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클러스터의 해외 성공사례 분석 및 시사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바이오클러스터의 필요성 및 유형
(1) 바이오클러스터의 필요성
(2) 바이오클러스터의 유형

2. 유형별 해외 성공사례 분석 및 시사점
(1) 샌디에고 바이오클러스터
(2) 미국 메릴랜드 바이오클러스터
(3) Øresund의 식품 클러스터

본문내용

서 식품산업이 자리잡고 있어 생산 및 인증단계의 핵심 혁신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전통과 더불어 식품회사와 연구기관간 협력프로젝트 등 네트워크를 통한 연구개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산·학·연간 협력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어 resund 지역의 식품산업 경쟁력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 최근 resund 지역의 식품산업의 성장속도는 유럽 평균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resund 식품클러스터의 성공에는 판매단계 혁신인자중의 하나인 세련된 인접시장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반도는 교육수준이 매우 높으며, 높은 보건의식과 생활수준을 가진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resund 지역은 10억 소비자가 존재하고 있는 북 유럽 시장과도 인접한 지역이다. 그 밖에도 resund 지역은 조직화된 도매 및 소매시장, 국제표준에 적합한 저장시설 등 원료에서 제품까지의 자원관리에 대한 기업지원서비스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행정적 효율성과 정책적 지원 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뛰어난 각종의 SOC 인프라는 스칸디나비아와 유럽 시장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resund 지역은 인터넷을 통한 E-커머스(E-commerce)가 2005년까지 전체 소매 매출액의 8%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E커머스는 B2B와 B2C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는데 특히 고객 개개인을 구체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등의 E-비지니스 분야에서 resund 지역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resund 지역은 판매단계의 대표적인 혁신요소인 디자인 및 포장기술에 대한 역량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포장 디자인과 재료 관리 등의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며 Tetra Pak과 PLM/Rexam과 같은 이 분야의 선도 기업이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3) 산업현황
resund 지역에는 식품 분야의 많은 대기업과 핵심기업이 존재한다. 우선 식품산업과 관련되는 공정기술과 장비 측면에서 resund 지역은 ABB, Alfa Laval, Tetra Pak, Danfoss, APV, Foss Electric. 과 같은 선도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식품첨가물 등 식품 재료 분야에 있어서도 세계 수준의 기업인 Danisco Cultor, Arla Foods, Chr. Hansen, Copenhagen Pectin/Kelco, Karlshamns, Lyckeby, Novozymes 등이 이 지역에 존재한다. 또한 Nutri Pharma, Carlsberg Breweries, Orkla Foods, ABB 등 세계적인 식품기업들이 입주하여 있다. 따라서 resund 지역은 생산·인증단계의 혁신요소인 대기업 및 핵심기업 보유 측면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대기업이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현재 resund 식품클러스터의 대기업들은 제약, 식품, 바이오 분야의 과학기반 지식 인프라의 인접성, 뛰어난 숙련인력, 장비·식품 재료·원료에의 접근 용이성, 그리고 고객 및 시장접근성 등을 이 지역의 혁신경쟁력으로 자평하고 있다.
4) 연구개발
resund 식품클러스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개발 대상은 식물육종 등 기초 생물공학 연구개발부터 기능성 식품의 마케팅 이슈까지 식품산업 전반의 가치사슬에 대한 연구개발을 포괄하고 있다. 주요 연구개발 분야는 발효 기술에 기반을 둔 각종 기능성 식품(낙농제품, spread(잼 등), 빵, 시리얼, 아이스크림, 과자, 음료수 등)의 개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거나 락토즈와 글루텐 과민증 대상의 치료 기능성 식품의 개발 등
주요제품으로는 생균 발효 과일음료 제품인 프로비바(Proviva),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라이프 탑(Life-Top), 혈당조절 및 당뇨병 치료용 제품인 프리마 리브(Prima Liv),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오메가-3 지방산 함유 레바(Leva) 빵 등이 있다.
이다.
Rowett 연구소
http://www.rowett.ac.uk
는 resund 식품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을 강한 과학기반에 의한 혁신활동, 민간과 공공 부문 투자자 간의 긴밀한 협조, 공공정책과 조화를 이루는 상업적 성과, 장기적인 정부 부양책과 장기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비전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는 유럽지역 개발기금(ERDF) 등 을 통해 지역개발이 지원되고 있으며 각국의 기존 식품 클러스터도 지원대상에 포함되어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다.
Hull 식품연맹(Hull Food Alliance; 이하 HFA)사례와 영국 통상부(DTI)지정
Objective 2
지역사례 등(
http://www.cec.org.uk/info/pubs/profiles/04.htm
)
5) 시사점
핀란드와 영국, 미국의 식품클러스터에 대한 선행 연구
Schienstock, G., Tulkki, P.(2001), 'Merseyside Food Mapping Study Executive Summary' (
http://www.nwfoodalliance.co.uk
), Porter, M. E.(1997).
는 식품 클러스터의 성공요인으로 지역 내 기업, 연구소 등의 혁신 주체 간에 협력과 더불어 적절한 경쟁관계가 필요불가결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성공적인 식품 클러스터의 경우 지역 내부적으로 공정 투자나 신상품 개발에 대해 경쟁하는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숙련된 노동력과 린 생산방식에 적합한 다양한 기업 구조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식품산업과 연관관계가 있는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와 협력도 중요하다.
식품클러스터의 기업들은 IT인프라, 경영 능력, 유통 관리 등을 중요한 혁신인자로 평가하고 있으며 시장 다각화와 수출을 위한 전략적 투자 역시 클러스터의 성공에 중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식품클러스터의 성격 상 시기 적절한 운송을 지원할 수 있는 SOC 인프라가 필수적이며, 소매·유통을 위한 도로 접근성과 관련비용이 매우 중요한 혁신요소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5.2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