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전반적인 이해와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의 전반적인 이해와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향가의 이해>
향가란?
1. 향가의 명칭
2. 향가의 기원 및 계승
3. 향가의 전승형태-관계기록
4. 향가의 작자
5. 향가의 종류
6. 표현 기법
7. 향가의 형식상 특징
8. 향가의 내용상 특징
9. 향가의 쇠퇴원인

<향가의 고찰>
1. 향가의 성립
2.향가의 표기
3.향가의 수사와 기능, 의식 세계
4.향가의 의의
1) 국어시가의 감상
2) 단영형(單聯形) 시가의 정형성과 원류
3) 창작 가요문학의 시원
4) 민족문학의 의식확립
5) 국문학상의 의의

*** 참고 문헌 ***
*** 참고 싸이트 ***

본문내용

새로운 전통이 성립된 사실을 지적하는 말인다. 특히 민요형의 4구체향가가 아닌 10구체 향가는 이렇듯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창작예술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뇌가의 음곡에 새로운 가사를 얹어 부르는 것이 하나의 전통으로 고려가요를 거쳐 시조문학에까지 지속된 것이다.
향가 이전 상고시대의 시가 몇 편이 전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들을 개인 창작으로 보기는 사실상 어렵다. 그렇다고 할 때 향가는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시가 중 창작문학으로서는 처음의 장르에 해당한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창작문학이라는 말이 반드시 기록문학이라는 말로 치환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향가는 대중적인 것이었지 결코 문자 독점층의 문학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원래부터 향찰을 사용해서 창작시로 쓴 것이 아니라 노래로 불리는 사이에 어떤 계기를 맞아 향찰로 기록되었을 뿐이다.
4) 민족문학의 의식확립
『삼국사기』에 우리나라 음악을 향악 이라 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흔히 나오는 향언, 향어, 향속, 향풍, 향악 등에서 향은 우리나라를 뜻하는 어구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고려사』악지에는 향악이란 말을 대신해서 속악이라는 말이 나온다. 고려시대에는 이미 궁중음악의 편제가 상당히 정제되었고, 더구나 ?종 때는 송으로부터 대량의 악제와 악기를 수입하여 음악을 정비했다. 고려조의 궁중악을 계승했던 조선조에도 궁중악을 3대별하여 아악, 당악, 속악으로 했다. 여기 속악에 해당하는 것이 신라시대의 향악인 셈이다. 명칭의 상이는 단지 명칭 자체의 문제만이 아니라, 중국 음악과 우리 음악의 위상을 설정하는 의식이 그 속에 반영되어 있다. 중국의 궁중음악을 받아들여 아악이라 하고, 중국의 속악과 중국을 통해 받아들인 서역악을 합해 당악이라 불렀다. 이에 반해 우리의 음악은 속악이라 하였다. 신라시대의 “향”자가 고려시대 이후 “속”자로 바뀐 것이다.
향악은 우리나라 음악이라는 뜻을 가지는데 반해, 속악은 속된 음악이라는 뜻이다. 삼국유사나 균여전을 통해 신라시대에도 이미 당악이나 범패가 음악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신라시대 이들을 상대적으로 격상하고, 우리 음악을 격하하여 속악이라 하지 않은 것은 곧 향가를 우리의 노래로 자부하는 의식이 그만큼 강했기 때문이다.
향가는 신라시대는 물론 고려시대까지 불리었던 우리의 노래다. 우리 노래를 속악이라 불렀던 고려, 조선조의 의식은 신라시대에 우리 노래를 향가라고 불렀던 의식과 대조적이며, 사리부재라 하여 우리말로 된 가사를 책에 싣지 않은 조선조 유학자들의 의식은 비록 불완전한 표기법일망정 향찰로 노랫말을 적어 놓은 신라시대의 의식과는 매우 다르다. 지금에 이르러 우리는 “국”자라는 말을 즐겨 쓴다. 엄격한 의미에서 이러한 용어는 일제의 산물이다. 자국의 언어를 국어라고 부르는 국가는 우리나라와 일본에 국한된다. 이는 일제가 국가주의를 표방했던 군국주의시대의 유산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렇게만 속단하기 어려운 것은 우리말, 우리 것을 지키려 했던 일제시대 당시의 우리 지식인들의 의식이 일본에 대한 상대성을 띠고 나타나게 된 데서 말미암은 것이기도 하다.
“향 속 국”으로 변천되어 왔던 이 말은 바로 “우리”라는 말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 시대사를 반영하고 있다. 향이 국과 상응되는 개념이고 보면 신라시대에는 우리의 노래를 향가라 하였던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상대적 비하가 아닌 자존적 의식을 가지고 예술활동을 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향찰로서 향가를 기록하는 지혜를 빌어 우리말로 불리어지는 노래를 간직하고자 했던 국적 있는 문예가 한층 돋보이는 시대이기도 했다. 향가로부터 비로소 개성적인 민족 정서를 표출하는 예술세계를 실현하게 되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결국 우리 문학사에서 주체적인 민족문학의 성립을 본 것이다.
5) 국문학상의 의의
향가는 國文學史上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가란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개인의 감정을 담은 서정시의 출현은 공동체 의식에 기초한 부족적 사회체제의 붕괴와 함께 자아의 각성과 세계관의 변모를 보여준다. 그 가사는 신라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향가는 우리 문학의 주체성을 보여 주면서 민족 정신과 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꽃피운 민족 문학의 훌륭한 유산이다.
마무리 향가는 통일 신라 이후 한반도 전역에 걸쳐 확산되었고, 민족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뚜렷이 형상화한 귀중한 문학적 유산이라 하겠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향가란 향찰로 표기된 우리말 노래이며, 우리말로 된 최초의 기록문학이며 개인창작시다. 이러한 향가는 우리말 노래이면서 향찰로 표기되고 사설이 아주 중요시되며 개인작으로 인정되는 최초의 서정시라 볼 수 있다..
*** 참고 문헌 ***
-김광순 외. [국문학 개론]. 새문사. 2003.
-박노준. [옛 사람 옛 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1979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2001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2
-최철. [향가의 본질과 시적 상상력]. 새문사, 1983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편.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나경수. [향가문학과 작품연구]. 집문당. 1999
-박광정. 재미있게 풀어 쓴 고전시가 문학. 좋은날. 1999
-김정주. 신라향가 연구.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3
-정렬모. 신라향가 주해. 국립출판사. 1999
-김진국. 향가의 해석학적 연구. 예림기획. 2003
*** 참고 싸이트 ***
-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hyang-ga/hyang-ga-outline.htm
-
http://dolbau.com.ne.kr/koj/%C7%E2%B0%A1.htm
-
http://www.gobai.com/siga/hyang1.htm
1
-
http://www.donggoo.hs.kr/study/soci/sdh/rep4-1.htm
-
http://www.empas.com
-
http://www.naver.com
-
http://songkw.com.ne.kr/index.html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4.1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