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적인 가족복지 실천방향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적인 가족복지 실천방향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 사회복지관에서 가족복지의 필요성과 어려움

Ⅱ . 가족복지의 개념규정에 따른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

Ⅲ . 사회복지관 가족복지프로그램의 개발원칙과 예시

Ⅳ . 사회복지관에서 가족복지 실천방법

본문내용

프로그램, -공공부조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가족의 특수한 욕구와 공공부조의 수혜 대상이 되지 못하는 빈곤한 가족을 위한 경제적 원조제공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가정위탁보호, 입양, 한계인구층 가족 즉 소수인종집단.빈민.노인.알코올중독자.미혼모 가족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가족보존과 가정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접근과 치료방법, 상호보완적인 서비스의 결합형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여러 전달체계에 의해 수행된다. ⑦ 가족보호 서비스 :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문제로부터 보호를 해 줌으로써 가족의 역할수행과 능력고취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발달장애아가 있는 가족, 치매노인가족, 만성질환자 가족을 위한 장애우 가족지원센터,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소, 가정도우미 등의 각종 서비스가 해당된다. ⑧ 가정폭력 예방과 치료 서비스 : 가정에서 아동학대와 아내학대, 노인학대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피해자와 가해자를 위한 치료와 재활 프로그램이다. ⑨ 독립생활 프로그램 : 소년소녀가장, 독거노인, 장애인 등이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활을 지원하고 의사결정능력의 향상, 금전관리, 취업준비, 기술훈련, 자긍심 향상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⑩ 가정조성사업(family enrichment program) : 현대 우리 사회에서 약화된 개인이나 가족의 기능을 총체적인 가족의 기능과 능력강화에 초점을 두고 상담과 치료, 의료와 정신건강서비스,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보육(보호)과 예방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효과적인 가정조성사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특히 빈곤가정의 자립과 자활을 도모하기 위해서 전개되는 심리사회적 개입과 결손가정, 이혼문제, 가정폭력, 알콜중독을 포함한 가족원의 정신건강문제 등에 관한 상담과 치료 등의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⑪ 그룹홈 : 복합적인 문제를 지닌 대형 시설보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정복귀를 전제로 한 그룹홈이 우리 나라의 대리서비스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⑫ 단기 쉼터 : 현대사회의 다양한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단기 쉼터가 필요하다. ⑬휴일 가정위탁보호 : 가정위탁보호가 안 되는 현실에서 제한적인 기간이나마 가정위탁보호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 프로그램의 배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작은 원은 가족의 전체성을 중시하는 것이고 큰 원은 가족의 전체성보다는 개별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X축에는 가족문제에 대한 접근의 성격이 예방 ↔ 치료의 경향을 표시하였고, Y축에는 가족의 내적 관계 ↔ 가족의 경제적 환경적 요인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분명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정도와 경향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림 1> 사회복지관 가족복지 프로그램의 분류
Ⅳ. 사회복지관에서 가족복지 실천방법
가족복지의 실천방법은 크게 가족사회복지실천(family social work), 가족상담(치료), 가정생활교육, 가족옹호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가족사회복지실천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생태체계적인 관점에서 가족문제를 사정하고 개입을 하고자 한다. 이 경우 가족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감정이입적 지지자, 교사/훈련자, 자문자, 가능하게 하는 자(enabler), 동원자, 중재자, 옹호자 등 기존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큰 차이 없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게 된다(Collins·Jordon·Coleman, 30-33).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가족사회복지실천은 주로 가정을 기반으로 실천이 되는 경우가 많다. 가족상담과 가족치료는 큰 범주로 보아 가족사회복지실천의 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가족사회복지실천을 실천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 인테이크 가족상담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전문적인 가족치료는 훈련받은 가족치료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며 상담실에서 주 1회의 간격을 갖고 치료가 실시되는 것이 보통이다. 가족사회복지실천이 가족이 처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한다면 가족치료는 임상의 한 영역으로 가족의 내적 관계의 변화를 촉진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발제자의 사회복지관 경험에 의하면 사회복지관의 주 고객은 환경적인 문제를 주요 문제로 제시하기 때문에 가족사회복지실천적 접근이 가족치료의 접근보다 그 유용성이 훨씬 많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가족치료의 경우 훈련받은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사회복지관에서 가족치료를 모두 시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일정 지역별로 가족치료를 전담하는 특화된 복지관에서 이 부분을 맡아서 시행하고 이 곳으로 가족치료의 케이스는 의뢰가 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족옹호의 방법과 가정생활교육의 방법은 앞에서 소개가 되었거나 잘 아는 방법이므로 여기서 재론하지 않는다.
<참 고 문 헌>
공세권(1994). "가족정책의 기본 골격과 접근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성천(2000). "한국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문제점과 개혁방안의 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호.
김성천.윤혜미(2000),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 보고서.
함인희(1993). "변화하는 가족과 여성의 지위", 「21세기와 여성」, 한국여성개발원.
박숙희(2001). "가정기능 강화사업의 개선방향". 「사회복지관사업의 개발 및 발전 방향」.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세미나 자료집.
野山タ也(1992), 이종복 외 역(2001). 「가족복지」. 나눔의 집
Collins·Jordon·Coleman(1999), 이대사회복지연구회 역(2001). 「가족복지실천론」. 나눔의집.
Fraser, Pecora & Haapala (1991). Families in crisis. New York. Aldine de Gruyter.
Kadushin, A.(1970). Welfare Services, Macmillan, N.Y.
Hollingworth, P.J.(1974). The Family in Australia, Macmillan, N.Y.
Zimmerman, S.L.(1995). Understanding Family Policy, Sage Publications, Inc..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