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윤리에 대한 전반적 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장. 과학과 윤리학, 그리고 환경윤리학

2장 환경문제와 윤리이론: 상대주의, 자연법,또는 목적론, 공리주의,그리고 의무론

3장 환경문제의 경제적 접근, 그리고 환경윤리

4장 윤리학: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

5장 자연세계에 대한 인간의 의무

6장. 동물의 권리와 인간의 의무

7장 타일러의 생물 중심 윤리학

8장 생태학- 야생의 자연, 그리고 윤리학

9장 레오폴드의 대지의 윤리와 전체론

10장. 심층생태학 또는 에코피로소피

본문내용

다는 점이다
‘자연주의적 오류’⇒ 사실→가치를 이끌어 낼 때
- 네오폴드는 ‘생태학적 통합성과 안정성’에 관한 자연적 사실로부터 가치 또는 윤리적 판 단을 이끌어내는 것이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 사실로부터 가치를 이끌어낼 수 없다. 그러나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4. 대지의 윤리 비판 2: 전체론적 윤리학
-전체론에 초점
① 생태학적 ‘전체’에 관한 설명을 지지할 수 있는가
②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것을 윤리적인 측면에서 수용할 수 있는가
- 윤리적인 비판은 전체의 선을 위하여 개체의 희생을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레오폴드는 생물공동체의 안정성과 통합성을 유지하기위하여 사냥을 허용하고 있다.
-레오폴드의 전체론 지지: 몰린(Jon Moline)
‘직접 전체론’ : 사물을 한 개체의 행동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
‘간접 전체론’ : 사물을 어떤 행동이나 규칙 또는 태도의 형식으로 이해(레오폴드를 이해)
-간접전체론적 관점에서 우리는 생태계의 안정성과 통합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진 태 도, 기질, 관행에 따라서 인도되어야 한다.
-레오폴드의 전체론은 공동체-기능 모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장. 심층생태학 또는 에코피로소피
1.서문
- 심층생태학은 도덕적 전체론 또는 비인간중심적 접근을 선호.
- 심층생태학이 추구하는 것은 생태학적 위기에 대해서 진단과 처방이 근본적이고 심층적 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드볼(Devall)과 세션(Sessions): ‘매우 낡고 오래된 것에 대한 재인식’
-심층생태학은 현재 우리의 지배적인 세계관이 환경파괴와 위기에 대해서 책임이 있는 것으로 이해
2. 심층생태학의 근본 지침
- 네스와 세션은 심층생태학의 근본 지침
①땅 위의 인류와 비인류의 생명체가 번성한다는 것은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②생명체의 풍요와 다양성은 그것 자체로서 가치 있으며, 땅위의 인류와 비인류의 삶을 번성하게 하는 기여한다.
③인류는 생명유기체 반드시 필요한 욕구를 제외하고, 이러한 풍요와 다양성을 감소시킬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④비인류의 세계에 대한 현재 인류의 간섭은 지나치며, 이러한 상황은 급속하게 악화되고 있다.
⑤인류의 삶과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것과 인류의 인구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서로 경쟁관계에 놓여 있다.
⑥더 나은 삶의 조건에 대한 의미 있는 변화는 정책에서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⑦이념의 변화는 높은 수준의 삶에 집착하기 보다는 오히려 주로 삶의 질에 대해서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⑧위에서 언급한 것들에 대해서 동의하는 사람들은 요구되는 변화를 이행하기 위한 시도를 하는데 참여해야 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의무를 가지고 있다.
⇒ 열대림의 파괴에 대한 반대의 근거로 근본지침-1,2,3
자원의 보호, 인구의 증가, 소비자의 수요, 핵 에너지의 문제에 대한 대안- 5,7
생대학적 과학의 지지-4, 5
생태학의 지지-1,2
3. 생태철학과 생태학의 문제
-생태학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유익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윤리학적 평가와 처방을 내릴 수 있다.⇒새로운 통찰력을 제공
-네스의 생태지상주의의 위험성
①생태학이 세계관의 모든 것은 아니다.
②생태학을 구체적인 환경문제에 대해서 처방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기술공학적인 처방이라는 피상적 기준을 마련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③‘생태학적 양심’의 전개가 피상적인 단기적 처방을 간편하게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위험한 것이다.
4. 지배적 세계관에서 형이상학적 생태학으로
-현대 사회의 지배적인 이념: 개체론 또는 환원주의
-개체론, 환원주의의 대한 거부가 형이상학적 생태학의 중심에 놓여있다. 단서를 개별 인간을 자연과 분리하는 인간중심적 관점을 부정하는 것에서 찾는다.
- 심층생태학은 세계가 ‘개체’와 ‘전체’같은 범주가 이미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함축
- 형이상학은 생태학적, 환경파괴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그 자체로서 위험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대안으로서의 형이상학은 우리가 과학적 생태학에 의해서 고무되는 것인데 이것은 이러한 파괴를 다시 되돌려 놓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5. 실재 : 형이상학- 윤리학: 비폭력적 의사소통
-생태철학의 목적: 형이상학인식론에 대한 철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
실재에 관한 대안의 윤리학적 견해에 대해서 철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
-네스: “ 개발론자와 보호론자 사이의 충돌은 실재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경험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것이다”
①보호론자: 숲을 이해하고 경험하는 데 있어 통일, 형태로서 이해한다.
②개발론자: 나무의 수량에 대해서 이해하고, 숲을 통하고 있는 길이 전체 나무들과 비교하여 사방 몇 키로미터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주장한다.
-네스: ‘형태’ 또는 ‘전체성’ ⇒보존론자들과 개발론자들은 서로 다른 실재를 경험
-네스는 우리가 ‘절대론’을 피하고 우리의 기준을 명확히 하는 데 있어 더욱 주의 한다면, 그리고 우리의 반대자들과 솔직하고 비폭력적인 의사소통의 길을 유지한다면 한쪽 또는 다른 한쪽이 확실한 것으로 증명.
6. 심층생태학의 두 가지 기준: 자아실현과 생물중심적 평등
(1)자아실현
-자아실현: 인간이 자신을 다른 나머지 자연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 하게 되는 과정
-자아 ①작은 자아: 의식적인 믿은, 욕구, 자아관념에 의해서 형성된 자아
②큰 자아: 자아의 근거가 되는 인간의 참된 모습
-심층생태학에서 의미하는 자아: ‘큰 자아’이며, 자아실현이란 우리가 더 큰 전체의 부분으 로서 자신을 이해하게 되는 자기 반성의 과정이다.
(2)생물중심적 평등
- 모든 유기체와 존재가 동등하게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존재하고 믿는 것이다.
⇒ 생물중심적 평등에서 모든 유기체는 동등한 본래적 가치를 가진다.
-심층생태학이 우리의 삶에 실천적 측면에서 주는 언질
①인간이 단순하게, 상대적으로 비과학 기술적이고, 자기 의존적이며 지방 분권화된 공동체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생태계의 개념과 비슷한 공동체는 전통적인 정치적 조직보다는 오히려 조직화될 수 있어야 하고, ‘생물 지역’을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12.0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