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와고려전기귀족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와고려전기귀족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설화와 역사 사이
1.이념 정립의 대립양상과 설화
2 위대한 인물의 탄생
3. <가락국기>
4. <수이전>
5. <삼국사기>

고려 전기 귀족문학의 결산
1 예종 시절의 풍류
2. 동조자와 비판자
3. 격동의 와중에서
4. 김부식의 시대
5 마지막 시기의 정서

본문내용

신세계 구현하고자 불교에 기원
* <대각국사비문> : 유학의 도리를 내세우며 사상을 통합하려고 했지만,
불교가 유학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을 인정
5 마지막 시기의 정서
1) 문인들의 상황
- 의종의 실정으로 일반 백성은 물론, 집권층 내부에서 한층 더 불만이 거세졌는데,
무신란(1170년, 의종 24)이 일어나기까지 의종 때의 문인들은 비판을 하다가 박해를
당하기도 했고, 함께 휩쓸려 정권과 운명을 같이하기도 함
(1) 정습명(?~1151) : 의종의 잘못을 거침없이 간하다가 왕의 미움을 사 마침내 자살,
<석죽화> : 부귀를 탐내는 귀공자들의 세계에서 벗어나 거친들판에 피어있는 석죽화를
농사짓는 늙은이와 바라본다는 내용
(2) 신숙(?~1160) ; 의종 때 득세한 내시의 무리에 대한 비판을 간하다가 좌천되어,
벼슬을 버리고 시골로 귀향
(3) 최유청(1093~1174) : 가문과 지위도 상당하면서도 횡포를 저지르는데 가담하지 않음
*<우서> : 늘그막까지 책을 뒤적인다 하고 마음의 위안을 시골마을에서 찾는다는 내용
*<최귀고원> : 처음으로 고향을 찾았다는 기분을 읊은 내용
(4) 고조기(?~1157)
* 제주도 토착 지배세력이며 성주라는 칭호를 세습함, 아버지대 이어 과거정식 급제
*<진도강정> : 개경과 제주도라는 양극의 중간인 진도에서 두 세계에 함께 속산 자신 을 되돌아보며, 개경에서 높은 벼슬을 한 것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담은 내용
(5) 김돈중(?~1170) : 김부식의 아들, 과거 수석, 방자한 성격지님
*<숙안락군선원> : 절간을 찾아 모든 근심을 떨어버린다는 내용
(함께 생각해봅시다.)
<질문1> 하층민의 아기장수설화 임철호(1996).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구비문학연구』 제3집. 한국구비문학회.
어느 평민의 집안에 아기가 태어났다. 아기는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아 천장을 날아다니는 등 비범함을 보였다. 이 사실을 안 부모가 놀라서 아기의 몸을 살펴보니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려 있었다. 평민의 집안에 태어난 장수는 역적이 되어 가문을 망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 부모가 아기장수를 돌로 눌러 죽였다. 아기장수가 죽자 용마가 나서 울다가 용소에 빠져 죽었다. 그 흔적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전승되는 아기장수설화의 일반적인 내용이다. 아기장수설화가 지니는 보다 근원적인 의미는 민중의 비극적인 좌절이다. 평민의 집안에 태어난 아기가 범인과 다른 비범한 능력을 지닌다는 것은 평민의 사회 진출이 제도적으로 막혀 있던 폐쇄된 사회에서는 불행과 파탄의 발단으로 작용한다. 여기에는 아기 장수의 비범한 능력이 평민 집단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용납될 수 없다는 한계성과 평민태생의 장수는 역적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사고의 폐쇄성이 깔려있다. 아기장수를 거부하는 데 있어서 아기장수와 가장 가까운 부모가 그 일을 담당하는 것은 기존의 사회질서가 아기장수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이다. 여기에는 개인보다는 가문이 가문보다는 국가가 우선한다는 왕권통치사회의 가치관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아기장수설화가 형성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지배 집단에 대한 민중의 거듭된 항거가 패배로 끝나면서 심각한 좌절과 패배의식을 경험하는 과정에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의 영웅성과 상층부의 역사서인 삼국사기 열전에 나오는 영웅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김유신
아기장수
1. 출생
가야 수로왕의 12대 후손이며 금관가야의 구해왕의 증손으로 고귀한 왕가의 혈통을 잇고 태어난 비범한 인물
미천한 평민의 집안
2. 고난
비범한 능력으로 고난극복
예) 백제와 싸울 때 물새의 이동을 보고 백제의 첩자가 올 것을 미리 점쳐 승리
고난극복 실패, 좌절, 죽음
3. 조력자
고난극복의 조력자 등장
예) 열일곱 살때 중악 석굴에 홀로 들어가 적국을 물리치고 난리를 평정할 힘을 달라고 기원했더니 어떤 노인이 나타나 그정성을 시험한 다음 무슨 비법을 전해주었다.
오히려 해치려고 하는 자 등장
예) 평민의 집안에 태어난 장수는 역적이 되어 가문을 망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 부모가 아기장수를 돌로 눌려 죽였다.
4. 목적의식
호국
반역
* 위의 구분은 계층에 따른 영웅성을 구분하여 이분법적으로 살폈는데, 이를 바탕으로 각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민중의 영웅성과 귀족의 영웅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모되어 가는가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질문2> 설화는 허구를 바탕으로 하고 역사는 사실을 바탕으로 함에 설화와 역사는 사실과 허구의 대립이다. 그러나 설화와 역사를 허구와 사실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진실이 드러난다는 관점에서 보면, 역사와 설화 각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질문3> 고려 전기 정치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문학의 일부 흐름이 도가적으로 변해가고 있는데 이는 역사적 흐름에서 혼란스러운 시기마다 등장하는 풍조라고 해야하는가 아니면 고려시대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식해야 하는가?
<질문4> 김부식으로 대표되는 문벌귀족의 역사와 하층민이 바라보는 역사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참고문헌>
최신호(1991). 『한국문학 작가론』. 현대문학. 나손 김동구 선생추모 논총 간행위원회.
김철웅(1996), 『도교의 한국적 변용』. 아세아문화사.
傅樂成(1998). 『中國通史(上)』. 知永社.
이종문(1984). 「高麗前期의 文風과 金富軾의 文學」. 한문학연구 제2집. 계명대 한문학연구소.
(1990). 「정지상의 시세계」. 한문학 연구 제 6집. 계명 한문학 연구회.
임철호(1996).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구비문학연구 제3집. 한국구비문학회.
張成鎭(1985). 「駕洛國記 <銘> 考察」. 한국 전통문화 연구. 창간호. 효성여대 전통문화연구소.
장경남(1991). 「殊異傳 硏究」. 숭실어문 제 8집. 숭실대 숭실어문연구회.
정하영(1981). 「均如傳의 傳記文學的 性格」. 한국언어문학. 제20호. 한국언어문학회.
조동걸외(1994).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上)』. 창작과 비평사.
조동일(1981). 『韓國小說의 理論』.知識産業社.
국사편찬위원회(1994), 『한국사』 17-고려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0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