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농촌노인복지 대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령사회 농촌노인복지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농산어촌의 현황과 삶의 질

Ⅲ.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05~'09)
1. 삶의 질 향상 계획의 비젼
2. 삶의질향상 계획의 복지분야 주요내용

Ⅳ. 농업인복지 연구
1. 국내외 동향 분석
2. 농업인복지 향상방안
3. 농촌노인 관련 주요 연구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역사회 자원배분 모델 제시
- 여성의 농업부문 입출입 및 비농업분야 취업기회 변동 모니터링
□ 농촌의 노인복지 제도 및 서비스 개발로 노후생활 안전망 구축
농촌 지역사회 과소화 해소를 위한 실버농업지역 개발
- 은퇴 후 귀농인 농촌정착 지원방안 및 실버농업 매뉴얼 개발
- 노인취업과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특성별 노인시책 개발
노령농의 안정적 소득지지를 위한 공적 소득보장정책 보완
- 국민연금보험료 보조확대, 국민기초생활보장 개선, 경영이양직불제 확대
농촌노인의 4대문제(경제, 건강, 외로움, 역할상실) 중심의 복지서비스 개발
- 고령농업인의 경제적 지원대책 및 건강서비스 질적 개선
- 농촌노인의 사회적 역할 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부양지원체계 개발
□ 농업인복지 수준 평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농촌지역 정책평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부처별 사업의 Rural proofing Checklist 개발 및 체계화 : 부처별 협력/조정
도농간, 산업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인적자원 활용방안 제시
- 농업인복지 수준 평가를 위한 통계정보망 구축
- 농업노동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농업인턴제 및 취업정보센터 구축
- 외국인 농업연수생 농촌사회 적응 및 지원방안
3. 농촌노인 관련 주요 연구결과
□ 1990년부터 간헐적으로 농촌노인의 역할, 영양, 여가, 생활실태, 부양 등에 관한 연구를 생활개선 차원에서 수행하였고
2004년부터 고령사회의 일 대안으로서 농촌의 가치창출을 위한 논리, 복지서비스, 농촌마을의 자기부양기능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노년기 농업노동의 사회복지비용 절감효과 분석('03기준) : 1,304억원/년
□ 잠재 실버농업인의 은퇴후 귀농의사 분석(34개 도시 40대 이상 1,922명)
1) 귀농의사 : 있음 58.2%, 그중 20%는 매우 많이 있다
누구와 같이 가고 싶은가 : 배우자와 함께 90.5%, 혼자서 3.5%
몇 세에 가고 싶은가 : 평균 62세, 51-60세에 52.8%, 61-70세에 41.7%
농촌이주 준비는 : 안함 60.2%, 준비 18.5%
은퇴후 자산규모 3.6억원 정도(평균), 투자가능액 1.7억원(평균)
2) 귀농의사 영향요인은 성, 연령, 건강상태, 농촌거주경험, 농업·농촌관련 직종, 농촌에 대한 태도 등임
3) 도시거주 pushing요인보다 농촌이주 pulling요인이 농촌이주의사에 더 강하게 작용함
귀농희망 이유로서 "자연과 함께하는 건강한 삶", "텃밭 등을 가꾸는 여생" 등이 강하고, "도시소득 미흡", "직업·직장상의 이유" 등은 약함
4) 은퇴후 귀농 희망자의 생활/영농 의사
거주형태 : 완전농촌이주(53.1%), 부분거주(30.1%), 출퇴근/주말거주(16.8%)
- 도시에서 평균 1시간 30분이내 소요지역 선호
- 주택유형 : 농촌마을 내 단독주택(36.7%), 전원주택단지(29.4%) 선호
- 농촌이주 장단점
·장점 : 쾌적한 환경, 육체적 건강, 정신적 안정, 스트레스 감소, 생활비 감소 순
·단점 : 의료시설 이용, 대중교통, 편의시설 이용 순
- 인접 필요시설로서 버스정류장(88.5%), 산책로(81.4%), 경로당(71.9%), 슈퍼마켓(66.1%), 약국·보건소(60.0%)는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있어야 한다고 응답
영농목적(Mean, Range 1~5) : 자급자족(4.25), 취미농업(4.14), 소득추구(3.66)
□ 도시은퇴자의 거주지 및 영농목적별 실버농업 유형분류
농촌 이주
⑧ 주산단지 이주
⑨ 관광마을 이주
① 전원형 실버농업 테마타운
② 은퇴농장
③ 도시근교 은퇴마을
④ 농어촌 복합노인복지단지
⑤ 농촌양로시설
단지·마을형
⑩ 관광농업 : 전통식품·관광농원
⑪ 농장경영
⑥ 전원생활 : 취미농업·원예
⑦ 건강·요양생활
단독가구형
소득추구 농업
취미·여가 농업
⑫ 출퇴근농업
· 임노동
· 전문영농도우미
· 농장경영
⑬ 주말농장
⑭ 베란다농업
·원예
·애완동물/곤충
도시 거주
장수마을 건강관리 프로그램
Ⅴ. 맺음말
□ 농촌노인에 한정하여 개발 시행하는 복지시책은 미약하였음
경로수당, 경로연금, 경영이양직불제, 농인생활지도마을사업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마을단위에서 경로잔치·효도관광 시행
□ 2004년 삶의질향상법 제정, 2005년 삶의질향상계획 수립
지역공동체 중심의 노인보호체계 구축, 재가노인복지센터·치매노인센터 등 노인보호시설 확충 추진
실버농업 모델의 개발, 농어촌 복합노인복지단지, 은퇴농장, 농촌 건강장수마을 사업 추진
□ 금후 고령사회, 장수사회에서는 농업·농촌이 깨끗한 물과 공기, 생명친화적 소일거리 등 노인에게 건강한 노후생활 기회를 제공하고, 더불어 복지재정 부담 완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농업·농촌의 특수성을 고려한 농촌노인복지 시책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임.
참고문헌
농림부, 2004, 농산어촌 복지·교육·지역개발에 관한 실태조사.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3; 2004, 농촌자원개발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2004.3, DDA 대응 연구개발전략(안) : 439-448, 농업인복지 기술개발 (내부자료용)
박대식·정명채·최경환·채혜윤, 2002, 여성농업인 복지지표 개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윤순덕·박공주·강경하, 2005, 노년기 농업노동의 사회복지비용 절감 효과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제25권 제2호(게재예정).
이진영, 마을단위 농촌노인 활동 프로그램 탐색 - 노인생활지도마을 중심으로 -,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촌자원과 생활, 가을호(통권 99호): 61-69.
재정경제부 등 15개부처, 2005.4,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질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05~'09).
丸杉孝之助, 1990, シルバ農園のすすめ, 農山漁村文化協會刊.
목차
Ⅰ. 머리말
Ⅱ. 농산어촌의 현황과 삶의 질
Ⅲ.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05~'09)
1. 삶의 질 향상 계획의 비젼
2. 삶의질향상 계획의 복지분야 주요내용
Ⅳ. 농업인복지 연구
1. 국내외 동향 분석
2. 농업인복지 향상방안
3. 농촌노인 관련 주요 연구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9.2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