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교육체제에 대한 고찰 -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II. 고등교육의 개념과 내용

III. 근대한국의 고등교육체제 구상

IV. 성균관 개혁과 전문교육
1. 「태학별단」과 성균관 경학원
2. 외국인 교사초빙과 전문교육

IV. 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켜, 경학을 이수하고 덕행을 닦으며 시의에 맞는 근대적 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사실상의 대학교로 만들려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이미 1880년부터 해외 유학생 파견을 통해 서구의 군사기술을 받아들이려는 정책을 보이고 있으며, 점차 외국인 교사의 초빙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교육을 수용하기 위하여 동문학을 설립하고 있다. 1882년 11월에 설립된 동문학에서 영국인 교사를 초빙 이전에 청국인 교사에 의해 서양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동시에 동문학은 단순히 영어만을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서적 간행과 신문을 발행하며 근대적 지식을 전파하는 인쇄소의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는 앞으로 근대학교들이 지식의 보급소라는 측면에서 학생 교육과 대중계몽의 기능(인쇄물 발간, 강연회 개최 등)을 함께 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선구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육영공원과 배재학당의 고등교육사적 위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888년과 1889년 미국과의 외교문서에 나타나는 언더우드의 미국의 대학(college)수준 학당설립 허가요청을 정부는 이미 이러한 학교가 있다는 이유로 거부하고 있으며, 1895년 육영공원이 문을 닫은 이후 정부가 배재학당에 학생 위탁계약을 맺은 것, 그리고 이 시기 배재학당은 신학부 이외에 영문학부와 국한문학부를 운영하면서 배재대학(Pai Chai College)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고, 1898년 아펜젤러가 서울대학교(Seoul University)를 구상하고 있다. 따라서 19세기 후반 한국의 고등교육에서 더욱 조명되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결국 19세기 후반 근대 고등교육체제의 개혁은 성균관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적 대학과 서양인 기술자 초빙을 통한 전문학교적 성격의 대학이라는 이원적 고등교육체제를 형성하였다고 보여진다. 즉 1860년대부터 서원개혁을 통해 성균관을 중심으로 하는 최고 수준의 고등교육기관을 개혁유지하면서 1880년대에는 유학생 파견과 외국 교사 초빙을 통해 서양의 전문 기술과 학예를 외국어로 받아들이는 전문교육기관을 세우려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교육 수용의 모습은 1895년 갑오경장 이후 관제에 의해 보다 본격적으로 제도화되고 다양화되었음을 알 수있다. 당시의 東道西器的인 발상하에서 이러한 이중적 고등교육관은 근대 한국 고등교육체제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경신사편찬위원회 편, 경신사 -1885-1991-, 서울: 경신중·고등학교, 1991.
배재100년사, 1989.
일성록 고종24년(1887) 7월 23일조.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김기석, “개화기의 신식 고등교육“, 이기백 책임편집, 한국사 시민강좌 제18집, 1996.
김영우, “개화기의 고등교육 제도 -한국 근대 고등교육제도 변천사(1)-”, 대학교육 통권44호, 1990년 3월.
_______, 학교제도 -한국근대학제100년사-, 서울: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1995.
김원희, 한국의 개화교육사상, 서울: 재동문화사, 1979.
김인회, “교육목적관의 변천과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 신교육의 발전 연구(연구논총84-6),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편, 박은식전서(中), 1975.
박상만, 한국교육사(중권),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1957.
朴泳孝, 開化에 대한 上疏 (六. 敎民才德文藝以治本), 신동아, 1966년 1월호 별책부록.
백락준, 한국 개신교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3.
백순재, “개화기의 韓國書誌 -1884~1918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東方學志 제11집, 1970.12.
손인수, 한국교육사II, 서울: 문음사, 1987.
신천식, 한국교육사연구, 서울: 재동문화사, 1969.
안기성, 한국근대교육법제연구,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민족문화연구총서4), 1984.
안인희 역, 마리탱의 교육사상(배영신서105), 서울: 배영사, 1987.
유길준전서편집위원회, 유길준전서, 서울: 일조각, 1971.
유방란, 한국근대교육의 등장과 발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이광린, “한성순보와 한성주보에 대한 일고찰”, 한국개화사연구, 서울: 일조각, 1993.
이기, 一斧劈破論, 海鶴遺書 (한국사료총서, 제3집)
이만규, 조선교육사 下, 서울: 을유문화사, 4282(1949).
최병옥, “敎鍊兵隊硏究”, 軍史 제18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9, 89쪽.
학부, 한국교육, 융희3년(1909).
한국교육사연구회 편, 한국교육사, 서울: 교육출판사, 1972.
한기언, 한국교육사, 서울: 박영사, 1963.
______, 현대교육사조, 서울: 법문사, 1984.
한용진, 근대 일본 사립대학의 성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3.
______, “기독교계 학교에 의한 근대 한국 고등교육 고찰”, 교육문제연구 제6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4.2.
______, “근대 한일 기독교계 대학의 형성과정 비교 고찰”, 교육학연구 제32권 1호, 한국교육학회, 1994.3.
______, “개화기 한국교육의 시기구분론”, 안암교육학연구 제1권 제1호, 1994.10.
馬越徹, 韓國近代大學の成立と展開, 名古屋: 名古屋大學出版會, 1995.
文部省(日本), 學制百年史, 1972.
寺崎昌男, “東京大學創立前後“, 東京大學史紀要 第1號, 1978.
天野郁夫, 近代日本高等敎育硏究, 東京: 玉川大學出版部, 1990(1989初版).
皇至道, 大學制度の硏究, 京都: 柳原書店, 1955(昭和30).
Clark B.R. and G. Neave Editors-in-Chief, The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vol. 2, Seoul: Pergamon Press, 1992.
Ⅰ. 문제제기
II. 고등교육의 개념과 내용
III. 근대한국의 고등교육체제 구상
IV. 성균관 개혁과 전문교육
1. 태학별단과 성균관 경학원
2. 외국인 교사초빙과 전문교육
IV. 맺음말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8.1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