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J. Dewey)의 교육사상과 특징에 관한 고찰 - -듀이 교육사상의 특징과 이론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듀이(J. Dewey)의 교육사상과 특징에 관한 고찰 - -듀이 교육사상의 특징과 이론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듀이의 생애(1859∼1952)와 사상

Ⅱ. 존 듀이(J. Dewey)의 전통교육과 진보교육
1. 전통적 교육관
2. 진보적 교육관
「Democracy and Education」요약

Ⅲ. 존 듀이(J. Dewey)의 실용주의 교육론 분석
1. 경 험
2. 경험의 재구성
3. 존 듀이(J. Dewey)의 경험 이론의 시사점

Ⅳ. 존 듀이(J. Dewey)의 실용주의 교육론의 실제
1. 교육의 실제에 미친 영향
2. 교육에의 적용

Ⅴ. 결론 및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나의 견해
1. 결 론
2.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나의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통제하는 방법의 중요성을 부각하였고, 그것은 곧 사고 또는 지력의 함양을 교육의 중심에 두는 교육론으로 나타난 것이다.
Ⅴ. 결론 및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나의 견해
1. 결 론
듀이(Dewey)는 인간이 지식을 획득하고 확대하는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교육은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 또는 재조직’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결국 교육이 경험을 재구성 또는 재조직하는 방법에 관련되게 하며, 따라서 교육은 사고방법 또는 지력의 함양에 관련된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의 개념은 곧 사고력의 함양을 위한 교육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Dewey의 교육의 개념과 그것에 기초한 그의 교육이론은 현재의 우리 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듀이(Dewey)의 교육개념은 지식과 문화가 정적인 사회가 아니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성장하는 사회를 반영한 교육의 개념이다. 그것은 교육을 기존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간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사회에 적응하고 스스로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도 이 교육의 개념은 급격한 변화로 불확실성의 시대로 불리는 오늘의 우리 교육에 적절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듀이(Dewey)의 교육개념은 지나치게 넓은 개념이라고 비판 받을 수도 있다. 이 개념은 인간이 환경속에서 스스로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교육으로 보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과 학습의 개념을 구분하지 못한 다는 것이다. 즉, 교육은 학습을 전제해야 하는 것이지만 학습이 곧 교육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교육은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Dewey의 교육개념 자체에 의하면 무의도적이고 비계획적으로, 즉 우연히 일어나는 학습도 모두 교육에 포함하게 된다. 교육의 개념은 교육과 교육이 아닌것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Dewey의 개념은 다소 충실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개념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 즉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교육에 포함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과정 전체가 곧 교육의 과정이 되는 포괄성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Dewey의 교육에 대한 정의는 그 개념이 지나치게 포괄적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괄성은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장점이 된다. 듀이(Dewey)의 교육개념은 교육을 단지 학교교육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과정에서 보다 나은 경험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2.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나의 견해
듀이(Dewey)의 교육개념은 ‘지식’자체보다 ‘지식의 획득과정’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경험’이 필요한데 경험은 사고가 개입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고의 질과 양에 따라 경험의 질이 결정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경험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나은 ‘사고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Dewey는 최선의 사고방법으로서 과학의 실험적 방법에 의한 ‘반성적 사고’를 제안했는바, 이는 곧 ‘사고 중심 교육’을 학교교육의 중심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고중심교육이란 바로 ‘지력의 함양’을 의미하고, 지력의 함양이란 곧 ‘고등정신과정’(Higher Mental Process)의 함양을 뜻하는바, 본인은 이를 위하여 다음의 몇가지를 우리의 교육에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실무와 연계된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어떤 과목을 가르치는 교관으로서 응당 관심을 두어야 하는 것은, 그것을 가 르친 결과가 장차 학생들이 그와 관련된 문제에 관하여 생각하는 관점과 행동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 가르치고 있는 내용이 어떤 모양으로든지 장차 학생들의 사고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쉽게 말하면 배운사람과 배우지 않은 사람은 차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관들은 각자 자기가 담당하는 과목의 내용을 실생활에 유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중심의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어떤 내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할 경우 우리는 흔히 그 내용을 이미 알고 있는 완벽한 교관의 입장에서 자기가 알고 있는 그대로의 지식의 결과만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지식의 획득과정은 생략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얻은 지식은 장차 학생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가 어렵다. 따라서 우리 교관은 교관자신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학생의 입장에서 가르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관이 교육내용을 조직할 때, 자기가 알고 그 상태의 지식 체계가 아니라 자기가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알고 있는 상태로의 변화과정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조직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관은 자기가 가르치고자 하는 교과에 있어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셋째, 자율적 탐구학습을 강화하여야 한다.
교육의 사태는 장차 생활의 사태에서 사고하는 연습을 하는 사태라고 할 수 있다. 어떤 활동의 연습은 장차 그 활동을 실제로 하게 될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므로 교육에서 이 사람들은 교관이 아니라 바로 학생 자신인 것이다. 즉,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해보는, 그러므로서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관중심의 일방적인 주입식교육을 지양하고 학생 스스로 탐구할 수 있도록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분임활동을 강화한다든지, 독서과제를 부여하여 그 결과를 발표토록 한다든지, 창의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과목이나, 실습과 연습이 필요한 과목을 개발하거나 증가시키는 등의 노력들이 개선의 한 예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진용일, 교육원론, 동문사, 1975.
2. 정호표외, 현대교육학원론, 형설출판사, 1982.
3. 대학교육기초연구회, 교육기초, 교육출판사, 1979.
4. 안인희, 교육원리, 이화여대출판부, 1978.
5. 임한영, 사고하는 방법, 법문사, 1981.
6. 조정기, 교수방법론, 대광문화사, 198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