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현대 국어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 현대 국어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근대 국어’ 연구
1. 자료
2. 문자체계, 정서법
3. 음운
4. 문법
가. 조어
나. 곡용
다. 활용
라. 특수조사와 첨사
마. 통사
5. 어휘

‘현대국어’ 연구
1. 현대 정서법의 원리
2. 현대국어의 특징과 경향

본문내용

자음'이다.
2. 모음 체계
19세기와 다른 점은 전설 원순모음을 가진 점이다. 현재 서울말에서 '외'와 '위'의 발음 이 어두에 올 때는 [we] [wi], 자음 뒤나 치음 ,구개음 뒤에서는 [ ] [y]로 발음된다
[현대 서울말의 모음 체계(최대 체계)]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1) 모음 ㅓ 는 음장에 따라 달라진다(예 : 단음 - [ ], 장음 - [ :])
2) 젊은 세대의 모음 체계에는 상당한 동요가 보인다.
(예 : 전설모음 '애[ ]'와 '에[e]'의 구별이 흐려져 가고 있고 비어두 음절에서는 일반적 이다. 어두 음절에서는 간혹 나타나며 주로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재적(在籍)과 제적(除 籍)이 잘 구별되지 않는다)
3) 현대 정서법에서는 '의'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두 - [ ], 비어두 - [i], 속격조사 - [e]로 발음, 정서법은 한자음 - 의(義) 희(希) 계(桂) 례(禮) 폐(肺) 혜(惠) 등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실제는 '희 → 히' '계, 례 → 게, 레' 등으로 발음)
4) 서울말에는 성조가 없어지고 음장이 있으며 비어두 음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예) 장모음 - 말(言) 눈(雪) 밤(栗) 등, 단모음 - 말(馬) 눈(眼) 밤(夜) 등
5) 母音調和는 극도로 쇠퇴했으나 언중에 의해 의식된다. 陽母音 '아' '오' 와 陰母音 '어' '우'의 대립을 주축으로 한다. 용언의 활용은 부동사 어미 '-아/어'에 그 잔영을 남기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어간 말음절의 모음이 'ㅏ'인 경우에도 '-어'가 사용되고 있다.
예) 받어, 잡어 등 (표준어는 '받아, 잡아'를 택함)
【현대어의 문법적 사실 :역사적 관점】
1) 중세어에서 비자동적 교체를 보여 준 모든 명사의 어간은 단일화되었지만 현대어에서 는 동요가 나타나고 있다
예) 꽃(花)의 곡용 - 'ㅊ' → 'ㅅ' 대격형 : 꽃을 꼿을로 나타낸다. 젖(乳), 밭(田) 등 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표준어는 '하나가' '하나도'를 인정, 서울말에는 '하나이' '하나토'가 존재한다.
2) 曲用 - 주격의 '-이/가'의 교체가 확립되었다.
예) '-가' 의 출현 - 중세어 말기에 소급, 근대어 문헌에서는 드물고 文語에 일반화된 것은 현대에 와서의 일이다
3) 속격조사 '-ㅅ' - 근대어에 와서 합성어 속에만 나타나게 되었다.
예) 나뭇집 - 나무를 파는 집, 나무집 - 나무로 지은 집
4) 속격의 '-의' 와 여격의 '-에게' - 有情物 명사에게만 연결되어왔다. 근래에는 無情物 명사에도 연결. 서양 제어의 번역체에서 온 것
5) 대명사 - 1인칭과 2인칭은 주격형 '내가' '네가', 속격형 '내' '네' 등의 형태가 생겼다
예) 주격형 - 제가 누가, 속격형 - 제 뉘 누구의, 미지칭 - 어간이 '누'와 '누구'의 두 異形을 가지게 되었다
6) 용언의 활용은 근대어와 대차가 없다고 할 수 있다
7) 현대어의 경어법에는 존경법과 공손법이 있다
예) 존경법 - '-(으)시-', 공손법 -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8) 모든 문장은 動詞文의 성격을 띠고 있다
9) 통사론은 외국어의 영향이 보인다
예) 특수조사 '보다' 가 부사처럼 사용하게 되었다 - 보다 위대하다
'뿐'이 독립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 뿐만 아니라 →일본어의 직접적 영향이다
10) 어휘의 새로운 면모 : 서양 학문의 새로운 개념들이 二字, 三字의 한자어로 번역
* 科學 (영어 science), 幾何 (영어 geometry) 止揚 (독일어 Aufhebung)
- 국어에는 더욱 많은 한자어가 추가
예) '-的' (愛國的, 理想的 등), '-主義' (-ism, 理想主義 등) '-化' (民主化 등)
11)오늘날 국어 어휘에는 기원적으로 순수한 국어 단어보다 漢字語가 더 많다. 新語 創 造에 있어서 한자에 의존하여 온 이 전통은 매우 완강하게 순우리말에 의존하려는 기도를 물리치고 오히려 혼란을 가져왔으며 국어의 일반적인 조어법에 어긋나는 것 도 허다하다. (넘보라살 등)
12) 隱語, 卑俗語 등은 언어 생활 타락
13) 유럽 제어로부터의 많은 차용어 유입 : 스포츠 용어(미국), 예술 요리 용어(불어), 음 악 용어(이태리어)
14) 국어 속의 일본어 요소
11) 약어의 빈번한 사용(空委:共同委員會, 불백:불고기 白飯 등)
12) 擬聲語, 擬態語의 풍부
예) 딸랑딸랑, 아장아장 등, '-거리다' '-대다' 등을 接尾시켜서 용언화 할 수 있다
예) 딸랑거리다, 아장거리다 등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