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일대기 사회모순에 처절하게 고뇌한 지식인 삼교융합론과 풍류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최치원 일대기
1) 최치원의 탄생설화
2) 당나라에서
3) 신라로 돌아오다

2. 사회모순에 처절하게 고뇌한 지식인
1) 최치원의 현실인식
2) 최치원의 사상
3) 최치원의 업적
4) 최치원의 작품세계

3. 삼교융합론과 풍류도
1) 사신비문에 나타난 삼교융합론
2) 난랑비서에 나타난 풍류도

본문내용

하고 나름대로 결정적인 해석을 내림으로써 그 원형에 접근하고 하였다. 그의 사상이 결정이라고 할 수 있는 《난랑비서》에 나오는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하 한다. 그 교를 창설한 내력은 선사에 자세히 실려 있거니와, 실로 이는 삼교를 포함한 것으로서 많은 사람과 접촉하여 교화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집에 들어와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아가 나라에 충성하는 것은 노사구(공자)의 주지요, 무위의 일에 처하고 말없이 가르침을 해하는 것은 주주사(노자)의 종지요, 모든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는 것은 축건태자(석가)의 교화이다.
이 짤막한 문장의 난랑비서문은 한국사상의 본래적인 밑뿌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요구로서의 확실한 문제의식 속에서 정의를 내리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그것이 비록 풍류사상에 대한 내용을 밝힘에 있는 것이긴 하지만 삼교사상에 대한 정의를 아울러 내림으로서 삼굣상을 통한 한국사상에의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의미를 찾아 볼 수가 있다고 하겠다.
여기에서 최치원은 삼교를 인간제화의 각부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니, 즉 공자의 충효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실천주의, 노자의 무위자연의 인생관, 석가의 권선징악적 교화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동시에 그는 전통적인 한국사상의 원류로 이들을 포함한 풍류하는 도가 있음을 설파하였으니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풍류도란 우리의 전통사상으로서 삼교의 내용을 포함하였다는 것과, 오랜 세월 우리의 전통적인 의식 속에서 함양된 사상이었으며, 만물 군생을 접화하는 게 그 구체적인 목표였다는 것이다. 이로써 그가 평소에 추구해 온 도가 바로 이것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의 풍류도에 대한 이해는 유교, 불교, 도교를 일체적으로 수용하려던 이상이 화랑도에 가탁하여 표현된 것이라기 보다는 삼교사상에서 내린 정의의 개념으로 화랑도의 공동체적 정신의 본질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정신사적 활력을 찾고자 한 것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지향하는 바의 목표는 군생을 교화하는 것이었기에 그는 우리의 사상적 및 뿌리를 형성한다고 보여지는 화랑사상의 재흥을 꾀함으로써만이 군생을 교화하여 민족의 화합과 동질성 회복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하튼 최치원은 우리의 고유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풍류도에 대하여 탐구하고 나름대로 그 원형에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사상에 대한 역사상 최초의 연구자로서의 소중한 위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고전연수실편역, 삼국사기(하) 제 46권 제6열전 최치원, 과학원, 1958
2. 손영목, 삼국왕조 야록, 오늘, 1999
3. 임병주,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1998, 들녘
4.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4), 남국 신라와 북국 발해, 2000, 한길사
5. 양귀선, 고운 최치원, 1995, 한불문화학술총서
6. 이재운, 고운 최치원, 한국문화연구원, 1999, 한국문화연구원
7. 장문평, 위인전기 최치원, 1985 금성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29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