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와 제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Ⅰ.장례(葬禮)
1.장례의 의미
2.장례의 역사
3.장례의 절차

Ⅱ.제사(祭祀)
1.제사의 의미
2.제사의 역사
3.제사의 종류와 절차

맺음말

본문내용

(左脯右醯)' '생동숙서(生東熟西)' 짝수로 진설
제5열: 과줄, '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시이(棗栗枾梨)' 홀수로 진설
⑤변복(變服)과 취위(就位)- 제복 입고 정렬하기
⑥출주(出主)- 신주나 지방의 봉안
2)제사의 집전(執典)
①강신(降神)- 신 내리기, 조상의 영혼을 맞아들이는 의식
②참신(參神)- 합동 참배, 두 번씩 절한다.
③진찬(進饌)- 더운 음식을 올리는 절차
④초헌(初獻)과 독축(讀祝)- 첫잔 드리기(신을 향사하는 의식의 시작)와 축문 읽기
⑤아헌(亞獻)-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주부가 올리고 네 번 절한다.
⑥종헌(終獻)- 삼헌(三獻), 끝 잔 드리기
⑦유식(侑食)- 신에게 식사를 권유하는 절차
⑧계반삽시(啓飯揷匙)- '삽시정저(揷匙正箸)' 메 그릇의 뚜껑을 열어 수저를 꽂는다.
⑨합문(閤門)- 문 닫고 기다리기
⑩계문(啓門)과 헌다(獻茶)- 문을 열고 들어와 갱(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올려 메를 세 숟가락 떠서 숭늉에 넣는다.
⑪철시복반(撤匙復飯)-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 의식.
⑫사신(辭神)- 합동 배례, 신에 대한 작별 인사,
3)식후 의식(式後儀式)
①납주(納主)- 신주 들여 모시기, 지방과 축문의 소각(화송(化送), 분축(焚祝))
②철(徹)- 제상을 정리하는 절차
③음복(飮福)- 참례한 자손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원래 기제사 에는 행하지 않는 예법.
2)사시제
시제를 실행하는 순서는 대체로 기제사와 같다. 다만 기제에서 행하지 않는 날 잡기(擇日), 복받기(受 ) 그리고 제사 음식 나누기( )가 첨가된다.
①날 잡기(擇日)와 재계(齋戒) ②제구와 제기의 설비(陳器) ③제수의 준비(具饌)와 제상 차리기(陳設) ④제복 입고(變服) 정렬하기(就位) ⑤신주나 지방의 봉안(出主) ⑥신 내리기(降神) ⑦합동 참배(參神) ⑧음식 올리기(進饌) ⑨첫잔 드리기(初獻)와 축문 읽기(讀祝) ⑩버금 잔 드리기(亞獻) ⑪끝 잔 드리기(終獻) ⑫식사 권유(侑食) ⑬문 닫고 기다리기(閤門) ⑭문 열고(啓門) 차 올리기(進茶) ⑮복받기(受 :飮福) 합동 배례(辭神:신에 대한 작별 인사) 신주 들여 모시기(納主:지방과 축문의 소각) 제상 정리(徹) 제사 음식 나누기( )
3)명절 차례
명절 차례가 다른 제사와 다른 점은 잔 드리기를 한 번에 그치고 축문을 읽지 않는 다는 점이다.
①재계(齋戒) ②제상과 집기의 설치 ③제수(具饌) 준비 ④제복 입고(變服) 정렬하기(就位) ⑤제상 차리기(陳設) ⑥신위 봉안 ⑦신 내리기(降神) ⑧합동 참배(參神) ⑨제찬 올리기 ⑩잔올리기 ⑪식사 권유(侑食) ⑫수저 걷기 ⑬합동 배례(辭神) ⑭신주 들여 모시기(納主) ⑮제상 정리(徹) 음식 나누기( )
4)묘제
조상의 무덤에 대한 직접 제사이기 때문에 신주나 지방을 쓰지 않으며 따라서 참신을 강신보다 앞서 행한다. 그리고 유식(侑食), 합문, 계문이 없고 나머지 절차는 기제사와 대동 소이하다.
①날 잡기(擇日) ②재계(齋戒) ③제수의 준비(具饌)와 제상 차리기(陳設) ④청소와 자리 깔기 ⑤음식 차리기(陳饌) ⑥합동 참배(參神) ⑦신 내리기(降神) ⑧첫잔 드리기(初獻)와 축문 읽기(讀祝) ⑨버금 잔 드리기(亞獻) ⑩끝 잔 드리기(終獻) ⑪합동 배례(辭神) ⑫제상 정리(徹) ⑬음복(飮福)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장례와 제사는 주검을 정중히 처리하는 절차인 것으로 하여 가정의례 가운데서 가장 엄숙하고 중대한 의례로 되어 왔다. 시대와 지방 주민들의 정신생활과 경제적 처지에 따라 고인에 대한 관념, 태도, 장례의 구성과 절차가 조금씩 달랐지만 조선시대 장례풍습은 공통적인 민속학적, 문화사적 일련의 특성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여 왔다. 비록 유교의 영향으로 <주자가례>의 식으로 진행되었다고는 하지만 고유한 관습대로 장례를 치르기도 하고 고유관습과 유교식을 절충하거나 일반 규범은 지키면서도 그것을 간략화하여 진행하기도 하였다.
※참고 문헌
임돈희,『빛깔있는 책들-조상제례』대원사, 1990
임재해,『빛깔있는 책들-전통상례』대원사, 1990
이영춘,『차례와 제사』대원사, 1994
김정기 외,『韓國文化史大系-7.풍속·예술사(上)』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1
김상혁,『알기쉬운 冠婚喪祭』하서 출판사, 1991
김무조 외,『아름다운 장례문화』구름사랑, 2003
김두헌,『韓國家族制度硏究』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최재석,『한국가족제도사연구』일지사, 1983
사회과학원,『조선의 관혼상제』중심, 2002
김석진,『韓國傳統家庭儀禮』학문사, 200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9.3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