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교육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주었다.
(3)교육 과정
- 논어와 효경이 공통 필수였고, 수준에 따라 예기와 주역, 좌전 모시 춘추 상서와 문선을 세과로 나누어서 부과하였다.
3) 유학생 파견
- 선덕왕 9년(640)부터 적극적으로 유학을 장려함
- 유학기간은 10년, 유학생들의 책값은 국비로 1인당 은화 300양을 줌
-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하여 홍려사라는 기관을 둠
- 최치원은 12세에 당나라에 가서 18세에 관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고, 당말 '황소의 난' 때는 난을 평정하기 위한 격문을 지어 당나라 전역에 이름을 떨침
4) 인재 등용법
- 초기: 미인법(남모와 준정을 원화로 뽑은 것이 그 예), 화랑제도(화랑은 국가의 인재를 선 발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기도 했음), 궁전법(활쏘기를 통한 등용)
- 후기: 독서출신과: 춘추좌씨 전 예기 문선을 일고 그 뜻에 능통
상 논어 효경에 밝은 자
중 곡예 논어 효경을 읽은 자
하 곡예 효경을 읽은 자
5경과 3사와 제자백가에 겸하여 능통한 자는 순서를 뛰어 넘어 등용하였음
6. 삼국시대의 교육 사상가
1) 원광(? -630)
- 유학과 도학과 불교를 두루 섭렵하고 중국에 유학, 이름이 널리 알려짐
- 불교의 5계를 토대로 세속오계를 만들어 국민교육과 생활 윤리의 지표가 됨
2) 강수(? -692)
- 유학에 정진하여 당대 제일의 문장가로 외교문서 작성에 많은 공헌을 함
3) 원효(617 -686)
- 한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종교 사상가의 한 사람, 세계적인 대철인이라고 지칭
- 스스로의 인격완성과 민중교화를 통한 불교의 세속화에 공헌했고, 대중적 실천적 교사상 을 보여줌
4) 설총(654- ?)
- 불교와 유학을 두루 섭렵하고 국학의 박사로서 이두로 경서를 풀어 가르침
- 신문왕에게 지어 올린 화왕계는 교묘한 비유법을 사용하여 왕을 훈계한 글로서 군왕교육 의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큼.
7. 교육사적 의의
- 삼국시대에는 불교와 유학이 들어오고, 중국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학교 제도가 도입, 유 학이 교육과 정치의 중요한 원리로 자리 잡게 됨
- 고구려의 경당과 신라의 화랑도와 같은 교육제도는 우리 민족 고유의 이상과 교육 방식 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함
참고문헌
박의수·강승규·정영수·강선보,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3.
윤완, 『한국 교육사의 이해』, 원미사, 2002.
손인수, 『한국 교육사 연구, 상』, 문음사, 1998.

키워드

삼국시대,   교육제도,   교육,   태학,   경당,   향교,   화랑도,   국학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8.0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