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이데올로기와 이론적 사회주의의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이데올로기와 이론적 사회주의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사회주의의 개념과 역사
1. 사회주의의 주요개념
2. 사회주의의 역사적 발전

Ⅱ. 사회주의의 기본적 원리
1. 공동체적 집단주의
2. 계급이익과 계급의식
3. 평등주의적 가치관
4. 공유재산제도

Ⅲ. 사회주의의 이론적 유형
1. 공상적 사회주의(Utopian Socialism)
2. 전통공산주의(Classical Communism)
(1) 맑스와 엥겔스시대와 과학적 사회주의
(2) 제2인터내셔날과 수정주의적 사회주의
(3) 레닌주의와 혁명적 사회주의
(4) 스탈린주의
3. 사회민주주의
(1) 사회민주주의와 지적 기원
(2) 도덕지향적 휴머니즘적 사회민주주의
(3) 유로꼬뮤니즘과 사회민주주의

Ⅳ. 사회주의의 이론적 쟁점
1.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2. 사회주의와 시장경제
3. 사회민주주의논쟁

Ⅴ. 현대사회주의의 경향과 전망
1. 사회주의의 최신 경향과(제3의길)
2. 탈냉전이후 사회주의붕괴와 21세기 사회주의의 전망

<참고 문헌>

본문내용

영되고 있다. 이러한 딜레마가 극적으로 현실화된 것이 1999년 7월 10일 실시된 유럽연합 의회선거에서 영국 노동당과 독일 사민당의 패배이다. 블레어 영국총리와 슈뢰더 독일총리는 선거를 앞둔 7월 8일 두 사람의 정책노선을 결합한 '유럽 제 3의 길- 신 중도"라는 제목의 유럽사회민주주의 강령을 선포했는데, 그 내용은 정부역할의 축소, 공공재정 지출축소, 사회보장제도 혁신, 노동시장의 유연화, 기업경쟁력 향상 등으로 사회민주주의의 전통적 가치인 사회정의, 사회연대, 기회균등 등과는 다른 것이다. 이것이 선거패배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대로 조스팽의 프랑스 사회당은 사회주의 전통을 견지하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이번 선거에서 좋은 결과를 보인데서 앞의 원인분석이 옳았음이 나타난다. 제3의 길은 근대화를 일찍이 경험한 서구 이외의 공간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이념인가? 한국적 상황에 적용시켜 볼 때 "우리 나라에는 제 2의 길도 없었다"는 비판적 목소리를 이 논제가 끌어안을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제 3의 길이 근본적으로 좌파적 지향가치라 할 수 있는 연대, 사회 정의, 기회 등을 내면에 깔고 있다는 점과, 유럽 좌파정권들의 집권이 서구 선진국들 내부의 긴 정치과정의 결과임을 감안한다면, 그런 정치과정들이 없었고 더구나 분단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우리 상황에서 제 3의 길 같은 상상력은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제 제3의 길은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좌와 우를 한꺼번에 아우르는 거대한 기획으로서 과연 실현될 수 있을 것인지 세계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배회하고 있다.
2. 탈냉전이후 사회주의붕괴와 21세기 사회주의의 전망
이같은 사태 발생들을 후쿠야마를 위시한 일부는 '생명력 있는 이데올로기로서 맑스·레닌주의의 죽음'(death of Marxism-Leninism as a living ideology)과 서구 자유주의의 승리라고 해석한다. 동구의 사회주의자들 가운데는 1989년은, 사회주의가 권위주의와의 연결을 끊었기 때문에, 패배가 아니라 기회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중앙집권적 계획도 아니고 자유시장도 아닌 흔히 스웨덴식 사회민주주의 모델에 기초한 '제3의 길'(Third Way)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소비에트식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과거의 경험 때문에 사회주의 이념 그 자체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을 촉발시켰다. 그래서 동독, 헝가리,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및 그밖에 몇몇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자유선거가 행해졌을 때, 공산주의 후보자는 물론 사회주의 후보자들도 유권자로부터 거부당했던 것이다. 현재로서는 예전 공산국가들이 어떤 형태의 사회 발전을 이룩할지 예측하기는 시기 상조이지만,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어떤 형태의 것이든지 사회주의를 지향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사회주의는 수많은 도전에 봉착하였다. 1970년대 경제침체로 사회당에 대한 선거 지지가 여러 가지로 잠식되었다. 이런 현상은 영국에서 가장 현저하였는데, 1983년 노동당의 지지는 1918년이래 최저로 떨어져, 대처 같은 우익 비판가들은 '사회주의의 죽음'(death of socialism)을 선언할 정도였다. 소련에서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동구에서의 공산당 지배의 붕괴를 가져온 1989년의 극적인 사건들은 사회주의의 패배 아니면 최소한 세계적 세력으로서의 맑스주의의 종말처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신축성 역시 대단하였다. 변해 가는 역사적 상황에 비추어 자신과 자신의 목표를 재정립하는 놀라운 능력은 이데올로기의 종말을 예언하기 어렵게 하였다. 더욱이 사회주의의 기초가 되는 비전(vision)인 '조화와 평화 속의 공존'은 인류 역사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존재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권기성, "사회주의 체제의 개혁", {한국정치학회보}, 제 24집 2호(1990).
손호철, {현대민주주의론Ⅰ,Ⅱ}, 창작과 비평사, (1992).
김세균, "현대 사회주의의 이론적 제 문제", {국제정치논총}, 제 29집 2호(1989)
김명환, "초기 페이비언 사회주의 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0.
권희영, "소련 사회주의와 소수 민족주의", {국제정치논총, 제 29집 2호(1989).
나승균, " 유럽의 사회주의와 복지국가", {국제정치논총}, 제 29집 2호(1989).
박호성, "사회주의적 민족사상의 두 유형", 한국정치학회보, 제 20집 1호(1986).
김규택, {사회주의의 장래}, 서울 : 일조각, 1990.
김채윤, 장경섭 공편, {변혁기 사회주의와 계급·계층}, 서을대 출판부, 1996.
김홍명, {사회주의의 제 문제}, 서울 ; 나남, 1993.
노베르토 보비오, 황주홍 옮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문학과 지성사, 1994.
박채용 편, {사회주의 연구 자료집}, 세계 아기선교 출판국, 1995.
박호성,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서울 : 까치, 1989.
백경남,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서을 : 법지사, 1985.
안병영, {현대 공산주의 연구}, 서울 ; 한길사, 1982.
이철현, {사회주의 원론}, 서울 : 박인사, 1995.
전득주,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비교}, 서울 : 행림출판, 1991.
최종기, {사회주의 체제의 허상}, 서울대 출판부, 1996.
한국정치연구회 정치사상분과, {사회주의의 이론과 운동}, 서울 : 한길사, 1989.
Stephan White, Dineal Nellson저, 도성달, 이명남 역, {비교공산주의정치론}. 서울: 인간사랑, 1990.
황병덕, " 유럽 공산주의의 제 문제", 한국국제정치학회,{국제정치논총},제29집2호, 1989.
Anthony Wright저, 임현진, 정일준, 이승엽 공역,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 서울:역사비평사, 1997.
John E. Roemer 저, 고현욱, 강문구 공역, {새로운 사회주의의 미래}, 서울: 한울, 1996.
Leonard Wolfgang 저, 김광수 역, {공산주의 이념의 변질}, 서울 : 종로서적, 1983.
Michael Novak 저, 김지현 역,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한국 경제 연구원, 1983.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6.2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