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구조의 변화와 노인의 부양기대감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구조의 변화와 노인의 부양기대감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부양 관련 개념
2. 노인부양의 형태
1) 부양형태의 분류
2) 경제적 부양
3) 정서적 부양
4) 서비스 부양
3.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의 방법
1. 표본의 선정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조사내용과 도구
4. 연구의 한계

Ⅳ. 조사결과 비교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2. 부양 기대감의 평균 및 표준편차
3. 부양 기대감에 대한 회귀분석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인다\'와 \'늙는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다\'는 항목과 \'노인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부양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낮은 부양 기대감은 \'연륜이 쌓여 노인으로 존경받고 있는 위치에 있다\'와 교육수준에서 \'무학\'의 경우이다.
부양 기대감에서 이외의 결과가 나온 것은 \'75세 이상\', \'무학\' 또는 \'초등학교\'의 학력수준, 배우자 \'없다\', \'독거\' 또는 \'노인부부\'세대 등에서 부양 기대감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조사의 결과에서는 특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부양 기대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에서는 당연하지만 \'남자\'보다는 \'여자\'쪽이 부양 기대감이 높고, 연령에서는 \'65세 이하\'에서 부양 기대감이 높은데, 이것은 젊은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역할이 없거나 불안정한 노후생활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수준에서 경제적 부양 기대감은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이 가장 높고, 정서적 부양 기대감은 \'초등학교\' 학력을 가진 노인이 높고, 서비스 부양 기대감은 \'고등학교\' 학력을 가진 노인의 부양 기대감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학력을 가지고 부양 기대감에 대하여 특정 짓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 부양 기대감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부양 기대감이 높아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자립심이 높아서 오히려 부양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예측을 할 수 있다.
가족형태에서는 \'노인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형태에서 가장 부양 기대감이 높았는데 이 형태는 2세대 가족으로 손자가 없거나 미혼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안하여 부양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수준은 당연하게 낮은 쪽과, 자신의 위치에서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부정적인 자화상을 가진 노인이 부양 기대감이 높았다. 이것은 노후에 건강하고 보람된 생활에 자신이 없거나 부정적인 생각 때문에 불안하여 부양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부양 기대감에 대한 회귀분석
노인들의 부양 기대감에 대한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경제적 부양 기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배우자의 유무\'이고, 다음이 \'노인 자신의 위치\'에 관한 것으로 유의수준이 모두 95%로 나타났다. 정서적 부양 기대감은 \'자신의 위치\'가 유의수준 99%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부양 기대감은 \'교육수준\'과 \'자신의 위치\'가 유의수준 각각 99%와 95%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인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자신의 위치\'가 모든 항목의 부양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노인이 노후에 자신에 대한 사회적 및 가정적 위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2. 결론
노인의 부양 문제는 사회적 환경, 국민의 의식수준, 가족의 규모와 형태, 노인들의 생활환경, 복지의 수급의식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노인부양 문제의 배경을 바탕으로 변화하고 있는 노인의 부양 기대감에 대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조사를 통하여 결론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가정 내의 가족관계 속에서 노인들의 부양 기대감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부양 기대감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항목들의 부양 기대감이 높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은 이외의 결과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귀하께서는 지금의 위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응답한 노인들이 부양 기대감이 높았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노인들이 비교적 부양 기대감이 낮았다.
둘째로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여 부양 기대감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조사의 결과에서는 이것들이 부양 기대감의 높고 낮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셋째로 회귀분석에서는 노인의 부양 기대감에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인 자신의 위치이었다. 그 외에도 배우자의 유무와 교육수준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노인들의 부양 기대감에서 자신들의 모습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정책적인 고려와 지원 및 교육이 뒤따라야 할 것이고, 배우자를 상실한 노인에 대해서 상실감을 없애기 위한 제도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구은옥(1989),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현(1994),『노년학』, 교문사.
김태현(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재간(1985), \"21세기 노인문제와 사적부양기능\", 한국노년학회,『한국노년학』, No.5.
보건복지부(2003),『보건복지통계연보』.
성규탁(1991), \"한국인이 노인부양을 위한 의지와 관행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한국노년학』, 제1권.
엄혜정(1990), \"중년기와 노년기 남·여성의 노인부양 의식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미경·서병숙(1989),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소,『한국생활과학연구』, 제7호.
이가옥 외(1998),『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옥순(1998), \"노인부양형태와 부양의식에 대한 연령별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화(1999), \"부양의식과 형제자매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농촌며느리의 시부모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화자(1995), \"노인부양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那須宗一·湯澤擁彦 編(1970),『老人扶養の硏究』, 垣內出版株式會社.
本村汎·高橋重宏 編(1989),『家族と福祉の未來』, 全國社會福祉協議會.
M. Blenkner(1965), \"Social work and family relationship in later life with some thoughts on filial maturity\", In E. Shanas & G. F Streib(Eds), Social structure and the family (Englewood Cliff, N. J : Prentice-Hall).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0.2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