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기술의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제기술의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명복제의 역사
1) 포유류 성공까지의 과학적 배경
2) 생명복제 기술의 이해

2. 휴먼게놈프로젝트

3. 인간복제가능성
1) 인간개체복제
2) 배아복제

본문내용

. 이는 인간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훼손하고 특정집단이나 개인에 의해 상업적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여성의 난자가 세포질 제공난자로만 사용되고, 여성은 대리모에서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궁을 빌려주는 기계가 될 수 있다.
넷째, 여성의 경우 세포질제공난자와 공여핵제공, 임신이 스스로 가능하여 자기복제가 가능하다.
다섯째, 성은 단지 쾌락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성역할에 따른 상호보완성은 없어져 지금의 가족관계가 붕괴될 것이고 동성애가 만연하게될는지도 모른다.
여섯째, 인간복제시술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현재로는 복제비용이 백만 달러(5백만프랑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점차 적은 비용이 든다고 하여도 수혜자는 고비용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한정될 것이다. 의료수혜라는 측면에서 보면 불평등의 심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의료자원의 분배가 적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가 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을 필요로 한다.
2) 배아복제
배아복제는 복제방법에서 살펴보았듯이 생식세포를 통한 할구 분할방식과 체세포핵이식을 통한 배아복제, 앞으로 세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복제기술이 발달하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체세포의 역분화와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복제가 있을 수 있다. 배아복제의 목적은 개체복제와 치료목적의 복제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배아복제는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1993년 제리 N 홀에 의해 처음 복제되었다. 복제 발표후 동일한 인간을 무수히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논란이 있었으나 동물에 있어서는 상업적 목적으로 오래 전부터 널리 이용되어지던 기술로 새로운 것이라 할 수 없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생리적 현상과 유전자 조절의 연구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며, 상업적으로는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유전적으로 동일한 가축의 대량생산과 유전형질의 변경으로 필요로 하는 동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배아복제의 여러 방법들은 각기 필요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나 윌머트의 체세포 복제는 다양한 응용분야로 인해서 주목되고 있다.
첫째, 복제동물 생산이 가능하다.
현재 유전적으로 유용한 가축의 대량생산을 위해 교배에 의한 번식대신 사용되고 있다. 특히 in-vitro gene targeting, transgenic 기술, cell selection등과 결합된 핵이식기술은 특정 단백질 생산가축을 혼혈 없이 순종으로 유지하고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가 크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또한 멸종위기의 동물복제와 애완견의 복제도 가능하다.
둘째, 치료용 복제로 연구결과 배아줄기 세포의 잠재력이 체세포 핵이식 기술과 줄기세포의 다능성(pluripotent)이 밝혀졌다. 이는 손상된 조직 기관을 마련하기 위하여 배반포 시기의 내부세포군에서 배아줄기 세포를 유도해내어 이 줄기세포를 필요한 세포로 분화시켜 환자에게 이식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복제의 낮은 성공률로 인한 많은 수의 난세포를 필요로 하며 다능성을 지녔으나 어떤 세포로 분화할 지 확실하지 않으며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불일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도 있다.
셋째, 인간 개체복제의 가능성이다.
인간의 배아복제는 우량종의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한 동물에서의 복제와 달리 불임부부의 생식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복잡하고 위험을 수반하는 난자체취과정을 최소화하고 착상이나 임신 중 실패의 경우 복제된 배아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을 다시 시도할 수 있고 재 임신을 원할 경우에도 복잡한 과정을 다시 거치지 않고 냉동 보관된 배아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을 시도할 수 있다. 체세포핵이식방법이 성공함으로써 이제는 생식세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배아복제가 가능하게되었다. 체세포 핵이식방법이든 생식세포를 이용한 방법이든 동잃ㄴ 유전형질을 지닌 인간복제가 가능하며 유전형질을 변경시킨 맞춤인간의 탄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배아복제 방법을 인간에게 적용하든 고유성과 개체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고 형질변경을 통한 우생학적 인간을 만들 수 있다. 배아복제가 가져다줄 의학적, 상업적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배아복제의 허용은 인간의 개체복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인간개체복제에서도 불임의 극복뿐 아니라 상업적 목적의 인간복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배아복제는 인간개체복제의 목적에서보다 치료용 복제에서 더 커다란 윤리적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8주 이후의 배아를 태아라고 부르지만 생물학적 분류에서의 배아의 정의는 착상시기인 14일 이후에서 태어나기 이전의 모든 시기를 총칭한다. 배아복제를 허용하자고 할 때 어느 시점까지 허용할 것인가에 따라 8주 이후의 태아와 이론적으로는 체외에서 의료 적인 처치가 없이도 생존가능성이 있는 미숙아로 불리는 태아도 배아복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는 호모사피엔스종의 개념으로 인간의 생명의 신성함을 논하는 보수주의적 입장이 아니더라도 태아의 생명은 소유자의 것이므로 소유자의 의지에 전적으로 달려있다고 보는 자유주의 논변에 의해서도 심각한 생명윤리적 문제가 된다. 산모라 하더라도 태어난 아이를 죽이는 것은 살인이며 무고한 인간을 죽이는 것이다.
윤리적 측면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는 첫째, 난자와 정자의 시장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우생학적인 배아를 만들어서 배아 시장의 형성을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어떤 아기가 훌륭한 자질을 보인다면, 그 배아를 생산해 낸 부부는 복제한 배아를 비싼 값에 팔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장래에 골수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때를 대비하여 자기 자신의 배아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임신 대리인의 자궁에 착상시켜서 발육시킬 수 있을 것이다. 조직 적합성이 완벽하기 때문에 거부 반응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셋째, 아기를 낳으면서 예비로 복제된 배아를 냉동 보관해 둘 수 있다. 혹시 아이가 죽으면 배아로부터 유전적으로 똑같은 아이를 길러낼 수 있다. 넷째, 냉동 보관되었던 아기는 세월이 흐른 후에 다른 여성의 자궁을 통하여 탄생할 수 있다. 즉, 쌍둥이가 한쪽은 60세인데 다른 쪽은 6세가 되는 일이 가능한 것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2.1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