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 및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간 복제의 문제점

2.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문제점
(1)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정의와 특성
(2)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예상되는 의학적, 과학적 이점
(3) 배아 줄기 세포의 획득 방법과 현황
(4)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기술적 한계
(5)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본문내용

다면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유전자 치료 혹은 세포 공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환자의 항원을 유전 공학적인 방법으로 줄기 세포에 발현시키거나 이식 받을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한 핵치환 방법을 도입하여 환자와 유전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배아를 복제한 후 환자 자신의 줄기 세포를 만들 수도 있다. 핵치환 기술에 의한 복제 배아를 이용한 줄기 세포 이식은 자신의 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치료적 장점과 의학적 유용성이 존재한다.
다섯째, 체세포 핵 이식에 의한 복제 배아 줄기 세포는 임상 적용성이 매우 뛰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동물 실험에서조차 이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핵 이식을 유도한 수정란을 착상시켜 출산시킨 경우 기형 발생률과 유산률이 높으며, 내세포괴를 지니고 있는 포배기의 배아 형성률도 20~30%에 지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핵 치환 시 유전체의 메칠화 현상과 관련하여 비정상적으로 유전자들이 발현하기 때문일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복제 배아 줄기 세포 연구는 모델 동물을 대상으로 안정성, 반복성, 편의성, 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기초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복제 인간의 개연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윤리적 원칙성의 이행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의 소지가 있다. 김철근,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과학적, 의학적 가능성과 한계”, pp. 29~34 참조.
(5)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인간 배아 줄기 세포들은 착상 이전 단계에서 배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 유도 절차로 인해 그 특정 배아는 자궁 내 착상을 통해 인간으로 발생할 능력을 상실한다. 배아 줄기 세포의 유도는 결국 배아의 실존을 종결짓는다. 원래의 배아는 파괴되며, 배아에서 유도된 줄기 세포들은 배아가 아니다. 그 세포들은 인간으로 발생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윤리적 물음이 제기된다: “인간 배아가 인간으로 발생하는 것을 막는 배아 줄기 세포에 대한 연구를 윤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가?” International Bioethics Committee, UNESCO, op. cit., pp. 1~2 참조.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연구의 윤리적 정당성은 일반적으로 배아에게 부여되는 지위에 의존한다. 이 지위는 배아의 생물학적 지위, 존재론적 지위, 도덕적 지위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배아의 “소유자” 또는 창조자(부모)의 동의와 같이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는 다른 숙고들이 있기는 하지만, 배아의 범주화가 여기에서는 핵심적인 물음이다. 인간 배아와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윤리학적 논의의 대부분은 배아는 정확히 무엇인가의 물음과 관련되어 있다. 만약 배아가 인간 존재이며 인격이라면 배아를 사용하는 연구는 제한된다. 반면에 배아가 아직 인간이 아니며 단지 인간 세포의 집합체에 불과하다면, 배아 취급에 대한 제한은 더욱 더 완화되어야 한다.
인간 배아가 생물학적으로 독특한 지위를 지님은 분명하다. 다른 세포군과는 달리 배아는 복합 유기체로 발달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배아의 잠재성 즉 완전히 발달한 인간이 될 잠재성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생물학적 사실일 뿐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도덕적 경외심 속에서 마주하는 생물학적 사실이다. 우리의 윤리학적 개념이 인간 생명의 가치에 의존하는 한, 인간 배아는 우리가 그러한 의미를 부여하는 인간 생명의 근원으로서 존중을 요구한다.
그런데 어디까지 존중해야 하는가? 좀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이슈는 인간 인격체만을 배타적으로 수용하는 도덕 공동체의 완전한 성원으로 배아를 받아들일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만약 배아가 이 공동체의 성원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해 배아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허용할 수 없고, 배아는 그 자체 목적으로 여겨진다.
더욱 문제되는 것은 이 공동체의 성원이 되기 위한 배아의 잠재성이다. 어떤 견해에 따르면 배아가 인간 존재가 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아에게 특수한 지위, 즉 배아를 파괴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특수한 지위가 부여된다.
인간 배아가 인격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 공리주의적, 비인격주의적 사유를 하는 학자들은 인격을 생명에게 가치와 의미를 주는 생명의 어떤 특정 속성들을 경험하는 능력에 의존하여 이해한다. 따라서 그들은 인간 배아의 연속적인 발생 과정의 특정 시기 이후부터, 예를 들면 착상 이후부터 또는 개체화 이후부터 또는 원시선 발생 이후부터, 심지어는 출산 후 몇 개월 이후부터 인격성과 생명권을 부여한다. 반면에 인격주의적 사유를 하는 학자들은 인간 인격은 정자와 난자가 수정하는 순간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초기 유기체는 수정 순간부터 계속해서 유아, 아동, 성인, 노인으로 이어질 정체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배아의 생명을 끝내는 것은 미래의 유아, 아동, 성인, 노인으로 이어지는 인간 생명을 끝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인격은 인간 존재가 자신의 생명의 모든 단계에서 가지는 윤리학적으로 중요한 본성이며 수정 순간부터 시작되며 죽을 때까지 유지된다.
논쟁의 또 하나의 쟁점은 배아의 잠재성에 관한 것이다. 공리주의적, 비인격주의적 사유를 하는 학자들은 인간이 될 잠재성을 가진 배아에게 인간에게 주어지는 것과 똑같은 지위와 권리를 줄 수 없다고 주장한다. 난자와 정자는 수정란의 구성 요소이며, 수정란은 후에 배아, 태아로 발생한다. 그러나 이 사실이 정자와 난자도 수정란이나 배아, 태아가 가지는 지위를 향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자에게 배아의 지위를 주지 않는데, 왜 배아에게는 인간 존재의 지위를 부여하려고 하는가라고 이들은 반문한다. 반면에 인격주의적 사유를 하는 학자들은 인간 배아는 아직 완전한 인격은 아닐지라도 인격이 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배아의 이러한 잠재성 실현을 방해하는 행위는 어떤 것이든 모두 그르다고 주장한다. International Bioethics Committee, UNESCO, op. cit., pp. 7~9 참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7.18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