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시기 남한의 역사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단시기 남한의 역사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950년대의 한국사학
②1960년대의 한국사학
③1970년대의 한국사학
④1980년대의 한국사학

(3) 결론

본문내용

역의 독립운동 상황이 자세히 밝혀졌다. 또한 1920년대 민족개량주의 운동에 대해서는 이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 새롭게 대두하여 기존의 평과 대립하였고 사회주의 운동과 농민운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또한 신간회, 근우회 등 여성운동, 학생운동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 졌다. 또한 국외의 정당운동에 관한 연구와 항일무장투쟁과 조국광복회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런 항일무장투쟁이나 조국광복회와 같은 연구주제에 접근한 한 연구자가 구속되는 등 사회가 아직 이러한 주제의 연구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제의 지배정책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자들의 관심이 그리 주어지지 않았는데 다만 경제사의 측면에서 토지조사사업에 대한 기존의 설에 대해 실증적인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었으며 산미증식계획, 농촌진흥운동의 성격에 관해서도 연구되고 있었다.
당시의 근대사 연구 가운데 또 하나 활발하였던 분야가 사학사 연구였다. 특히 신채호에 대한 연구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박은식, 손진태, 문일평, 백남운에 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근대 사학사는 1960년대 ‘민족사관’ 정립을 위한 참고로서 언급되던 수준에서 벗어나, 지성사사상사의 수준에서 본격적으로 학문적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의 현대사에 대해서는 국내, 국외에서 여러 책이 출간됨에 따라 소장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회과학 쪽에서 먼저 연구를 시작 하였으나, 점차 한국 사학계에서도 현대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 시기에 대한 연구자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또한 냉전체제 하의 소련과 북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벗어나고자 하는 수정 주의적 시각이 제기되었으며, 미군정과 지배정책, 각 정당, 좌우 합작운동, 남북협상운동, 10월 항쟁, 43항쟁, 한국전쟁, 농지개혁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3) 결론
역사연구에 있어서 발전만이 계속 존재할 수는 없다. 이는 우리 역사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분단 이후 한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일제시대 식민사관의 극복 및 새로운 한국사상의 형성 그리고 민주화를 위하여 노력해왔다. 물론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과제들이 존재하며, 해결을 위하여 역사가들의 다분히 노력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더 앞으로 내려다보고 역사학 공부에 매진해야 한다. 그것은 바로 통일 시대의 역사학이다. 통일 시대를 대비하며, 아직까지 해결 못한 역사적 과제를 매듭짓고, 통일 시대 역사학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미래에 우리에게 주어질 과제인 것이다.
참고문헌
한영우 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下)』, 창작과 비평사(1994)
조동걸, 『한국근대사의 이해와 논리』, 지식산업사(1998)
한흥수 외, 『현국현대사의 재인식6』, 도서출판 오름(1998)
정두희,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 조합공동체 소나무(2001)
『역사비평』편집위원회,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2002)
조동걸, 『한국근현대사의 탐구』, 경인문화사,(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0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