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교육적 함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구성주의의 개념과 중요성
1. 구성주의의 개념
2. 구성주의의 중요성

Ⅲ. 구성주의의 여러 모습
1. 구성주의의 비교 기준
2. 내생적 구성주의(endogenous constructivism)
3. 외생적 구성주의(exogenous constructivism)
4. 변증법적 구성주의(dialectical constructivism)

Ⅳ.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원리

Ⅴ. 맺음말

본문내용

선택한 것을 학습하도록 내버려둔다면, 학생들은 그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들을 학습하는 데 실패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둘째, 학습 진도에 대한 불만이다. 학생들 나름의 학습 속도에 맞추다 보면, 이미 정해져 있는 학습 내용의 진도를 따라갈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셋째, 규율 문제에 대한 불만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도록 내버려둔다면, 학생들이 난폭해지고 교사에게 잘 복종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이다. 넷째, 소음에 대한 불만이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대화하고 토론을 하도록 조장해 주면, 교실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시끄러워진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끝으로, 근본으로의 회귀를 강조하는 목소리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선택권을 향유하기 이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지식이나 기능을 먼저 학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듯 구성주의에 대한 불만이 적잖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어쨌든 구성주의는 오늘날 학교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여겨지고 있는 가운데, 종래의 행동주의나 인지주의와는 다른 새로운 교수·학습의 원리를 제시해 주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구성주의가 이전의 모든 교육적 아이디어들을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객관주의가 주로 세부적인 기술이나 지식, 전략과 방법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면, 구성주의는 오히려 좀더 넓은 범위에서 학습 환경이라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해, 우리는 학습 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자체를 하나의 '구성물'(construct)로 여길 필요가 있다. 구성주의도 오류가 있을 수 있는 것이기에, 결코 하나의 교육적 교조(educational dogma)가 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인간적 한계 안에서 구성주의를 검증해 볼 수 있으며, 그것이 교수·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적용해 볼 수 있다. 동시에, 우리는 우리의 교육을 바꾸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과 새로운 대안적인 방법들을 창조적으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강인애 (1998), "문제 중심 학습: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김종문 외 13인 공저, 『구성주의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211-241.
김종석 (1998), "구성주의의 기본 가정은 무엇인가?," 『교육발전논총』, 19(1), 59-81.
김판수 외 6인 공역 (1999), 『급진적 구성주의』, 서울: 원미사.
박여성 역 (1995), 『구성주의』, 서울: 까치.
박인우 (1998),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원리의 실현 매체로서의 인터넷 고찰," 박성익 외 편저, 『교육공학 연구의 최근 동향』, 서울: 교육과학사.
오현아 (1998), "멀티미디어," 『교육학대백과사전 2』, 서울: 하우동설, 1126-1132.
이명숙 (1998), "구성주의의 심리학적 근거," 김종문 외 13인 공저, 『구성주의교육학』, 서 울: 교육과학사, 35-61.
추병완·최근순 공역 (1999),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서울: 백의.
추병완 (1999),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추병완 (2000), 『열린 도덕과 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허운나·유영만 공역 (1999), 『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서울: 물푸레.
Barnes, B. (1974), Scientific Knowledge and Sociological Theory, London: Routledge.
Collins, H. (1985), Changing Order, London: Sage.
Fosnot, C. T. (1996), Constructivism: A psychological theory of learning, In C. T. Fosnot (Ed.),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 and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redler, M. E. (1997), Learning and Instruction: Theory into Practice, 3rd. ed., Upper Saddle River: Merrill Prentice Hall.
Gruender, C. D. (1996), Constructivism and learning: A philosophical appraisal, Educational Technology, 36(3), 21-29.
McMillan, J. H. (199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Moshman, D. (1982), Exogeneous, endogenous, and dialectical constructivism, Developmental Review, 2, 371-384.
Nelson, L. H. (1993), Epistemological communities, In A. Alcoff & E. Potter (Eds.), Feminist Epistemologies, New York: Routledge, 121-159.
Perkins, D. (1999), The many faces of constructivism, Educational Leadership, 57(3), 6-11.
Phillips, D. C. (1995),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The many faces of constructivism, Educational Researcher, 24(7), 5-12.
Wood, D. (1998), How Children Think and Learn: The Social Contexts of Cognitive Development, 2nd ed., London: Blackwell.
Woolfolk, A. E. (1998), Educational Psychology, 7th. ed., Boston: Allyn and Bacon.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4.1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