정리)
성형외과 코디를 위한 용어정리
[위드서핑]윈드서핑용어정리
교육학개론 개념, 용어정리
비뇨기계와 남성생식기계의 구조와 기능 및 용어정리
이비인후과계와 안과계 구조와 기능 및 용어정리
수묵화지도(수묵화교육)의 용어정리와 중요성, 수묵화지도(수묵화교육)의 이론과 참고작품, ...
경영의 이해 교재 용어정리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제 용어정리 및 정의
경영(經營)용어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