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과] EU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EU (European Union, 유럽 연합) 탄생
1)EU (European Union, 유럽 연합) 발전과정
2)EU 기구 구성
3)EU 확대
4)유럽중앙은행제도(ESCB)와 유로시스템(Eurosystem)

2.EU의 국제적 역할
1)EU 대외관계
2)원조와 교역 그 이상
3)인권증진

3.EU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1)EU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2)韓․EU 기본협력협정체결과 통상협력 강화방안
3)韓․EU 기본협력협정체결의 의의

4. 결론에 대신하여 향후 우리나라와 EU의 관계조명
1)정치 경제적 관점
2)인권 외교

본문내용

후반부터 정치분야 협력도 활발해지고 있다. 1989년 외무장관회의가 정례화된 이래 EU출범이후 EU의 정치통합이 가시화되고 EU통합이 더욱 역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양측 관계의 기본틀이라고 할 수 있는?한-EU 기본협력협정? 및 ?동 정치선언?이 2001년 발효하였고 정치대화도 정상회담을 정례화하는 등 관계가 심화되고 있다. 구주연합은 우리나라 3개 교역국 중 하나이고, 우리나라는 구주연합의 중요한 수출 시장(규모기준 18번째)이며 8대 수입원이다. 쌍무교역은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기는 하나 매우 꾸준히 성장하였다. 구주연합과 우리나라의 교역 규모는 수출은 217억불, 수입은 171억불 (한국기준, 2002년도) 이고, 對구주연합 투자 규모는 55억불 (한국의 해외 투자총액의 13%), 구주연합의 對한국 투자규모는 249.3억불 (한국내 외국인 투자총액의 29%) 정도이다. 유럽연합(EU)이 25개 회원국에 인구 4억5500만명을 상회하고, 연간 국민총생산 9조6130억유로, 교역규모 2조3400억유로의 거대한 경제정치적 블록으로 우뚝 솟았다. 5월 1일 10개국이 한꺼번에 새로 가입한 결과다. 현지에서는 터키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가입이 보류된 나라들이 있고, 15개 EU 구성국이 갑자기 25개국으로 늘어난 데 따른 혼란과 비용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대체로 식구가 는 것을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국의 반응은 어떤가. 국내 언론의 논조는 획일적으로 한 가지 측면, 즉 확대된 EU가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경제교역의 파트너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나라의 대외정책을 보면 수출을 통한 경제성장 및 통상외교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미국과의 군사안보협력을 통해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는 안보외교를 양대 축으로 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가난한 경제상황과 분단된 현실을 고려하면 당연한 정책방향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결과 유럽이나 중남미 및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은 너무나 오랫동안 소홀히 대했다. 학생들의 유학도 으레 미국이 우선이고, 최근에 와서야 주변의 일본이나 중국 정도를 가는 것으로 인식돼 있다. 인문사회계열 유학생들의 전공은 국제거래, 투자, 지적재산권 등의 분야나 미국 일본 중국과의 관계 연구 등에 치우쳐 학문에서마저 편식이 심각하다.
2. 인권 외교
EU 확대가 유럽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이런 편중현상을 시정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특히 EU가 통상협력외교 외에 인권외교를 중시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EU가 이번에 새 회원국을 가입시키는 데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기준도 그 나라의 인권기록이다. 터키 루마니아 등의 가입이 보류된 이유 역시 그들의 인권상황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인권개념은 소극적 권리보호 차원을 넘어 인간사회에 두루 적용되는 보편적 적극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진 지 이미 오래다. 유엔 인권위원회가 북한 인권문제를 거듭 제기하거나, 미국 의회가 북한 인권문제에 관한 법안을 통과시킨 예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인권문제는 세계외교무대에서 점점 핵심의제로 부상하는 감이 있다. 향후 우리의 대북정책에 있어서도 인권문제가 중요한 고려사항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특히 유럽의 인권법원(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은 이미 많은 판례를 생산해 인간 기본권 증진에 기념비적 공헌을 하고 있다. 그 영향을 받아 중남미 대륙이 인권법원을 가동 중이며, 최근에는 아프리카 국가들도 아프리카 인권법원 설립 작업을 하고 있다. 오직 아시아에만 인권법원도 없고 인권에 대한 인식수준도 낮아서 유감이다. EU의 인권중시 정책은 신설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대한 절대적 지원에서도 체감할 수 있다. 그런데 ICC의 탄생에는 한국의 지속적이고 절묘한 외교적 노력이 크게 작용했다. ICC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널리 알리고, 인권외교에 좀 더 세심한 배려를 한다면 EU와의 관계도 보다 다양하고 우호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그림자정부, 경제편 (이리유카바 최, 해냄)
불량국가 (노암 촘스키, 두레)
아메리카 (이그나시오 외, 휴머니스트)
조찬래, 유럽공동체의 정치사상적 기원, [지역연구] 제4권 제2호(1995)
장 홍, 유럽연합의 새로운 이해, 도서출판 고원
배상욱, 중동구 국가들의 EU가입전망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
산업연구원, EU-환경규제강화, 실물경제 제55호, 1995.
* 참고 사이트: http://www.encyber.com
http://antiwto.jinbo.net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