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경기체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의 경기체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경기체가의 발생
2.2 명칭
2.3 형식적 특성과 율격
2.4 내용상의 특징
2.5 한림별곡

*남한

·북한

3. 결론

본문내용

다.
그리고 이 노래는 '-景'에 해당하는 작자의 뜻이 선행하고 그에 의해 소재가 되는 物들이 선택되는 경향을 볼 때, 이 노래는 意만이 중시되는 전 시기의 관념에서 벗어나 새롭게 物을 소재로 삼았기에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작자층은 心과 理를 중시하는 사고에서 物을 중시하는 여말 신흥사대부의 사고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특히 8장은 다른 장과는 달리 우리말 위주로 표현되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락과 흥취가 극치에 이른 흐드러진 광경, 당시 상층 사회의 문신들의 생활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풍류의 극치를 국어로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북한
이 노래는 고종 때 한림원에 속해 있는 여러 유학자들이 모여서 한 사람이 한 장씩 지어 8장을 만든 것인데 물론 그 매장이 다 독립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림별곡을 지은 장소는 호화로운 연회장이었는데 여기서 그들은 술을 마시며 한 장, 한 장 지어 서로 주고 받고 하였다.
8장의 내용은 제 1장에서 과거보는 장면, 제2장에서는 중국 서적 4서 5경 제자백가의 고전을 읽는 광경, 제 3장에서는 글씨 쓰는 광경, 제4장에서는 음주, 제5장에서는 상화, 제6장에서는 음악의 청취, 제 7장 에서는 등루, 제8장에서는 여자와 쌍그네 뛰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그 중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그들이 인민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가 하는 소위 특기를 자랑하고 있으며 4장에서 8장까지는 이러한 '특수한 교양'과 재간을 습득한 사람만이 향락할 수 있는 호화롭고 방탕한 생활 습성이 과시 되어 있다.
한마디로 한림별곡은 당시 량반 귀족들의 착취 생활의 전형적인 몇 개 장면을 파노라마적으로 전시하여 준 노래로서 이 작품은 주로 형식적 인식적 의의를 가질 뿐이요, 그 사상적 가치란 거의 취할 점이 없다. 특히 이 작품은 그 형식에 있어서 조선 국어 시가 사상에서 최초의 음절수 고정 형식이라는데 특별한 의의가 있다.
고대 가요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과거 부르죠아 학자들이 조선시 음절수 고정을 이미 고대에서 (4·4조로) 찾았으나 사실에 있어서 문헌상으로 보아 고려 고종 이전에는 한번도 완전한 음절수 고정 형식이 있은 적이 없었고, 이 한림별곡에 와서 비로소 3·3·4, 3·3·4, 4·4·4, 위 3·3·4, 4·4·4·4, 위 3·3·4의 고정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한림별곡 형식(경기체가)에 있어서의 가장 중요 특징이다.
물론 이 형식은 반드시 한림별곡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보게되는 최초의 실례가 한림별곡이기 때문에 이것을 중요시할 수 밖에 없으며, 또 그명칭도 편의상 한림별곡체 형식(경기체가)이라고 부르게 되는 것이다.
이 형식은 그 내용에 상응하여 형식 자체도 대단히 귀족적이다. 특히 그 '무슨무슨 景 긔엇더하니잇고'하는 소리가 극히 귀에 거슬리는 귀족적인 소리다.
한림별곡의 연원에 대해서는 과거 중국의 장단구(長短句)를 번안 모방하였다는 견해도 있으나 다음 근거에 의해서 이것을 고대 정형시 형식이었던 10구체 사뇌가 형식의 계승 발전으로 간주한다. 즉 그 량자가 다
1. 3분단으로 나누이며,
2. 락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지며,
3. 락구 부분에 다 '아으' 또는 '위'하는 감탄사를 가지며,
4. 량자가 다 정형시이다.
한림별곡체는 그 뒤 다시 시조 형식의 연원으로 된다는데 그 뒤 시가 형식에의 중요 련관을 가진다.
3. 결론
경기체가에 대한 남·북의 시선은 형식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됨을 보여주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어긋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조시대의 정형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은 양쪽다 수긍하나, 내용에 있어서는 남한은 양반 사대부충의 기개나 유흥적 생활감정을 노래 시가라고 사실적 인지의 수준으로 평가하는 반면에, 북한은 사상적 내용이 귀족적이고 딱딱한 한문투를 사용하여 생동성이 부족하며, '위…景 긔 엇더하니잇고'를 음풍 롱월적 음조로 보면서 중세적 특성이 보이는 한계를 지닌다며 부정적이 평가를 내리고 있다.
어느 것이 합당한 평가라 결론지기는 힘들지만 북은 그들의 사상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계를 지닌 것으로 보여진다.
※ 참고문헌
1. 『조선문학사』, 리응수, 연변교육출판사, 1956
2. 『조선문학사』,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3.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4
4. 『경기체가연구』,임기증 外, 태학사, 1997
5. 『고전시가의 미학탐구』, 김병국, 월인, 2000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