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주의 교육과 항존주의 교육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보주의 교육과 항존주의 교육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진보주의(進步主義)
(1)진보주의 교육의 의의 및 배경
(2)진보주의의 교육원리
(3)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2. 항존주의(恒存主義)
(1)항존주의 교육의 의의 및 배경
(2)항존주의의 교육원리
(3)항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집중하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학생의 정신성을 중시하고 교육적 영향의 내적 심화를 강조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의 전과정이 확대보다도 통일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교육은 사람의 내적 통일을 조장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의 지성(intelligence)을 억압하기보다 이를 해방하여야 한다. 즉, 학습의 내용에 구애됨이 없이 이성의 완벽을 기하여 정신의 자유를 가져오지 않으면 안 된다.
(3)항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항존주의의 주장은 많은 사람의 호응을 받았지만 역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비판이 따르고 있다.
첫째, 항존주의의 교육은 절대적이고 항구적인 것을 받아들이고 추구하기 때문에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비판정신과 사고의 신장에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둘째, 항존주의가 절대적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는 반면 민주주의의 원리는 상대적인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때 새로운 진리를 탐구하는 과학정신, 자유시민을 육성하는 민주주의의 요청에 위배되는 교육이란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셋째, 지적 원리(mental discipline)을 강조하고 있는데 과연 모든 사람이 고전을 통한 전문교육을 해낼 수용적 자세가 되어 있는지가 문제이다. 사람의 지적능력에는 한도가 있다. 따라서 천부적 능력을 못 가진 대다수의 아동`학생들에게 오히려 다른 능력을 길러주는 편이 더 낫다는 이론이 성립한다. 그들은 많은 아동들이 그들이 주장하는 지적 능력 없이도 훌륭한 시민과 생산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치 못한다. 재능 있는 대학생에게 주어지는 엄격한 학문적 훈련을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부과한다는 것은 모든 인간의 차이를 무시하는 것이며, 개개인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다. 결국 항존주의 교육은 엘리트 교육`귀족 교육에로의 환원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넷째, 인간은 지적`정서적`신체적`사회적 활동의 복합체인데 오직 지적인 면만 강조하게 되면 전인 교육에 위배된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참고문헌-
진쾌현, 안경식 공저,『교육사 교육철학 신론』, 동아대학교 출판부, 1998.
손인수 저,『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문음사, 1996.
임창재 저,『교육사 철학』, 양서원, 1995.
노진호, 장찬익 공저,『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 출판사, 1998.
김경식 저,『교육사 철학 신론』, 교육과학사, 1998.
곽덕영, 김미화 편저『교육사 교육철학』, 교문사, 1999.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0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