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살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자살의 의의
1) 자살의 개념
2) 자살의 특징
3) 자살의 종류

2.자살의 실태분석
1) 자살의 발생현황
2) 자살의 관련사례
3) 자살의 대응상 문제점

3. 자살의 효율적 대응방안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음을 열고, 자신의 판단에 대한 완고성을 버리며, 자살위기자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2) 언론 매체에 대한 강력한 규제
앞서 언급했듯이 언론매체의 선정적인 보도는 자살을 생각하고 있던 잠정적 위기자들의 자살을 부추기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이유로 언론매체를 강력히 규제해 버리면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언론매체의 규제를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아무런 재제가 가해지지 않는 것 또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불러일으킴을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 예로 이은주씨의 자살이 미화되어 보도됨에 따라 우울증에 걸린 많은 사람들의 모방심리를 자극하여 이은주씨와 같은 교사를 통해 목숨을 잃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매체가 사회적으로 건전한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법적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며, 언론매체에서도 지나치게 선정적이거나 미화된 보도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3) 경제적 빈곤층을 위한 사회보장제도 구축
IMF 이후 한국사회 빈곤의 새로운 경향 : 노동빈곤, 반복빈곤, 실업 및 비정규직의 증대 및 확산되어갔다. 우리 사회가 경험하는 현재의 빈곤은 노동유연화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신빈곤론’은 ‘노동시장으로부터 탈락 = 사회보장제도 적용’이라는 등식에 뿌리를 두고 한계가 많다. 우리 사회의 빈곤은 절대적 상대적 빈곤이 일상화되고 보편화된 ‘사회적 빈곤’이다. ‘근로빈곤층’이 급증하고 있지만 이들은 일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해 자살하거나 신용불량자가 되는 메카니즘에 놓여있다. 자산감소와 가계빚으로 빈곤이 은폐되고 있으며, 비정규직 증가와 여성 소득의 감소로 빈곤이 점차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자본과 정부는 빈곤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실업층의 노동유인을 위해 빈곤을 관리하고 있다. 전 인구의 4.8%에 이르는 기초보장 비수급자와 4.2%에 이르는 잠재적 빈곤층은 사회보장제도에서 방치되고 있다. 이러한 빈곤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실현시킬 ‘정치’가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공공부문에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고 국가가 장기보증의 주체로 나서고, 여성의 불평등 연쇄로부터 안전망을 구축하며, 최저임금 상승률과 기초생계비를 연동하는 대책으로 장기적으로 ‘친복지세력’을 형성하는 전략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4. 결론
지금까지 ‘개인이 자유의사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자기 자신의 생명을 끊는 일체의 행위를 가리킨다.’ 라는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적 심리적 이론들을 중심으로 자살은 개인의 감정이라는 미시적인 입장과 사회전체적으로 그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는 거시적인 측면을 통해 자살의 개념을 통해 자살자들의 심리상태에 따른 자살의 증오, 사랑, 수치심과 불명예심, 공포, 자삭, 양가성, 탈출 등과 같은 공통된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살자들의 심리상태는 모두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거쳐 자살이라는 극단적 행위로 마무리 짓고 있다. 자살은 참을 수도 없고 해결할 수도 없는 심리적 고통에 대항하여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자기파괴행위로 나타나게 되는데 자살자들의 공통된 특징을 파악하여 실제 자살위기자들의 자살의사 표현을 간과하지 않고 조기에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자살의 실태분석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살률이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계절적으로는 여름에 더 높은 자살률을 보이는 등 자살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자살은 개인들의 편견과 무관심이라는 인식상의 문제와 무분별하고 선정적인 보도에 의해 자살을 부추기고 있으며, 사회빈곤계층에 대한 대응이 미비하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개인 나아가 사회전체적으로 자살에 대한 편견과 인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언론매체의 재제를 가할 필요가 있을것이다. 끝으로 사회적 빈곤계층의 자살을 막기위해 사회보장제도를 실시하는 등 사회제도를 통해 뒷받침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설명해 왔듯이 자살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며, 개인과 사회가 함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1. 박상칠(1998):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2. 에밀 뒤르켐(1994): 자살론, 청아출판사
2. 金鍾段(1963a) : 韓國人의 自殺, 神經精神醫學 2권 1호
3. 金鍾段(1963b) : 韓國人의 自殺에 관한 社會精神醫學的 硏究. 中央醫學 5권
4. 金鍾段(1975) : 精神科患者와 應急處置. 의학연수강좌, 제 12집, 서울대 의학교육연수원.
5. 石在 外(1980) : 自殺企圖者에 관한 硏究. 神經精神醫學 19권
6. 石在 崔仁根(1984) : 自殺遂行者 및 기도자에 관한 연구. 神經精神醫學 23권.
7. 沈英 (1986) : 韓國社會의 自殺 : 社會學的 관점에서 본 理論과 實際. 精神健康硏究 8. 유순형 김일순(1981) : 한국조흥지방(강화군)의 自殺에 대한 역학 및 精神醫學的 硏究. 神經精神醫學 20년
9. 李定均(1981) : 精神醫學. 서울, 一湖
10. 趙斗英(1985) : 臨床行動科學. 서울, 一湖
11.한국자살 예방 협회 http://www.suicideprevention.or.kr
12.http://www.gonews.co.kr/common/result.asp?sFrstCode=002&sScndCode=001&sThrdCode=000&sCode=20050302143233593
13.http://www.khan.co.kr/kh_news/art_view.html?artid=200502221754381&code=940202
14.통계청http://www.nso.go.kr/
15. http://www.chosun.com/w21data/html/news/200409/200409220282.html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82&article_id=0000040818§ion_id=102&menu_id=102
* 그 외 관련기사는 리포트를 작성하며 기사 아래 적어 두었습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7.05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