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과 소설 교육의 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 7 차 국어(문학)과 교육 과정

2. 문학(소설) 교육의 새로운 방향

3. 문학(소설) 교육의 평가 방향

본문내용

설문학」, 1986. 9.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현대비평과이론」, 1992 봄호.
노진한, "문학교육과정에 대한 재고", 「선청어문」 20호, 1992. 9.
노진한, "문학사 교육 방법론 연구",서울대학교 석사논문,1992.2
도정일91998),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통합 학문적 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왜 지금 문학교육인가-한국 문학교육의 현실 진단>, 「문예중앙」 1998 겨울호.
류덕제, "문학교육론의 전개양상과 종합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26호, 1994.
류덕제, "소설텍스트의 문학교육 방법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논문, 1995.
류덕제, "텍스트의 해석과 문학 교육의 방향", 「문학과 교육」 창간호, 1997년 가을호.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연구", 「문학과 언어」 16집, 문학과언어연구회, 1995.
문영진(1998), "한국 근대소설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 박사논문, 1998.
문예중앙(1998), "대학생들의 <문학> 독서 실태 보고", <왜 지금 문학교육인가-한국 문학교육의 현실 진단>, 「문예중앙」 1998 겨울호.
박대호, "문학교육의 자리매김", 「국어교육」 61-62호, 1987.
박대호, "소설의 세계관 이해와 그 문학교육적 적용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88.
박은수, "프랑스 각급학교의 문학교육", 「불어불문학연구」 15집, 한국불어불문학회, 1980.
박인기, "문학 교과 교재론의 이론적 접근과 방향", 운당구인환선생화갑기념논문집, 한샘출판, 1989.
박인기, "문학 교육과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4.
박인기, "문학 교재 교수 - 학습의 수용과정적 의미", 「교육개발」 8권3호, 1986.
박인기,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5.
박인기, "문학제재의 수용특성과 교수·학습의 조건", 「선청어문」 14-15호, 1986.
박인기, "소설텍스트 수용의 내면화구조", 「청주교대논문집」 29집, 1992.
박태순, "국어 교과서와 문학교육", 「한국사회연구」 2호, 한길사, 1984. 2.
서준섭, "문학비평과 문학교육", 「교육연구정보」 6호, 강원도교육연구원, 1991. 10.
신경림, "어떤 시를 가르칠 것인가", 「한국사회연구」 1호, 한길사, 1983.
우한용(1999), "글쓰기와 문학교육-문학문화의 자생력을 위한 문학교육", 「문학과교육」제7호, 1999년 봄호.
우한용, "문학교육과정론의 전제조건", 「논문집」 44집, 1992. 3.
우한용, "문학교육론 서설", 난대이응백박사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983.
우한용, "문학교육의 회고와 전망", 광복후의국어교육, 난대이응백박사고희기념논문집, 한샘, 1992.
유영희(1995), "패러디를 통한 시 쓰기와 창작 교육",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5.
유영희(1999), "창작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문학과교육」제7호, 1999년 봄호.
유종호(1998), "왕도는 없다-우리문학교육에 대한 소견", <왜 지금 문학교육인가-한국 문학교육의 현실 진단>, 「문예중앙」 1998 겨울호.
윤여탁(1995), "문학교육에서 이론의 위치",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5.
윤여탁(1998),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5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8.
윤여탁(1998), "문학교육의 방법론과 입시 제도", 「민족문학사연구」제1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1998.
윤여탁, "시문학의 이데올로기와 교육", 「국어교육」 71-72호, 1990.
이대규, "교과로서의 문학의 구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논문, 1988.
이상섭, "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451호, 1992. 7.
이상섭, "현행 문학교육의 큰 문제점", 「외국문학」 12호, 1987 봄호.
이성호, "영향과 수용의 상호소통 - 볼프강 이저의 독자반응비평이론", 「문학사상」, 1992. 3.
이숭원(1995), "시교육에 도입된 이론적 지식의 몇 가지 오류",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5.
이원구(1999), "중등학교 창작교육의 현실과 방향-논리적인 실용문을 넘어 창조적인 문학교육으로", 「문학과교육」제7호, 1999년 봄호.
이은봉(1999), "대학교 문예창작교육의 현실과 과제-시창작교육을 중심으로", 「문학과교육」 제7호, 1999년 봄호.
이향숙, "소설 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8.
장동찬(1998), "현장에서의 문학교육", 「민족문학사연구」제1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1998.
정재찬(1998), "문학교육의 재구축을 위하여-중·고등학교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왜 지금 문학교육인가-한국 문학교육의 현실 진단>, 「문예중앙」 1998 겨울호.
정재찬, "신비평과 시교육의 연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선청어문」 20호, 1992. 9.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6.
정현선(1997), "'문화교육'이라는 문제 설정 II", 「국어교육연구」 제4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7.
조희정(1999), "1998년도 문학교육 연구 개관", 「문학과교육」제7호, 1999년 봄호.
최미숙(1999), "문학교육과 수행 평가-문학 중심의 통합적 언어 활동 능력 평가", 「문학과교육」제7호, 1999년 봄호.
최순열, "문학교육론 연구 - 그 이론의 정립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1987
최현섭, "소설교육의 사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88.
최혜실, "문학교육에 있어서 배경 지식의 문제", 「국어교육」 79-80호, 1992. 12.
최혜실, "문학이론과 문학교육이론과의 관계 규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 85-86호, 1994. 12.
Wolfgang Iser, "독자 반응 비평의 전망", 개교 50주년 기념사업 위원회 편, 도전과 도약 - 미래대학의 사명,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0.
  • 가격3,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