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집『꽃과 어둠의 산조』3부를 읽고 요약, 정리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꽃의 산조
―이승하·박태일·이영진의 근작 시세계

󰋼어둠의 주술, 신성한 적의
-김정란의 시세계

󰋼어둠의 주술, 신성한 적의
-김정란의 시세계

󰋼적멸의 안과 밖
―이상호·최승호의 시세계

󰋼그리움을 사는 언어
―안도현론

󰋼신성의 위기와 재상
―고진하론

󰋼그늘 깊은 노래
―박해석의 시세계

󰋼길 없는 길의 시학
―박세현의 시세계

󰋼삶의 욕망과 죽음의 충동
―박주택론

󰋼닫힌 공간과 폐허 의식
―이윤학론

󰋼비극적인 세계 인식과 내성의 견인력
―이대흠론

󰋼여백의 사유
―장철문론

본문내용

』)은 내부 세계에 갇혀 있던 그가 외부 세계까지 포괄하는 가없는 수행의 모습을 띠는 것은 분명 짧은 시력에 비해볼 때 비약적인 모습이다.
여백의 사유
―장철문론
장철문은 겨울 시인이다. 그의 시세계는 무성했던 나뭇잎을 모두 떨군 채 텅 빈 허공 속을 침묵으로 지키는 고졸한 겨울 나무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그의 시의 캔버스는 채움보다 비움, 말하기보다 보여주기의 성향을 지닌다. 그래서 그의 시세계는 선명한 색채의 구상화가 아니라 무채색의 수묵화에 가깝다. 그의 시편에서는 어디에서도 자기 주장에 대한 설명과 강조의 어사가 전면에 드러나지 않는다. 그는 사물이 제 스스로 말하고 기운생동할 수 있는 창조의 여백을 열어놓는다. 그의 시의 완성은 여백의 심연에서 울려나오는 내밀한 생명의 기운의 비선형적인 활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의 시에서 여백은 없음이 아니라 있음의 없음, 즉 활동하는 무(無)의 산 공간인 것이다. 그에게 시적 언어의 형체는 여백의 존재성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그의 시의 창작 주체는 바로 여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의 시를 읽는 과정은 그가 펼쳐놓은 섬세한 여백의 사유와 선율의 연주를 듣고 교감하는 일이 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0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