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대사회의 사회복지활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각 시대별 부조활동(扶助活動)
1. 고대국가(고조선~통일신라)
1) 사회적.사상적 배경
2) 비황(備荒) / 창(創) 제도
3) 구황(救荒) / 견감(蠲減) 제도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2. 고려시대
1) 사회적.사상적 배경
2) 비황(備荒) / 창(創) 제도
3) 구황(救荒) / 견감(蠲減) 제도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3. 조선시대
1) 사회적.사상적 배경
2) 비황(備荒) / 3) 구황(救荒) / 견감(蠲減) 제도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Ⅲ. 민간의 복지활동
1. 전통사회의 자선
2.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자선과 선행
3. 전통사회의 상부상조
1) 계(契)
2) 향약(鄕約)
3) 협동관행

Ⅳ. 결론

ꋮ 참고문헌 ꋮ

본문내용

관행들이 해결하고자 하였던 문제들은 구성원 누구에게나 앞으로 닥칠 가능성이 있는 특별한 위험이나 문제들이었기 때문에 호혜성의 원리가 잘 적용되었던 것이다.
Ⅳ. 결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는 전통적 부족국가에서 시작하여 봉건적 토지제도, 문무양반의 관료체제를 확립하여 일제에 합방되기 전까지 꾸준히 국가차원의 구휼제도를 실시하여 왔다. 비록 그 근본 목적이 왕권의 유지나 국가의 보존 등에 있었다 하지만 약자를 안민을 위한 제도들로 백성들은 어렵지만 기본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또한 유·불·선에 기초한 사상에 기초한 자선행위는 서양의 기독교적 사상에서 비롯된 구빈사상과 그 맥이 비슷하다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단일민족 국가로서 그 맥을 잇는 한 끊이지 않고 제도를 시행·발전시켰다. 또한 민간에서 시행된 자발적인 여러 관행들은 서양의 봉건시대에서 행했던 교구나 군주에 의한 구빈활동과는 그 모습이 다르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는 오늘날 국가차원의 제도와 민간차원의 활동이 좋은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현 시대의 사회복지제도와 비교하기도하고 또 그에 따라 사회복지 역사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우리나라 국가차원에서의 사회복지 시책은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정권이 변할 때 마다 그들의 이권에 따라 외국의 사회보장제도를 답습한 것이지 우리나라 전통적인 제도를 계승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고대사회에서 실시하였던 공공부조가 비록 현대사회에 그대로 실시하기에 괴리감이 많지만 그 기본 이념인 홍익인간과 덕치주의는 유지 발전기키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민간차원으로 행해지던 상부상조 제도와 협동의 관행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많이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 19세기말 이래의 근대화 과정에서 가져온 사회변동은 우리나라의 전통적 상부상조의 토대였던 농촌공동체를 와해시켰다. 이것은 일차적으로는 농업중심의 산업구조가 공업 및 3차산업 중심으로 변모함으로써 야기되었다. 다른 한편에서 도시화와 핵가족화의 추세 또한 마을공동체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도시화에 따라 형성된 새로운 주거공간에서 주민들의 삶은 과거 마을공동체에서의 삶과 판이하였다. 소규모 마을공동체에서 누구나 '아는 이웃'이었던 대인관계가 이제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모르는 이웃'간의 관계로 변질되었다. 이웃들과의 상부상조하던 관계는 독립적인 개인들간의 독립적이고 고립된 관계로 변모되었다. 호혜성에 바탕을 둔 상부상조 전통은 도시의 주거지에서 더 이상 발휘될 수 없게 되었다. 상부상조 전통이 뿌리를 내리고 계승되어 온 농촌에서도 농업기술의 변화에 따라 협동관행의 쇠퇴가 나타났다. 두레에 의한 공동노동의 관행이 거의 사라진 것이 그 단적인 예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제도와 고대사회의 풍습들을 비교해 볼 때, 우리는 아직까지 남아있는 일부 학연, 지연 등의 그릇된 행태들을 개선하여 우리 전통사회에 면면히 계승되어온 상부상조 정신과 협동정신을 되살리고 도시와 농촌을 잇는 공동체 의식으로 현실에 맞는 민간차원의 복지활동을 새롭게 창출해 내야할 숙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 이것은 성숙한 시민의식에 바탕을 둔 현대적인 복지이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연과 혈연, 학연을 초월하는 사회적 연대성과 참여민주주의에 바탕을 둔 복지이념이 가능한 대안의 하나일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행동에 뒷받침하여 국가차원에서도 사회보장 제도의 실시에 따른 투명성과 공정성, 그리고 연구하는 자세로 미래 사회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사회복지발달사, 권오구, 홍익재, 2000.
2. 사회복지의 역사 , 감정기 외 공저, 나남출판, 2002.
3. 한국사회복지사론, 하상락, 박영사, 1997.
4. 구종회(1996),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함세남 외, 선진국 사회복지발달사, 홍익재.
5. 조흥식(1986), "고려시대의 구빈제도", 사회복지학회지 제8호, 한국사회복지학회.
6. 한국대백과사전
7.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우리나라 고대사회의 사회복지활동
☆ 목 차 ☆
Ⅰ. 서론
…………………………………
1
Ⅱ. 각 시대별 부조활동(扶助活動)
…………………………………
1
1. 고대국가(고조선∼통일신라)
…………………………………
1
1) 사회적·사상적 배경
…………………………………
1
2) 비황(備荒) / 창(創) 제도
…………………………………
2
3) 구황(救荒) / 견감( 減) 제도
…………………………………
3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
3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
4
2. 고려시대
…………………………………
4
1) 사회적·사상적 배경
…………………………………
4
2) 비황(備荒) / 창(創) 제도
…………………………………
5
3) 구황(救荒) / 견감( 減) 제도
…………………………………
5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
6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
7
3. 조선시대
…………………………………
7
1) 사회적·사상적 배경
…………………………………
7
2) 비황(備荒) / 창(創) 제도
…………………………………
8
3) 구황(救荒) / 견감( 減) 제도
…………………………………
10
4) 환과고독(鰥寡孤獨) 구휼제도(救恤制度)
…………………………………
12
5) 구료(求療) / 의료(醫療)제도
…………………………………
12
Ⅲ. 민간의 복지활동
…………………………………
13
1. 전통사회의 자선
…………………………………
14
2.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자선과 선행
…………………………………
15
3. 전통사회의 상부상조
…………………………………
15
1) 계(契)
…………………………………
15
2) 향약(鄕約)
…………………………………
16
3) 협동관행
…………………………………
17
Ⅳ. 결론
…………………………………
19
참고문헌
…………………………………
21
  • 가격2,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9.2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