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외교정책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윌슨선언의 배경
2)윌슨선언의 영향
3)제1차대전 이후의 미국의 대중국정책
4)제1차대전 이후의 미국의 대일본정책
5)제1차대전 이후의 미국의 대한반도정책

3. 결 론

본문내용

아니었다.
당시 한국은 국내외적으로 독립운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던 상황이었다. 만주와 해외지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한반도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제1차세계대전 이후, 동아시아에서의 유럽 열강들의 영향력이 많이 약해졌는데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한반도는 일본의 지배가 더욱 공고히 되는 과정에 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윌슨의 ‘14개조 선언’에 명시된 ‘민족자결주의’는 한민족으로 하여금 민족국가로서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더욱 강력하게 하는 하나의 이념적 기조가 되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는 당시 러시아 자체적으로 일어났던 혁명, 동유럽 제 국가들의 실제 민족국가 성립과 더불어 한반도 내에서의 민족국가 수립을 향한 희망에 힘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위에서도 이야기했듯이, 그러한 과정에서 미국이 한국에 대해 전혀 공식적인 도움을 준 것은 아니다. 결국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그 당시의 러시아 혁명과 동유럽 민족국가 형성을 비롯한 전 세계적 양상과 결합하여 한국의 독립운동에 다소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의 독립운동은 세계적인 상황에 편승하여 일시에 발휘된 것이 아니라, 그동안 꾸준히 축적되어 왔던 민족주의적 역량이 드디어 본격적으로 조직화되어 발전하게 된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Ⅲ. 結 語
결론적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가장 중요한 정책적 노선 변화는, 기존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난 적극적 개입주의의 시작이다. 그리고 그 근저에는 윌슨의 도덕적 개입주의가 모태가 되었으며 그 이후 미국 대외정책의 주요기조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윌슨의 도덕적 개입주의가 그 이상적인 선언 내용과는 달리, 동아시아 민족운동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은 아니다. 결국 동아시아 내의 다양한 민족운동은 그 선언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받아 촉발되었다가 보다는 민족 스스로의 역량 발전에 따른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미국의 정책적 변화는 또한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일본의 군국주의와 미국의 제국주의가 대립 구도가 형성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처음에는 일본의 확장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동반자적 협력 관계로 시작하지만, 이후 일본의 대륙 확장과정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일으키게 되고 결국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패망과 소련의 이데올로기적 확장 정책에 의해 새로운 냉전 구도가 형성되지만, 근본적인 양자 대립 구도가 형성되는 기초는 바로 제1차 세계 대전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 이어지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질서가 20세기 초에 동아시아 지역에서 벌어졌던 제 상황들과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미국의 신 개입주의 정책과 중국의 경제적 급부상을 바라보며 동아시아 내에서의 새로운 양자 대립 구도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서 한반도의 상황 등을 그 당시의 동아시아 상황과 비교해봄으로써 앞으로의 전망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것은 현재의 상황이 그 당시의 정세와 비슷하다는 점이고, 그 상황에서 한민족의 행보 역시 그 당시를 분석함으로써 고찰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적 연결성과 유사성을 통해 한민족의 나아갈 바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동아시아 국제 정치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실수를 또다시 거듭하지는 말아야 하며, 자주와 평화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명확한 정책적 기조를 세워 실리적인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이다. 이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급변하는 국제 정치에 대응한다면 결과는 ‘역사의 반복’일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원모. 2002, 「한미 외교관계100년사」, 서울 : 철학과 현실사.
김기정. 2003,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관계 연구」, 서울 : 문학
과 지성사.
김영흠, 1998 「미국의 아시아 외교 100년사」, 서울 : 신구문화사.
권용립, 1997, 「미국 대외정책사」, 서울 :판음사.
성황용.1993.『근대동양외교사』,서울 : 명지사.
최영진, 1996, 「동아시아 국제 관계사」, 서울 :지삭 산업사
차상철 외 8인.1999.『미국외교사』,서울 : 비봉출판사.
V.알렌산드로프, 홍성곤 박용민 역, 1990, 「세계현대사」, 서울 : 태암,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7.3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