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환경 개선 및 보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농업환경에 대한 연구 개발 현황
1. 대기오염
2. 수질오염
3. 토양오염
4. 폐기물

Ⅲ. 농업환경 개선 및 보전을 위한 연구 과제
1. 대기오염과 산성비 대책
2. 농업용수의 보전
3. 토양의 보전 관리
4. 농업의 환경보전기능 증진 방안
5. 농업과 지구환경보전

Ⅳ. 결 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알 수 있다(권순국, 1995).
농업은 지구 환경 차원에서 볼 때, 지구 환경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받기도 하며, 또한 그 영향이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 도 있다. 즉 작물 생산성의 증대, 작물 생육기간의 생물에 대한 고거, 남북 한계의 확대, 공생 미생물의 활력 증대 등은 긍정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고, 생태계 교란, 토양 유기물의 분해 촉진, 토양침식 격화, 토양의 척박화, 해안 저지의 침수, 해안침식의 격화, 수자원의 부족 심화 등은 부정적인 영향이며 이러한 각종 영향이 농업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표 1은 이러한 지구환경 문제와 농업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일본농업환경기술연구소, 1991).
Table 1. Relationships between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Agriculture
Category
scale
relationship
countermeasures
local
regional
global
influences by
agriculture
influences
to agriculture
in agriculture
measures
adaptable technology
in agriculture
global warming






unusual weather






depletion of the
ozone layer



×

acid rain



×

desertification






soil degradation




destruction of
tropical forests






decrease of wildlife



ocean pollution




×
air pollution




×

○ : certain, △ : likely, × : non-existent, impossible, no mark : indistinct or extremely unlikely
이러한 관계로부터 농업이 지구환경보존을 위하여 기여하게 될 연구과제는 아마도 크게 나누어 4가지 방향으로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1. 농업 생태계와 지구 환경에서의 물질 순환 관계의 해명
가. 물질의 순환
나. 기후와 물순환
2.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농경지의 기작 평가
3.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농업기술의 개발
가. 천연 에너지와 biomass이용 기술 등을 이용한 농업 대체 에너지 개발
나.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감을 위한 내부 농업 자원의 이용 극대화 기술 확립
다. 자연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농업기술의 확립
4. 지구환경 변화와 농업 생태계의 상호관계의 평가 및 농업생태계 관리기술의 개발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한다면 자원의 순환 이용과 적정한 지속가능 생산 기술을 통한 물질순환과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룬 농촌, 동물과 식물의 유전자원을 유지하며, 물과 토양을 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므로써 농업은 지역적인 혹은 지구적인 환경을 보존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국제적인 협력 또한 중요하다.
Ⅳ. 결 언
근래에 도시와 공업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자연의 파괴와 오염이 심해지고 자연 생태계의 자연적인 물질 순환 체계가 크게 교란되어 인간과 자연이 모두 큰 위기를 맞게 되면서 환경 보전에 대한 적극적인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었다. 농업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농업 환경의 파괴와 오염뿐 아니라 농업 생산물의 안전성까지도 심각한 문제로 되어 이에 대한 과학적인 대책과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농업 분야에서 당면한 과제는 오염 파괴로부터의 탈출인데 여러 가지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결의 실마리가 그리 간단하지 않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농업 그 자체가 오염의 발생원인 동시에 도시나 광공업으로부터 배출, 유입되는 유기, 무기의 배설물·폐기물 등을 수용 처리해야 하는 부담도 안고 있다.
새로운 녹지 공간을 확대 조성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며 나아가서 농업을 생태계 내에서 물질 순환계로 파악하고 농업 체계를 자연적인 분해 환원이 가능한 물질 순환 체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과학적 대응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농업환경 분야 연구는 단순히 도시의 팽창이나, 공업 활동이 가져온 환경 파괴로부터 자연을 지킨다고 하는 소극적 자세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국토의 자연을 창조하고, 개선한다고 하는 새로운 기풍을 세워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앞으로는 농업환경연구에 대한 기대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연구추진 체제의 정비가 절실한 시점에 와 있다.
특히 환경과학의 연구는 접근 방법으로서 다학제적 연구이어야 하므로 농업과학내에서도 분야가 서로 다른 산·학·연 연구자간의 공동 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 또한, 환경이 그 나라의 독특한 기후 풍토에 직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면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초 연구에서부터 응용 연구에 이르는 일관된 연구 추진 체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과 환경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예컨대 대학이 구심체가 될 수도 있지 않나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국립환경연구원. 1992. 대기오염과 산성비에 의한 피해 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보 14:35-44.
권기원, 이규승. 1993. 제지슬러리 가공비료의 시용이 수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2(3): 219-228.
권순국. 1994. 지구 온난화가 환경과 농림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개배수 1(1): 54-64.
권순국. 1996. 농업과 환경, 한국농공학회지 38(2): 23-33.
권순국, 신경수. 1991. Multiple Box 수질 모형에 의한 해남호 수질 예측(Ⅱ) - 개발 모형에 의한 미래수질예측 - , 한국농공학회지 33(1): 68-77.
권순국, 유명진. 1987. 담수호의 환경오염 및 부영양화 방지대책 수립(Ⅰ), 농림수산부, 농업진흥공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4.1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