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의 붕괴와 대안교육 및 교육복지에 대한 현실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사회복지전문직성
1) 사회복지 전문직성의 개념
2) 사회복지 전문직의 성격
3)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4) 사회복지 전문직의 조건

3.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

4. 사회복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육내용
2) 실습교육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적합한 다양한 분야별 복지전문가의 양성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단순히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도록 하는 최소한의 교과과정이 아닌 사회복지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과정이 충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일부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파행적인 교과과정 운영은 사회복지전문직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로 하여금 사회복지사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장애요인이 된다.
셋째, 사회복지학 전공교수의 확충을 통하여 전문가에 의한 전문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공교수에 대한 적정수의 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현재 전공교수의 충원 없이 학부제 등을 통하여 과다한 신입생을 모집하여 학과를 운영하는 것은 전문적인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데 큰 저해 요인이 된다.
이상의 사회복지 전문교육을 위한 개선노력은 1차적으로는 현재 사회복지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교수의 사회복지 교육에 대한 책임의식과 현재의 교육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비롯될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의 대학교육에 대한 책임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관심이 필요하다.
2) 실습교육
일반적으로 실습교육은 (1) 사회복지이론을 통해 습득한 지식의 실제적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 (2) 원조활동을 통한 대인관계 형성기술을 습득하며, (3) 자기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인지 등의 자기이해, (4)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강화하는 등의 의의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실습생은 이러한 기회를 충분히 감당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습생 자신의 진지한 관심과 열정, 사회복지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 그리고 창의성과 책임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실습교육을 분담하는 학교와 실습기관은 인적, 물적인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여 실습생들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 사회복지실습의 경우 실습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김선숙 김선숙, 「사회복지 실습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복지사회 200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0, pp.63-64.
은 사회복지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지적하고 있다.
1. 실습에 관한 일관성 있는 세부규정이 전무하거나 부족하며, 실습지도자의 자격기준, 평가방법, 실습교육내용의 수준정도가 기관, 실습지도자마다 큰 차이가 있는 등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2. 실습생들이 실습기관이나 실습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준비 없이 실습에 임하는 경우가 많다. 기관의 입장에서 실습생을 받는 목적 중에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자들에게 더욱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실습생들이 기본적인 레코딩, 프로그램의 계획, 평가, 실습분야에 대한 개론적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3. 실습교육에서 학교와 기관과의 연계는 실습교육 중 매우 중요한 행정체계 과정이며, 학교와 기관과는 서로 다른 행정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간의 상호연계와 협조체제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실습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하게 된다.
그 밖에도 광주, 전남지역의 경우 실습시기를 학교와 학생사정에 따라 서로 달리 실시함으로 인해 실습기관은 연중 실습지도를 해야하는 업무부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요구하고 있는 실습기간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복지교육의 시작이 빠른 타 지역의 경우 학기중의 실습은 고정된 요일에 실시하여 특별한 조정 없이도 타 대학 학생들과 함께 실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첫째, 실습기간 또는 실습 종료에 즈음하여 이루어지는 실습평가회나 보고회에 실습지도교수가 참석하여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정기적으로 실습지도자 간담회와 실습발표회를 실시하여 실무자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실습생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실습기간 중에 실습지도교수가 기관방문을 통해 실습생 개개인에 대한 실습수행과정에 대한 정보와 지도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각 대학의 실습지도교수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습 메뉴얼의 공동제작, 실습기간의 설정, 실습지도비의 통일 등을 통해 실습기관의 업무부담감을 경감시키고 학생들의 실습을 내실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태성, 「사회복지학, 사회복지 전문직, 그리고 사회복지 교육제도」『사회복지연구 제9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1997.
김수정,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와 발급 현황」『복지사회 2000년』, 사회복지사협회, 2000.
김선숙, 「사회복지 실습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복지사회 200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0.
사회복지사협회, 『2000년 사회복지 비전 연찬회』, 200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의 실태』, 1997.
A. Flexner, Is Social Work a Profession,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 at the 42 Annual Session, 1915, pp.
E. Greenwood, Attributes of a Profession, In Social Wokk, Vol.2, No.3, 1957.
奧田いさよ, 『社會福祉專門職性の硏究』, 川島書店, 1992
仲村優一, 「社會福祉從事者とその育成」『社會保障講座6 地域社會と福祉の展開』, 總合勞動硏究所, 1980, p.93.
秋山智久, 「社會福祉の專門職性と社會福祉敎育」『戰後社會福祉敎育の五十年』, ミネルヴァ, 1998.
佐藤慶辛, 『現代組織の倫理と行動』, お茶の水書房, 1972.
대학교육의 현실과 사회복지전문성
1. 문제제기
2. 사회복지전문직성
1) 사회복지 전문직성의 개념
2) 사회복지 전문직의 성격
3)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4) 사회복지 전문직의 조건
3.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
4. 사회복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육내용
2) 실습교육
-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8.1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