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 5~10%로 보고 되고 있다.
위암의 수술은 절제 범위에 따라 75~80%의 위를 절제하는 위아전절제술, 위를 남기지 않는 위전절제술, 침범한 주위 장기를 함께 절제하는 병합 절제술 등으로 분류하며, 수술 목적에 따라서는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근치적 수술과 위암에 의한 합병증(출혈, 폐쇄, 천공)을 경감시키기 위한 고식적 수술로 분류한다.
조기 위암의 경우 대부분 근치적 위절제술만 필요하다. 그러나 조기 위암에서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재발의 위험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병합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진행 위암의 경우에는 근치적 수술 후 재발의 빈도가 높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험 있는 의사와 충분히 의논하여 결정해야 한다.
◁ 고식적 수술
최근에는 조기위암환자 중 아주 초기 병변에 대하여는 특히 근치적 수술에 따른 전신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위내시경 또는 복강경에 의한 수술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모든 조기 위암에 대한 보편적인 시술방법은 아니며, 담당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약물요법 ; 흔히 쓰이는 항암제로 암의 성장을 억제하여 생명의 연장을 기도하는 방법으로써, 이 방법으로는 완치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나 약간의 생존기간을 연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그 부작용이 심하여 때로는 그로 인하여 생명을 단축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사용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은 수술 후 재발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수술 후 일정기간 동안 항암제를 투여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재발되는 율이 투여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낮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병원에서는 수술 후에 항암제 투여를 권하고 있다.
★ 위암의 예방 ★
어릴 때부터 짠 음식이나 자극성이 강한 음식, 부패된 음식, 질소산화물이 많이 첨가된 음식은 가능한 삼가고, 비타민C, 베타카로틴, 비타민 A와 E, 토코페롤 등이 풍부하게 함유된 신선한 야채나 음식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를 가진 사람들이나 위에 암의 전구질환으로 간주되는 병변을 가진 환자들은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흔한 나라에서는 40대 이상이 되면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위에 대한 검진을 하는 것이 조기 진단의 지름길이다.
☆ 위암 단계 ☆
조기위암(EGC)
; 임파절 전이에 상관없이 점막층, 점막하층에 국한된 암을 말하며 표면형이 가장 많다.
TYPE Ⅰ 융기형 11%
TYPE Ⅱ 표면형 85%
TYPE Ⅲ a 표면융기형
TYPE Ⅲ b 표면평탄형
TYPE Ⅲ c 표면함몰형
TYPE Ⅳ 궤양형 4%
진행형 위암(Borrmann이 육안으로 분류)
TYPE Ⅰ 집막양암(polypoid cancer)
TYPE Ⅱ 궤양성암(ulcerative cancer)
TYPE Ⅲ 침윤성암(infiltrative cancer)
TYPE Ⅳ 미만성위벽염(암) (diffse cancer)
위암의 침윤정도에 따라 조암기(T1), 진행암(T2,3,4)으로 구분
; 침투 정도에 따라 판단
1기 위점막 부위 - 위점막 하부위(근육층까지는 미치지 않은 상태)
2기 근육층 부위 - 근육층 침투(장막까지는 침투되지 않은 상태)
3기 장막표면부위
4기 기관장기부위
위암의 병기에 따른 구분
제 1기 ; 암이 위점막 및 위점막하 부위에만 국한되고 임파절이나 원격전이가 없는 상태
제 2기 ; 위근육층과 장막에 침윤되었으나 주위 장기에는 침윤이 안되고 임파절 및 원격 전이가 없는 상태
제 3기 ; 암이 위영역 임파절에 전이된 상태
제 4기 ; 원격전이 상태
위암의 수술은 절제 범위에 따라 75~80%의 위를 절제하는 위아전절제술, 위를 남기지 않는 위전절제술, 침범한 주위 장기를 함께 절제하는 병합 절제술 등으로 분류하며, 수술 목적에 따라서는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근치적 수술과 위암에 의한 합병증(출혈, 폐쇄, 천공)을 경감시키기 위한 고식적 수술로 분류한다.
조기 위암의 경우 대부분 근치적 위절제술만 필요하다. 그러나 조기 위암에서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재발의 위험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병합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진행 위암의 경우에는 근치적 수술 후 재발의 빈도가 높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험 있는 의사와 충분히 의논하여 결정해야 한다.
◁ 고식적 수술
최근에는 조기위암환자 중 아주 초기 병변에 대하여는 특히 근치적 수술에 따른 전신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위내시경 또는 복강경에 의한 수술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모든 조기 위암에 대한 보편적인 시술방법은 아니며, 담당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약물요법 ; 흔히 쓰이는 항암제로 암의 성장을 억제하여 생명의 연장을 기도하는 방법으로써, 이 방법으로는 완치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나 약간의 생존기간을 연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그 부작용이 심하여 때로는 그로 인하여 생명을 단축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사용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은 수술 후 재발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수술 후 일정기간 동안 항암제를 투여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재발되는 율이 투여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낮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병원에서는 수술 후에 항암제 투여를 권하고 있다.
★ 위암의 예방 ★
어릴 때부터 짠 음식이나 자극성이 강한 음식, 부패된 음식, 질소산화물이 많이 첨가된 음식은 가능한 삼가고, 비타민C, 베타카로틴, 비타민 A와 E, 토코페롤 등이 풍부하게 함유된 신선한 야채나 음식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를 가진 사람들이나 위에 암의 전구질환으로 간주되는 병변을 가진 환자들은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흔한 나라에서는 40대 이상이 되면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위에 대한 검진을 하는 것이 조기 진단의 지름길이다.
☆ 위암 단계 ☆
조기위암(EGC)
; 임파절 전이에 상관없이 점막층, 점막하층에 국한된 암을 말하며 표면형이 가장 많다.
TYPE Ⅰ 융기형 11%
TYPE Ⅱ 표면형 85%
TYPE Ⅲ a 표면융기형
TYPE Ⅲ b 표면평탄형
TYPE Ⅲ c 표면함몰형
TYPE Ⅳ 궤양형 4%
진행형 위암(Borrmann이 육안으로 분류)
TYPE Ⅰ 집막양암(polypoid cancer)
TYPE Ⅱ 궤양성암(ulcerative cancer)
TYPE Ⅲ 침윤성암(infiltrative cancer)
TYPE Ⅳ 미만성위벽염(암) (diffse cancer)
위암의 침윤정도에 따라 조암기(T1), 진행암(T2,3,4)으로 구분
; 침투 정도에 따라 판단
1기 위점막 부위 - 위점막 하부위(근육층까지는 미치지 않은 상태)
2기 근육층 부위 - 근육층 침투(장막까지는 침투되지 않은 상태)
3기 장막표면부위
4기 기관장기부위
위암의 병기에 따른 구분
제 1기 ; 암이 위점막 및 위점막하 부위에만 국한되고 임파절이나 원격전이가 없는 상태
제 2기 ; 위근육층과 장막에 침윤되었으나 주위 장기에는 침윤이 안되고 임파절 및 원격 전이가 없는 상태
제 3기 ; 암이 위영역 임파절에 전이된 상태
제 4기 ; 원격전이 상태
추천자료
방광염의 증상과 원인 진단 및 예방법
근로자의 건강진단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근경색(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심...
[뇌졸중][중풍][뇌졸중 증상][중풍 증상][뇌졸중(중풍) 진단검사]뇌졸중(중풍)의 개념, 뇌졸...
[돼지독감]돼지독감ppt, 돼지독감의 이해와 대처 방안, 돼지독감 감염 증상과 대처 방안, 돼...
[구제역]구제역 이해의 모든 것 - 구제역의 개념 및 원인체, 전염경로, 증상, 진단, 발생 사...
이명증의 예방과 치료0
스트레스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정의, 진단, 유형, 원인, 결과, 관리 대처 예방)
자살의 원인 실태 및 예방, 진단 해결방안
동맥경화증의 의미와 진단 및 예방법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에 관한 원인과 실태, 그 예방법까지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糖尿病)> 당뇨병의 해부학적 기전, 원인, 증상, 간호, 치료, ...
화상( Burn )환자에 대한 사례연구 [분류에 따른 증상][1도][2도][3도][진단][검사][경증환자...
[식품알레르기] 식품알레르기의 종류와 증상 ; 식품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