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는 세계화
* 개도국에 대한 FDI 확대
* 외국 자본에 의한 민영화는 급격히 줄어들어
* M&A 보다는 직접 투자의 선호도 증가
* 서비스업의 FDI 확대
* 한국의 세계화 지수는 낮은 편
* 본격적인 경쟁은 이제부터
* 개도국에 대한 FDI 확대
* 외국 자본에 의한 민영화는 급격히 줄어들어
* M&A 보다는 직접 투자의 선호도 증가
* 서비스업의 FDI 확대
* 한국의 세계화 지수는 낮은 편
* 본격적인 경쟁은 이제부터
본문내용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는 세계화
얼마 전 UN 산하의 국제무역개발협의회(UNCTAD)가 발표한 2004년 World Investment Report에 의하면 1990년대 이후로 외국인직접투자(FDI-Foreign Direct Investment)와 다국적 기업의 활동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1990년 2,090억불에 머물렀던 FDI 유입 규모가 2003년에는 5,600억불에 달했고,누적 FDI 유입 규모도 8조 2,450억불에 달해 글로벌 GDP의 22.9%에 이르는 수준에 도달했다. 또한, 전세계 6만여 개의 다국적 기업이 가지고 있는 90만개의 해외 자회사들이 생산하는 양이 세계 GDP의 1/10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성장했고, 이들이 수출하는 물량이 전세계 수출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 100대 기업의 해외 자회사가 생산하는 금액이 전체 해외 자회사 생산의 14%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대형 다국적 기업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
개도국에 대한 FDI 확대
그러나 FDI 유입 규모가 2003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한 것은 아니다. FDI 유입 규모가 2000년 한때 1조 3,900억 달러에 달했었고 2000년 이후로는 3년째 FDI 규모가 줄어들었다. 그렇다면, 2000년대 들어 세계화는 그 추진력을 상실한 것일까? 일부 일본 기업에서 나타난 것처럼, 해외 투자를 줄이고 본국으로 제조 기지를 U턴 하는 경향이 확산 되고 있는 것일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선진국 간, 즉 미국과 서유럽간의 FDI는 IT 경기 불황으로 촉발된 세계 경기 침체로 약화 되었지만 개도국에 대한 FDI는 1,720억 달러를 기록하며 2002년 대비 9% 증가했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은 2003년을 기준으로 FDI 자금이 중간 기착지로 거쳐가는 룩셈부르크를 제외하면 FDI를 가장 많이 받아들인 국가가 되었다. 제조업 측면에서만 보면 2001~2002년간 일어난 선진국으로의 FDI(900억불)의 85% 에 육박하는 766억불의 금액이 개도국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물가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제조업 측면에서는 선진국과 개도국이 FDI 흡입도 측면에서 거의 동등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결론적으로, 2000년대 들어 세계 경기 침체로 FDI의 절대금액은 줄어들었지만 적어도 제조업에 있어서 투자의 방향은 선진국간의 상호 투자에서 선진국의 개도국에 대한 투자로 그 방향이 전환되고 있고, 국제적인 노동 분업이 본격화 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전반까지의 세계화가 동일한 문화적 배경과 경제 발전 단계에 있는 미국과 서유럽간의 세계화였다면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문화적 배경과 경제 수준이 상이한 선진국-개도국 간의 세계화라는 질적 변화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FDI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었던 서구 기업들의 경우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해외 사업에 대한 학습을 위해 해외 투자 초기에는 선진국 중심의 투자를 선호했었다.
얼마 전 UN 산하의 국제무역개발협의회(UNCTAD)가 발표한 2004년 World Investment Report에 의하면 1990년대 이후로 외국인직접투자(FDI-Foreign Direct Investment)와 다국적 기업의 활동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1990년 2,090억불에 머물렀던 FDI 유입 규모가 2003년에는 5,600억불에 달했고,누적 FDI 유입 규모도 8조 2,450억불에 달해 글로벌 GDP의 22.9%에 이르는 수준에 도달했다. 또한, 전세계 6만여 개의 다국적 기업이 가지고 있는 90만개의 해외 자회사들이 생산하는 양이 세계 GDP의 1/10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성장했고, 이들이 수출하는 물량이 전세계 수출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 100대 기업의 해외 자회사가 생산하는 금액이 전체 해외 자회사 생산의 14%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대형 다국적 기업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
개도국에 대한 FDI 확대
그러나 FDI 유입 규모가 2003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한 것은 아니다. FDI 유입 규모가 2000년 한때 1조 3,900억 달러에 달했었고 2000년 이후로는 3년째 FDI 규모가 줄어들었다. 그렇다면, 2000년대 들어 세계화는 그 추진력을 상실한 것일까? 일부 일본 기업에서 나타난 것처럼, 해외 투자를 줄이고 본국으로 제조 기지를 U턴 하는 경향이 확산 되고 있는 것일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선진국 간, 즉 미국과 서유럽간의 FDI는 IT 경기 불황으로 촉발된 세계 경기 침체로 약화 되었지만 개도국에 대한 FDI는 1,720억 달러를 기록하며 2002년 대비 9% 증가했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은 2003년을 기준으로 FDI 자금이 중간 기착지로 거쳐가는 룩셈부르크를 제외하면 FDI를 가장 많이 받아들인 국가가 되었다. 제조업 측면에서만 보면 2001~2002년간 일어난 선진국으로의 FDI(900억불)의 85% 에 육박하는 766억불의 금액이 개도국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물가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제조업 측면에서는 선진국과 개도국이 FDI 흡입도 측면에서 거의 동등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결론적으로, 2000년대 들어 세계 경기 침체로 FDI의 절대금액은 줄어들었지만 적어도 제조업에 있어서 투자의 방향은 선진국간의 상호 투자에서 선진국의 개도국에 대한 투자로 그 방향이 전환되고 있고, 국제적인 노동 분업이 본격화 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전반까지의 세계화가 동일한 문화적 배경과 경제 발전 단계에 있는 미국과 서유럽간의 세계화였다면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문화적 배경과 경제 수준이 상이한 선진국-개도국 간의 세계화라는 질적 변화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FDI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었던 서구 기업들의 경우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해외 사업에 대한 학습을 위해 해외 투자 초기에는 선진국 중심의 투자를 선호했었다.
추천자료
스타벅스,커피산업,커피시장분석,스타벅스코리아,감성마케팅,카페베네,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글로벌경영,스타벅스 & 카페베네 글로벌화 전략,커피전문점의 현황,커피산업구조,브랜드...
글로벌마케팅,글로벌화란,세계경제,스마트폰,테블릿pc,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혁신제품에 대한 마케팅 사례 분석,성공 사례기업 소개 - 한국 야구르트,꼬고면마케팅성공사...
글로벌마케팅사례,글로벌운송회사소개,페덱스기업경영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CJ E&M 기업분석-CJ E&M 기업의 조직구조,인사관리 시스템,기업의 조직문화,기업의 ...
현대자동차- 글로벌화 사례,글로벌 생산 네트워크,현대차 세계화,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인적자원관리 기업사례,현대자동차 인재개발원,현대자동차 사례,현대자동차 인재관 및 채용,...
LG생활건강,중국 브랜딩 전략,중국시장 진출 전략,중국시장 브랜드전략,중국 진출 및 연혁,브...
현대자동차 소개,현대자동차 CRM,고객만족 서비스,차별화 서비스,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글로벌기업의 경영관리,글로벌기업의 조직구조와 인적자원관리,ABB 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경동나비엔의 해외 진출 전략,(러시아, 미국, 중국),경동나비엔,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글로벌 전략 현지화 전략,스타벅스현지화전략사례,BBQ 글로벌전략 현지화전략,서비스마케팅,...
카지노 숙박 엔터테인먼트,글로벌 호텔 마케팅,글로벌 호텔 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